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안 따고 인기과목 직행 일반의…6년 만에 2배↑
입력 2023.10.24 (17:18)
수정 2023.10.24 (1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의 자격을 따지 않고 피부과·안과·성형외과 등 인기 진료과목으로 꼽히는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 숫자가 6년 만에 2배 늘었습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피부과·안과·성형외과·정형외과·재활의학과·영상의학과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는 지난달 기준 245명입니다.
2017년 말 기준 128명인 걸 고려했을 때 2배 가량 늘었습니다.
24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60명이 성형외과, 피부과에 진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35.5%에 달하는 87명이 성형외과에 몸담고 있었고, 피부과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73명)입니다.
이 의원은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돈 안 되는 필수의료 과목에 갈 바에야 전공의 수련을 하지 않고 취직하자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며 “필수의료 기피와 인기과목 쏠림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피부과·안과·성형외과·정형외과·재활의학과·영상의학과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는 지난달 기준 245명입니다.
2017년 말 기준 128명인 걸 고려했을 때 2배 가량 늘었습니다.
24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60명이 성형외과, 피부과에 진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35.5%에 달하는 87명이 성형외과에 몸담고 있었고, 피부과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73명)입니다.
이 의원은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돈 안 되는 필수의료 과목에 갈 바에야 전공의 수련을 하지 않고 취직하자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며 “필수의료 기피와 인기과목 쏠림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의 안 따고 인기과목 직행 일반의…6년 만에 2배↑
-
- 입력 2023-10-24 17:18:27
- 수정2023-10-24 17:21:07

전문의 자격을 따지 않고 피부과·안과·성형외과 등 인기 진료과목으로 꼽히는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 숫자가 6년 만에 2배 늘었습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피부과·안과·성형외과·정형외과·재활의학과·영상의학과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는 지난달 기준 245명입니다.
2017년 말 기준 128명인 걸 고려했을 때 2배 가량 늘었습니다.
24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60명이 성형외과, 피부과에 진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35.5%에 달하는 87명이 성형외과에 몸담고 있었고, 피부과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73명)입니다.
이 의원은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돈 안 되는 필수의료 과목에 갈 바에야 전공의 수련을 하지 않고 취직하자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며 “필수의료 기피와 인기과목 쏠림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피부과·안과·성형외과·정형외과·재활의학과·영상의학과 분야로 진출한 일반의는 지난달 기준 245명입니다.
2017년 말 기준 128명인 걸 고려했을 때 2배 가량 늘었습니다.
24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60명이 성형외과, 피부과에 진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35.5%에 달하는 87명이 성형외과에 몸담고 있었고, 피부과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73명)입니다.
이 의원은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돈 안 되는 필수의료 과목에 갈 바에야 전공의 수련을 하지 않고 취직하자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며 “필수의료 기피와 인기과목 쏠림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
김우준 기자 universen@kbs.co.kr
김우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