일본, 로봇·첨단기술로 테러 방지
입력 2023.09.13 (09:49)
수정 2023.09.13 (1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로봇 등을 이용한 테러 방지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나리타 공항을 순찰하는 로봇.
한 경비회사가 개발했습니다.
테러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로봇에 탑재한 카메라 여러대로 영상을 찍어 AI로 분석합니다.
방치된 수하물을 탐지하기도 합니다.
[로봇 음성 : "수화물이 방치돼있습니다. 주인 어디 계신가요?"]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영상을 확인한 경비원이 달려가 위험물인지 점검합니다.
유사시엔 로봇이 연기를 분사해 상대방 시야를 방해하기도 합니다.
[하세가와 세이야/세콤 관계자 : "로봇과 사람이 하는 경비를 잘 조합해 전체적으로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죠."]
8년 전, 총리관저에 드론이 떨어져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제기됐고 이를 막는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이 상자 모양의 장치는 테러용 드론의 통신을 탐지해 방해 전파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드론이 제어력을 잃고 비상 착륙합니다.
이 방해 전파로 3킬로미터 범위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로봇 등을 이용한 테러 방지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나리타 공항을 순찰하는 로봇.
한 경비회사가 개발했습니다.
테러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로봇에 탑재한 카메라 여러대로 영상을 찍어 AI로 분석합니다.
방치된 수하물을 탐지하기도 합니다.
[로봇 음성 : "수화물이 방치돼있습니다. 주인 어디 계신가요?"]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영상을 확인한 경비원이 달려가 위험물인지 점검합니다.
유사시엔 로봇이 연기를 분사해 상대방 시야를 방해하기도 합니다.
[하세가와 세이야/세콤 관계자 : "로봇과 사람이 하는 경비를 잘 조합해 전체적으로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죠."]
8년 전, 총리관저에 드론이 떨어져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제기됐고 이를 막는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이 상자 모양의 장치는 테러용 드론의 통신을 탐지해 방해 전파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드론이 제어력을 잃고 비상 착륙합니다.
이 방해 전파로 3킬로미터 범위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로봇·첨단기술로 테러 방지
-
- 입력 2023-09-13 09:49:01
- 수정2023-09-13 10:00:37

[앵커]
로봇 등을 이용한 테러 방지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나리타 공항을 순찰하는 로봇.
한 경비회사가 개발했습니다.
테러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로봇에 탑재한 카메라 여러대로 영상을 찍어 AI로 분석합니다.
방치된 수하물을 탐지하기도 합니다.
[로봇 음성 : "수화물이 방치돼있습니다. 주인 어디 계신가요?"]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영상을 확인한 경비원이 달려가 위험물인지 점검합니다.
유사시엔 로봇이 연기를 분사해 상대방 시야를 방해하기도 합니다.
[하세가와 세이야/세콤 관계자 : "로봇과 사람이 하는 경비를 잘 조합해 전체적으로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죠."]
8년 전, 총리관저에 드론이 떨어져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제기됐고 이를 막는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이 상자 모양의 장치는 테러용 드론의 통신을 탐지해 방해 전파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드론이 제어력을 잃고 비상 착륙합니다.
이 방해 전파로 3킬로미터 범위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로봇 등을 이용한 테러 방지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나리타 공항을 순찰하는 로봇.
한 경비회사가 개발했습니다.
테러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로봇에 탑재한 카메라 여러대로 영상을 찍어 AI로 분석합니다.
방치된 수하물을 탐지하기도 합니다.
[로봇 음성 : "수화물이 방치돼있습니다. 주인 어디 계신가요?"]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영상을 확인한 경비원이 달려가 위험물인지 점검합니다.
유사시엔 로봇이 연기를 분사해 상대방 시야를 방해하기도 합니다.
[하세가와 세이야/세콤 관계자 : "로봇과 사람이 하는 경비를 잘 조합해 전체적으로 보안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죠."]
8년 전, 총리관저에 드론이 떨어져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제기됐고 이를 막는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이 상자 모양의 장치는 테러용 드론의 통신을 탐지해 방해 전파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드론이 제어력을 잃고 비상 착륙합니다.
이 방해 전파로 3킬로미터 범위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