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기록한 ‘오월 광주’…43년 만에 공개된 5.18 사진

입력 2023.10.09 (21:52) 수정 2023.10.10 (0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정부의 검열 떄문에 관련 기록을 남기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 시민이 촬영한 5.18 당시 광주의 생생한 모습이 43년 만에 공개됐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15일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민족·민주화성회.

시민 수백 명이 '비상계엄 해제'를 외쳤던 그때.

기존에 공개된 다른 사진들과는 달리 서로가 어깨동무한 모습입니다.

전남도청 정문을 막고 선 경찰 앞에서 집회를 여는 시민들, 무자비한 진압작전 직전입니다.

공중전화 부스 안에 숨어 찍은 민간인들의 시신 사진에는 계엄군의 만행이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전남도청 인근에서 사진관을 운영하던 故 최병오 씨가 촬영한 1980년 5월의 기록들입니다.

최씨는 당시 대학생이던 아들과 함께 현장을 누비며, 아들의 어깨를 삼각대 삼아 광주의 항쟁을 기록했습니다.

[최재영/화가/故 최병오 아들 : "저를 하나의 가림막으로 해가지고 사진 촬영을 하시면서, 저도 순간순간 그런 상황들을 인상깊게 느끼고 그랬죠."]

정부 검열에 모두 소각된 줄 알았던 필름들은, 20여 년 전 작고한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빛을 보게 됐습니다.

[고가연/5·18기록관 학예연구사 : "그 당시의 정황이나 상황들을 추측하면서 5.18 당시에 어떤 의미들을 담고 있는 사진들인지 한번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5·18기록관은 전문가 자문과 디지털화 작업 등을 거쳐 기증된 사진들의 사료로서의 가치를 분석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민이 기록한 ‘오월 광주’…43년 만에 공개된 5.18 사진
    • 입력 2023-10-09 21:52:33
    • 수정2023-10-10 09:51:30
    뉴스 9
[앵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정부의 검열 떄문에 관련 기록을 남기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 시민이 촬영한 5.18 당시 광주의 생생한 모습이 43년 만에 공개됐습니다.

하선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15일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민족·민주화성회.

시민 수백 명이 '비상계엄 해제'를 외쳤던 그때.

기존에 공개된 다른 사진들과는 달리 서로가 어깨동무한 모습입니다.

전남도청 정문을 막고 선 경찰 앞에서 집회를 여는 시민들, 무자비한 진압작전 직전입니다.

공중전화 부스 안에 숨어 찍은 민간인들의 시신 사진에는 계엄군의 만행이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전남도청 인근에서 사진관을 운영하던 故 최병오 씨가 촬영한 1980년 5월의 기록들입니다.

최씨는 당시 대학생이던 아들과 함께 현장을 누비며, 아들의 어깨를 삼각대 삼아 광주의 항쟁을 기록했습니다.

[최재영/화가/故 최병오 아들 : "저를 하나의 가림막으로 해가지고 사진 촬영을 하시면서, 저도 순간순간 그런 상황들을 인상깊게 느끼고 그랬죠."]

정부 검열에 모두 소각된 줄 알았던 필름들은, 20여 년 전 작고한 아버지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빛을 보게 됐습니다.

[고가연/5·18기록관 학예연구사 : "그 당시의 정황이나 상황들을 추측하면서 5.18 당시에 어떤 의미들을 담고 있는 사진들인지 한번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5·18기록관은 전문가 자문과 디지털화 작업 등을 거쳐 기증된 사진들의 사료로서의 가치를 분석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