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코앞인데 ‘물가 들썩’…가계 부담 가중

입력 2023.09.15 (07:39) 수정 2023.09.15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산물 가격부터 기름값, 대중교통 요금까지 요즘 오르지 않은 게 없을 만큼 생활 물가가 들썩이고 있는데요.

추석을 앞두고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익산의 한 농협 마트 농산물 판매장입니다.

선물용 사과 한 상자에 12만 원, 배는 8만 원이 넘습니다.

제수용 장을 보려는 소비자들은 선뜻 물건을 담지 못합니다.

[김흥두/익산시 삼기면 : "솔직히 얘기해서 손을 못 대요. 물건에 손을 못 댄다니깐요. 비싸니까."]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를 보면 추석에 주로 쓰이는 홍로 사과의 10개들이 한 상자 소매 가격은 3만 원으로 두 해 전보다 8천여 원, 38%나 올랐습니다.

신고 품종 배는 10개들이에 2만 9천 원으로, 2천여 원, 9% 상승했습니다.

기름값도 크게 뛰었습니다.

9월 첫째 주 기준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749원으로 두 달 새 180원, 11.5% 올랐고, 경유는 1리터에 1,640원으로 같은 기간 261원, 18.9% 상승했습니다.

전북 각 시군의 택시 기본 요금도 지난달 천 원씩 인상돼 교통비 부담도 커졌습니다.

[권양순/익산시 어양동 : "천 원이 올랐대요. 그래서 택시를 못 타겠어요. 없는 사람이라..."]

지난달 전북지역 소비자 물가는 3% 올라 넉 달 만에 3%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보다 4.2%, 신선식품지수는 4.3%, 생활물가지수는 3.6%나 각각 올랐습니다.

[황영자/통계청 전주사무소장 : "장마 등 기상 조건 악화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국제 유가 상승세에 따른 요인으로 보이며 이런 물가 상승세는 얼마 남지 않은 추석 때까지 이어질 것으로..."]

정부는 물가 안정에 역점을 두겠다고 했지만, 치솟는 물가에, 추석을 앞둔 서민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석 코앞인데 ‘물가 들썩’…가계 부담 가중
    • 입력 2023-09-15 07:39:08
    • 수정2023-09-15 09:01:44
    뉴스광장(전주)
[앵커]

농산물 가격부터 기름값, 대중교통 요금까지 요즘 오르지 않은 게 없을 만큼 생활 물가가 들썩이고 있는데요.

추석을 앞두고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익산의 한 농협 마트 농산물 판매장입니다.

선물용 사과 한 상자에 12만 원, 배는 8만 원이 넘습니다.

제수용 장을 보려는 소비자들은 선뜻 물건을 담지 못합니다.

[김흥두/익산시 삼기면 : "솔직히 얘기해서 손을 못 대요. 물건에 손을 못 댄다니깐요. 비싸니까."]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를 보면 추석에 주로 쓰이는 홍로 사과의 10개들이 한 상자 소매 가격은 3만 원으로 두 해 전보다 8천여 원, 38%나 올랐습니다.

신고 품종 배는 10개들이에 2만 9천 원으로, 2천여 원, 9% 상승했습니다.

기름값도 크게 뛰었습니다.

9월 첫째 주 기준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749원으로 두 달 새 180원, 11.5% 올랐고, 경유는 1리터에 1,640원으로 같은 기간 261원, 18.9% 상승했습니다.

전북 각 시군의 택시 기본 요금도 지난달 천 원씩 인상돼 교통비 부담도 커졌습니다.

[권양순/익산시 어양동 : "천 원이 올랐대요. 그래서 택시를 못 타겠어요. 없는 사람이라..."]

지난달 전북지역 소비자 물가는 3% 올라 넉 달 만에 3%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보다 4.2%, 신선식품지수는 4.3%, 생활물가지수는 3.6%나 각각 올랐습니다.

[황영자/통계청 전주사무소장 : "장마 등 기상 조건 악화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국제 유가 상승세에 따른 요인으로 보이며 이런 물가 상승세는 얼마 남지 않은 추석 때까지 이어질 것으로..."]

정부는 물가 안정에 역점을 두겠다고 했지만, 치솟는 물가에, 추석을 앞둔 서민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