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가 쏘아올린 작은 폰…반도체 신냉전 새 국면 [경제대기권]

입력 2023.09.16 (21:14) 수정 2023.09.16 (2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박대기 기자와 함께 하는 경제 대기권, 오늘(16일) 이슈 만나보겠습니다.

이번 한 주, 산업계의 가장 큰 관심사는 무엇이었을가요?

[기자]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이 만나는 동안 산업계는 미국과 중국의 새 스마트폰이 화두였습니다.

세계가 둘로 쪼개지는 듯한데 스마트폰도 완전히 갈라섰나,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중국이 'IT' 기기로 주목을 끈 게, 참 오랜만인 것 같아요.

[기자]

네, 한때 삼성을 꺾고 세계 1위를 노리다 몰락했던 화웨이가 메이트 60 프로라는 제품을 내놨습니다.

주목받는 이유는 이 폰의 두뇌인 AP 반도체 때문입니다.

그동안 중국이 첨단 반도체를 못 만들도록 미국이 반도체 장비 수출을 막아왔잖아요,

하지만 화웨이가 어떻게든 첨단 반도체를 개발해 넣은 거로 보입니다.

[앵커]

장비가 없는데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기자]

옛날 수필 제목 중에 이런 게 있죠.

'방망이 깎던 노인'!

방망이 하나 만드는데도 공을 들이는 장인 정신을 찬양한 글인데, 중국도 그런 노력을 기울인 걸로 보입니다.

제가 들고 있는 게 반도체 웨이퍼인데요, 이걸 조각 조각 내서 하나씩 스마트폰에 넣는 것입니다.

첨단 장비로는 이 표면에 회로를 한 번만 그리면 되는데, 구형 장비로는 한 번 그린 웨이퍼를 다시 제조 공정에 투입해 반복해서 그려야 합니다.

구식 방법이지만, 중국이 이 방식을 통해서 개발에 성공한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게 해서 만든 제품, 성능은 어떻게 평가받습니까?

[기자]

7나노 칩으로 분석이 되는데요.

애플과 삼성은 4~5년 전에 이미 7나노 칩을 썼습니다.

가격도 130만 원으로 싸지 않습니다.

싸게 할 수 없는 건, 구형 장비를 두 번 돌리면 돈이 두 배로 들기 때문입니다.

[앵커]

결국 구식인데 비싸기까지 하다, 이렇게 들리는데, 큰 경쟁력은 없다고 봐야 하는 걸까요?

[기자]

중국이 첨단 반도체를 쏟아내긴 어려울 겁니다.

하지만, 의미가 없는 건 아닙니다.

'잔치에 재 뿌리기'라고 다음 키워드를 가져와봤는데요,

애플의 새 스마트폰이 나오기 열흘 전 화웨이의 판매가 시작됐기 때문입니다.

그 직후, 중국이 공무원들에게 애플 같은 외국 상표 폰을 금지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애플이 새 폰 값을 동결한 것에 이런 배경이 있습니다.

게다가 화웨이는 애플도 실패한 첨단 통신용 칩도 개발했습니다.

미국산 칩 설계 프로그램을 몰래 쓴 게 아니냐,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앵커]

이 불똥이 우리한테도 튀었지요?

[기자]

화웨이 폰에서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가 나왔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미국이 화웨이에는 못 팔도록 금지했던 품목이라서 하이닉스 투자자들도 긴장했습니다.

SK가 안 팔았다는데 화웨이는 과연 어디서 구했을까,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업계 추정으로는 제3의 업체나 도매상이 반도체를 사 간 뒤에 다시 화웨이에 팔았다는 가설이 유력합니다.

[앵커]

이번 일은 이렇게 넘어간다고 해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 두 '고래들 싸움'에 끼어서 곤혹스러운 일이 많을 것 같아요.

[기자]

가장 큰 문제는 중국에 있는 삼성과 SK의 반도체 공장을 계속 가동할 수 있느냐 여부입니다.

미국은 중국 내 반도체 공장으로 장비 수출을 통제하면서 삼성과 SK 중국 공장에는 1년 유예를 줬습니다.

그 시한이 다음 달인데 연장이 안 되면 큰일입니다.

제가 취재한 정부 관계자는 시한 연장 협의가 막바지로 "굉장히 잘 되고 있다"면서 "화웨이와 연계돼 문제 될 거 같지는 않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다른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앵커]

그야말로 반도체 '전쟁'이네요...

[기자]

네, 그래서 가져온 마지막 키워드가 '반도체 신냉전'입니다.

소련과 냉전에서 이긴 이유로 미국에서는 첨단 반도체로 성능이 뛰어난 무기를 만든 걸 꼽습니다.

그래서 중국산 반도체를 견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반도체와 장비 기업 중에는 매출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곳이 많습니다.

기업의 반발과 기술 유출을 미국이 잘 막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런 정세 속에서 우리 정부도 통상 협상과 기술 개발에 점점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웨이가 쏘아올린 작은 폰…반도체 신냉전 새 국면 [경제대기권]
    • 입력 2023-09-16 21:14:21
    • 수정2023-09-16 21:43:43
    뉴스 9
[앵커]

박대기 기자와 함께 하는 경제 대기권, 오늘(16일) 이슈 만나보겠습니다.

이번 한 주, 산업계의 가장 큰 관심사는 무엇이었을가요?

[기자]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이 만나는 동안 산업계는 미국과 중국의 새 스마트폰이 화두였습니다.

세계가 둘로 쪼개지는 듯한데 스마트폰도 완전히 갈라섰나,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중국이 'IT' 기기로 주목을 끈 게, 참 오랜만인 것 같아요.

[기자]

네, 한때 삼성을 꺾고 세계 1위를 노리다 몰락했던 화웨이가 메이트 60 프로라는 제품을 내놨습니다.

주목받는 이유는 이 폰의 두뇌인 AP 반도체 때문입니다.

그동안 중국이 첨단 반도체를 못 만들도록 미국이 반도체 장비 수출을 막아왔잖아요,

하지만 화웨이가 어떻게든 첨단 반도체를 개발해 넣은 거로 보입니다.

[앵커]

장비가 없는데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기자]

옛날 수필 제목 중에 이런 게 있죠.

'방망이 깎던 노인'!

방망이 하나 만드는데도 공을 들이는 장인 정신을 찬양한 글인데, 중국도 그런 노력을 기울인 걸로 보입니다.

제가 들고 있는 게 반도체 웨이퍼인데요, 이걸 조각 조각 내서 하나씩 스마트폰에 넣는 것입니다.

첨단 장비로는 이 표면에 회로를 한 번만 그리면 되는데, 구형 장비로는 한 번 그린 웨이퍼를 다시 제조 공정에 투입해 반복해서 그려야 합니다.

구식 방법이지만, 중국이 이 방식을 통해서 개발에 성공한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게 해서 만든 제품, 성능은 어떻게 평가받습니까?

[기자]

7나노 칩으로 분석이 되는데요.

애플과 삼성은 4~5년 전에 이미 7나노 칩을 썼습니다.

가격도 130만 원으로 싸지 않습니다.

싸게 할 수 없는 건, 구형 장비를 두 번 돌리면 돈이 두 배로 들기 때문입니다.

[앵커]

결국 구식인데 비싸기까지 하다, 이렇게 들리는데, 큰 경쟁력은 없다고 봐야 하는 걸까요?

[기자]

중국이 첨단 반도체를 쏟아내긴 어려울 겁니다.

하지만, 의미가 없는 건 아닙니다.

'잔치에 재 뿌리기'라고 다음 키워드를 가져와봤는데요,

애플의 새 스마트폰이 나오기 열흘 전 화웨이의 판매가 시작됐기 때문입니다.

그 직후, 중국이 공무원들에게 애플 같은 외국 상표 폰을 금지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애플이 새 폰 값을 동결한 것에 이런 배경이 있습니다.

게다가 화웨이는 애플도 실패한 첨단 통신용 칩도 개발했습니다.

미국산 칩 설계 프로그램을 몰래 쓴 게 아니냐,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앵커]

이 불똥이 우리한테도 튀었지요?

[기자]

화웨이 폰에서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가 나왔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미국이 화웨이에는 못 팔도록 금지했던 품목이라서 하이닉스 투자자들도 긴장했습니다.

SK가 안 팔았다는데 화웨이는 과연 어디서 구했을까,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업계 추정으로는 제3의 업체나 도매상이 반도체를 사 간 뒤에 다시 화웨이에 팔았다는 가설이 유력합니다.

[앵커]

이번 일은 이렇게 넘어간다고 해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 두 '고래들 싸움'에 끼어서 곤혹스러운 일이 많을 것 같아요.

[기자]

가장 큰 문제는 중국에 있는 삼성과 SK의 반도체 공장을 계속 가동할 수 있느냐 여부입니다.

미국은 중국 내 반도체 공장으로 장비 수출을 통제하면서 삼성과 SK 중국 공장에는 1년 유예를 줬습니다.

그 시한이 다음 달인데 연장이 안 되면 큰일입니다.

제가 취재한 정부 관계자는 시한 연장 협의가 막바지로 "굉장히 잘 되고 있다"면서 "화웨이와 연계돼 문제 될 거 같지는 않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다른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앵커]

그야말로 반도체 '전쟁'이네요...

[기자]

네, 그래서 가져온 마지막 키워드가 '반도체 신냉전'입니다.

소련과 냉전에서 이긴 이유로 미국에서는 첨단 반도체로 성능이 뛰어난 무기를 만든 걸 꼽습니다.

그래서 중국산 반도체를 견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반도체와 장비 기업 중에는 매출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는 곳이 많습니다.

기업의 반발과 기술 유출을 미국이 잘 막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런 정세 속에서 우리 정부도 통상 협상과 기술 개발에 점점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강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