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타워, 공개공지형 공원 핵심”…공공기여는 계속 쟁점
입력 2023.09.22 (21:39)
수정 2023.09.22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주시가 도시계획변경에 따른 사전협상 지침을 고시하자마자 자광이 다시 사업계획서를 냈습니다.
지침에 따라 공공기여계획을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는 계속해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5년 전 자광은 143층 높이의 관광 타워를 비롯한 상업시설과 호텔, 아파트 3천 세대 등 2조 5천억 원 규모의 개발 계획을 전주시에 제안했지만 반려됐습니다.
이후 꾸려진 시민공론화위원회는 개발 면적의 40 퍼센트 정도를 적정 공공기여량으로 권고했고, 전주시는 이 권고를 바탕으로 지난달 사전협상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지침이 고시되자마자 사업계획서를 다시 제출한 자광.
큰 틀에서 앞서 제안한 내용과 비슷하다며, 관광 타워와 함께, 전체 면적의 절반 가까이 조성할 공개공지 공원을 강조했습니다.
[전은수/자광 대표 : "부지 소유는 저희가 가지고 있지만 지상은 공원을 만들어서 시민이나 관광객들, 누구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방해할 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한번 지정이 되면 바꿀 수가 없습니다."]
공업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바뀌더라도 용적률은 공업용지에 준하는 350%를 넘지 않게 개발하겠다며, 부채가 많아 사업 여력이 있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정될 시공사 등을 보고 판단해 달라고 말했습니다.
전주시는 우선 서류상 미비한 게 있는지 살펴보고 빠르면 60일 이내에 검토 결과를 통보할 계획입니다.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 중점적으로 따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삼/전주시 종합경기장개발과장 : "(감정)가액이 나오면 그에 대한 공공기여량을 환수하게 돼 있는데 이 부분은 교통이라든지 기반시설 분야 중심으로 전주시 또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서...)"]
옛 대한방직 터 개발이 다시 행정 절차를 밟으면서 공공기여를 비롯해 이후 개발에 따른 이득 환수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전주시가 도시계획변경에 따른 사전협상 지침을 고시하자마자 자광이 다시 사업계획서를 냈습니다.
지침에 따라 공공기여계획을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는 계속해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5년 전 자광은 143층 높이의 관광 타워를 비롯한 상업시설과 호텔, 아파트 3천 세대 등 2조 5천억 원 규모의 개발 계획을 전주시에 제안했지만 반려됐습니다.
이후 꾸려진 시민공론화위원회는 개발 면적의 40 퍼센트 정도를 적정 공공기여량으로 권고했고, 전주시는 이 권고를 바탕으로 지난달 사전협상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지침이 고시되자마자 사업계획서를 다시 제출한 자광.
큰 틀에서 앞서 제안한 내용과 비슷하다며, 관광 타워와 함께, 전체 면적의 절반 가까이 조성할 공개공지 공원을 강조했습니다.
[전은수/자광 대표 : "부지 소유는 저희가 가지고 있지만 지상은 공원을 만들어서 시민이나 관광객들, 누구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방해할 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한번 지정이 되면 바꿀 수가 없습니다."]
공업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바뀌더라도 용적률은 공업용지에 준하는 350%를 넘지 않게 개발하겠다며, 부채가 많아 사업 여력이 있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정될 시공사 등을 보고 판단해 달라고 말했습니다.
전주시는 우선 서류상 미비한 게 있는지 살펴보고 빠르면 60일 이내에 검토 결과를 통보할 계획입니다.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 중점적으로 따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삼/전주시 종합경기장개발과장 : "(감정)가액이 나오면 그에 대한 공공기여량을 환수하게 돼 있는데 이 부분은 교통이라든지 기반시설 분야 중심으로 전주시 또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서...)"]
옛 대한방직 터 개발이 다시 행정 절차를 밟으면서 공공기여를 비롯해 이후 개발에 따른 이득 환수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광 타워, 공개공지형 공원 핵심”…공공기여는 계속 쟁점
-
- 입력 2023-09-22 21:39:56
- 수정2023-09-22 22:04:17

[앵커]
전주시가 도시계획변경에 따른 사전협상 지침을 고시하자마자 자광이 다시 사업계획서를 냈습니다.
지침에 따라 공공기여계획을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는 계속해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5년 전 자광은 143층 높이의 관광 타워를 비롯한 상업시설과 호텔, 아파트 3천 세대 등 2조 5천억 원 규모의 개발 계획을 전주시에 제안했지만 반려됐습니다.
이후 꾸려진 시민공론화위원회는 개발 면적의 40 퍼센트 정도를 적정 공공기여량으로 권고했고, 전주시는 이 권고를 바탕으로 지난달 사전협상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지침이 고시되자마자 사업계획서를 다시 제출한 자광.
큰 틀에서 앞서 제안한 내용과 비슷하다며, 관광 타워와 함께, 전체 면적의 절반 가까이 조성할 공개공지 공원을 강조했습니다.
[전은수/자광 대표 : "부지 소유는 저희가 가지고 있지만 지상은 공원을 만들어서 시민이나 관광객들, 누구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방해할 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한번 지정이 되면 바꿀 수가 없습니다."]
공업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바뀌더라도 용적률은 공업용지에 준하는 350%를 넘지 않게 개발하겠다며, 부채가 많아 사업 여력이 있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정될 시공사 등을 보고 판단해 달라고 말했습니다.
전주시는 우선 서류상 미비한 게 있는지 살펴보고 빠르면 60일 이내에 검토 결과를 통보할 계획입니다.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 중점적으로 따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삼/전주시 종합경기장개발과장 : "(감정)가액이 나오면 그에 대한 공공기여량을 환수하게 돼 있는데 이 부분은 교통이라든지 기반시설 분야 중심으로 전주시 또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서...)"]
옛 대한방직 터 개발이 다시 행정 절차를 밟으면서 공공기여를 비롯해 이후 개발에 따른 이득 환수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전주시가 도시계획변경에 따른 사전협상 지침을 고시하자마자 자광이 다시 사업계획서를 냈습니다.
지침에 따라 공공기여계획을 협의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는 계속해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5년 전 자광은 143층 높이의 관광 타워를 비롯한 상업시설과 호텔, 아파트 3천 세대 등 2조 5천억 원 규모의 개발 계획을 전주시에 제안했지만 반려됐습니다.
이후 꾸려진 시민공론화위원회는 개발 면적의 40 퍼센트 정도를 적정 공공기여량으로 권고했고, 전주시는 이 권고를 바탕으로 지난달 사전협상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지침이 고시되자마자 사업계획서를 다시 제출한 자광.
큰 틀에서 앞서 제안한 내용과 비슷하다며, 관광 타워와 함께, 전체 면적의 절반 가까이 조성할 공개공지 공원을 강조했습니다.
[전은수/자광 대표 : "부지 소유는 저희가 가지고 있지만 지상은 공원을 만들어서 시민이나 관광객들, 누구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방해할 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한번 지정이 되면 바꿀 수가 없습니다."]
공업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바뀌더라도 용적률은 공업용지에 준하는 350%를 넘지 않게 개발하겠다며, 부채가 많아 사업 여력이 있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선정될 시공사 등을 보고 판단해 달라고 말했습니다.
전주시는 우선 서류상 미비한 게 있는지 살펴보고 빠르면 60일 이내에 검토 결과를 통보할 계획입니다.
공공기여가 얼마나, 어떻게 이뤄질지 중점적으로 따지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삼/전주시 종합경기장개발과장 : "(감정)가액이 나오면 그에 대한 공공기여량을 환수하게 돼 있는데 이 부분은 교통이라든지 기반시설 분야 중심으로 전주시 또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서...)"]
옛 대한방직 터 개발이 다시 행정 절차를 밟으면서 공공기여를 비롯해 이후 개발에 따른 이득 환수를 둘러싼 논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
한주연 기자 jyhan31@kbs.co.kr
한주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