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도 국경분쟁지역 출신 선수 ‘사실상 입국 거부’…인도 반발
입력 2023.09.23 (00:01)
수정 2023.09.23 (0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 정부가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출신 인도 선수들에 대해 유효하지 못한 비자를 내줘 사실상 입국을 거부했다며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또 아누라그 타쿠르 인도 스포츠부 장관은 항의 차원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습니다.
로이터와 인도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남티베트'라 부르는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출신 여자 우슈 선수 3명에게 스테이플드 비자(여권 페이지에 스테이플러로 부착한 비자)를 내줬습니다.
스테이플드 비자는 중국이 아루나찰프라데시에 대한 인도 주권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도 항공당국도 스테이플드 비자를 인정치 않고 출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현지시간으로 22일 성명을 내고 타쿠르 장관이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중국이 "목표를 정하고 사전에 조율된 방식으로" 인도 선수들 중 일부를 차별했다면서 중국의 이런 행동은 아시안게임 정신과 규정에 어긋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 인도 우슈 선수들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중국 정부는 이른바 아루나찰프라데시를 결코 인정하지 않았고 남티베트 지역은 중국 영토의 일부다"라고 말했습니다.
인도 올림픽협회와 인도 우슈협회는 코멘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들 우슈 선수 3명은 지난 7월에도 중국 청두 세계대학생경기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당국에 비자를 신청했지만 스테이플드 비자를 발급받는 바람에 출국하지 못했고, 인도는 이런 중국 측 조치에 반발해 우슈팀 전체의 참가를 취소한 바 있습니다.
약 3천500㎞ 길이의 경계를 맞댄 중국과 인도는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벌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채 실질통제선(LAC)를 긋고서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양국 군 간 충돌이 벌어져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더타임스오브인디아 홈페이지 캡처]
또 아누라그 타쿠르 인도 스포츠부 장관은 항의 차원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습니다.
로이터와 인도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남티베트'라 부르는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출신 여자 우슈 선수 3명에게 스테이플드 비자(여권 페이지에 스테이플러로 부착한 비자)를 내줬습니다.
스테이플드 비자는 중국이 아루나찰프라데시에 대한 인도 주권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도 항공당국도 스테이플드 비자를 인정치 않고 출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현지시간으로 22일 성명을 내고 타쿠르 장관이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중국이 "목표를 정하고 사전에 조율된 방식으로" 인도 선수들 중 일부를 차별했다면서 중국의 이런 행동은 아시안게임 정신과 규정에 어긋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 인도 우슈 선수들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중국 정부는 이른바 아루나찰프라데시를 결코 인정하지 않았고 남티베트 지역은 중국 영토의 일부다"라고 말했습니다.
인도 올림픽협회와 인도 우슈협회는 코멘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들 우슈 선수 3명은 지난 7월에도 중국 청두 세계대학생경기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당국에 비자를 신청했지만 스테이플드 비자를 발급받는 바람에 출국하지 못했고, 인도는 이런 중국 측 조치에 반발해 우슈팀 전체의 참가를 취소한 바 있습니다.
약 3천500㎞ 길이의 경계를 맞댄 중국과 인도는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벌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채 실질통제선(LAC)를 긋고서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양국 군 간 충돌이 벌어져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더타임스오브인디아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인도 국경분쟁지역 출신 선수 ‘사실상 입국 거부’…인도 반발
-
- 입력 2023-09-23 00:01:10
- 수정2023-09-23 00:12:44

인도 정부가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출신 인도 선수들에 대해 유효하지 못한 비자를 내줘 사실상 입국을 거부했다며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또 아누라그 타쿠르 인도 스포츠부 장관은 항의 차원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습니다.
로이터와 인도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남티베트'라 부르는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출신 여자 우슈 선수 3명에게 스테이플드 비자(여권 페이지에 스테이플러로 부착한 비자)를 내줬습니다.
스테이플드 비자는 중국이 아루나찰프라데시에 대한 인도 주권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도 항공당국도 스테이플드 비자를 인정치 않고 출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현지시간으로 22일 성명을 내고 타쿠르 장관이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중국이 "목표를 정하고 사전에 조율된 방식으로" 인도 선수들 중 일부를 차별했다면서 중국의 이런 행동은 아시안게임 정신과 규정에 어긋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 인도 우슈 선수들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중국 정부는 이른바 아루나찰프라데시를 결코 인정하지 않았고 남티베트 지역은 중국 영토의 일부다"라고 말했습니다.
인도 올림픽협회와 인도 우슈협회는 코멘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들 우슈 선수 3명은 지난 7월에도 중국 청두 세계대학생경기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당국에 비자를 신청했지만 스테이플드 비자를 발급받는 바람에 출국하지 못했고, 인도는 이런 중국 측 조치에 반발해 우슈팀 전체의 참가를 취소한 바 있습니다.
약 3천500㎞ 길이의 경계를 맞댄 중국과 인도는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벌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채 실질통제선(LAC)를 긋고서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양국 군 간 충돌이 벌어져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더타임스오브인디아 홈페이지 캡처]
또 아누라그 타쿠르 인도 스포츠부 장관은 항의 차원에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습니다.
로이터와 인도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남티베트'라 부르는 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출신 여자 우슈 선수 3명에게 스테이플드 비자(여권 페이지에 스테이플러로 부착한 비자)를 내줬습니다.
스테이플드 비자는 중국이 아루나찰프라데시에 대한 인도 주권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도 항공당국도 스테이플드 비자를 인정치 않고 출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현지시간으로 22일 성명을 내고 타쿠르 장관이 아시안게임 방문을 취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인도 외교부는 중국이 "목표를 정하고 사전에 조율된 방식으로" 인도 선수들 중 일부를 차별했다면서 중국의 이런 행동은 아시안게임 정신과 규정에 어긋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 인도 우슈 선수들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중국 정부는 이른바 아루나찰프라데시를 결코 인정하지 않았고 남티베트 지역은 중국 영토의 일부다"라고 말했습니다.
인도 올림픽협회와 인도 우슈협회는 코멘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들 우슈 선수 3명은 지난 7월에도 중국 청두 세계대학생경기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당국에 비자를 신청했지만 스테이플드 비자를 발급받는 바람에 출국하지 못했고, 인도는 이런 중국 측 조치에 반발해 우슈팀 전체의 참가를 취소한 바 있습니다.
약 3천500㎞ 길이의 경계를 맞댄 중국과 인도는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벌였으나 해결하지 못한 채 실질통제선(LAC)를 긋고서 대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에서 양국 군 간 충돌이 벌어져 인도군 20명과 중국군 4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더타임스오브인디아 홈페이지 캡처]
-
-
최형원 기자 roediec@kbs.co.kr
최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항저우 아시안게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