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모인 노벨상 수상자들…과학기술·미래 교육 토론
입력 2023.09.24 (10:29)
수정 2023.09.24 (1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3/09/24/20230924_CX3yex.jpg)
노벨상 수상자 5명이 한국을 방문해 미래 교육과 과학기술의 발전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스웨덴 노벨 재단 산하 노벨프라이즈아웃리치(NPO)와 공동으로 오늘(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을 개최했습니다.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는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매년 12월 10일을 전후로 스웨덴 현지에서 열리는 학술행사인 '노벨위크 다이얼로그'의 해외 특별행사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와 과학자, 정책전문가 등이 글로벌 이슈에 대해 청중과 대화하고 토론하는 행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열리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번이 2017년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노벨상 물리학상 수상자 조지 스무트 홍콩과기대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화학상 수상자인 요아킴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마이클 레빗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하르트무트 미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외에도 비다르 헬게센 사무총장 등 노벨 재단 관계자와 과학 및 교육 분야 국내외 전문가 등 모두 22명이 연사와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유욱준 한림원 원장은 "대한민국의 교육 열기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이나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이 이뤄진다고는 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이번 토론회가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스웨덴 노벨 재단 산하 노벨프라이즈아웃리치(NPO)와 공동으로 오늘(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을 개최했습니다.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는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매년 12월 10일을 전후로 스웨덴 현지에서 열리는 학술행사인 '노벨위크 다이얼로그'의 해외 특별행사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와 과학자, 정책전문가 등이 글로벌 이슈에 대해 청중과 대화하고 토론하는 행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열리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번이 2017년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노벨상 물리학상 수상자 조지 스무트 홍콩과기대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화학상 수상자인 요아킴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마이클 레빗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하르트무트 미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외에도 비다르 헬게센 사무총장 등 노벨 재단 관계자와 과학 및 교육 분야 국내외 전문가 등 모두 22명이 연사와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유욱준 한림원 원장은 "대한민국의 교육 열기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이나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이 이뤄진다고는 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이번 토론회가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에 모인 노벨상 수상자들…과학기술·미래 교육 토론
-
- 입력 2023-09-24 10:29:34
- 수정2023-09-24 10:30:40
![](/data/news/2023/09/24/20230924_CX3yex.jpg)
노벨상 수상자 5명이 한국을 방문해 미래 교육과 과학기술의 발전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스웨덴 노벨 재단 산하 노벨프라이즈아웃리치(NPO)와 공동으로 오늘(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을 개최했습니다.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는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매년 12월 10일을 전후로 스웨덴 현지에서 열리는 학술행사인 '노벨위크 다이얼로그'의 해외 특별행사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와 과학자, 정책전문가 등이 글로벌 이슈에 대해 청중과 대화하고 토론하는 행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열리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번이 2017년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노벨상 물리학상 수상자 조지 스무트 홍콩과기대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화학상 수상자인 요아킴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마이클 레빗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하르트무트 미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외에도 비다르 헬게센 사무총장 등 노벨 재단 관계자와 과학 및 교육 분야 국내외 전문가 등 모두 22명이 연사와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유욱준 한림원 원장은 "대한민국의 교육 열기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이나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이 이뤄진다고는 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이번 토론회가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스웨덴 노벨 재단 산하 노벨프라이즈아웃리치(NPO)와 공동으로 오늘(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을 개최했습니다.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는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매년 12월 10일을 전후로 스웨덴 현지에서 열리는 학술행사인 '노벨위크 다이얼로그'의 해외 특별행사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와 과학자, 정책전문가 등이 글로벌 이슈에 대해 청중과 대화하고 토론하는 행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열리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번이 2017년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노벨상 물리학상 수상자 조지 스무트 홍콩과기대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화학상 수상자인 요아킴 프랑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마이클 레빗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하르트무트 미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외에도 비다르 헬게센 사무총장 등 노벨 재단 관계자와 과학 및 교육 분야 국내외 전문가 등 모두 22명이 연사와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유욱준 한림원 원장은 "대한민국의 교육 열기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이나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이 이뤄진다고는 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이번 토론회가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
-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김유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