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사이트] 어느새 1년…이태원 참사 후, 뭐가 달라졌나

입력 2023.10.25 (18:30) 수정 2023.10.25 (18: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벌써 1년이 다 돼 갑니다.

지난해 10월 29일, 멀쩡하게 길을 걷던 행인들이 갑자기 한 골목에서 숨진,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날입니다.

당시 사망자만 159명, 참사 직후 책임자들이 줄줄이 수사를 받았고, 각 기관들은 대책을 내놓았는데요.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지난 수사를 되짚어보고, 대비는 충분히 되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부 황다예 기자 나와있습니다.

황 기자, 수사 상황 먼저 살펴보죠.

벌써 1년이 다 돼가는데 책임자들에 대한 사법적 처벌은 얼마나 진행됐나요?

[기자]

사고의 책임을 가리자면서 특별수사본부가 꾸려졌던 게 지난해 11월 1일이었습니다.

참사 3일만이었으니 초기 대응은 매우 빨랐던 거죠.

특수본은 지난 1월 책임자 23명을 대거 송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후로 10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1심에서라도 유죄 선고를 받은 책임자는 한 명도 없습니다.

그 사이에 구속됐던 경찰 관계자 4명과 구청 관계자 2명, 모두 보석으로 풀려나기도 했습니다.

[앵커]

뭐가 문제길래 이렇게 관련 재판이 늦어지고 있는거죠?

[기자]

검찰이 일부 경찰 책임자들에 대한 기소 여부를 결정짓지 못하면서, 이미 기소된 피고인들 재판까지 연달아 늦어지는 겁니다.

현재까지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경찰 책임자는 8명입니다.

사건은 두 갈래인데, 하나는 참사 직후 관련 문건 삭제를 둘러싼 정보라인 경찰 사건이 하나고요.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를 받는 용산경찰서 경찰들 사건이 다른 하나 입니다.

하지만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류미진 당시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 등 서울경찰청 관계자 3명은 아직 기소조차 안 된 상탭니다.

[앵커]

기소 결정이 늦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기자]

검찰 수사팀은 이미 지난 4월 기소하려 했지만, 대검이 보완 수사 지시를 내리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입니다.

이후 지금까지도 검찰은 참사 사례를 검토하고 있단 말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이진동/서울서부지검장/지난 17일 국정감사 : "(사법처리와 관련해) 의견들이 너무 다양하게 나와서 계속 검토 중에 있으면서 부족한 게 없는지 확인 중에 있는데..."]

[앵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등은 어떤 혐의를 받고 있길래, 검찰 판단이 늦어지는 건가요?

[기자]

혐의명 '업무상과실치사상', 풀어 설명하면 핼러윈과 관련한 치안·경비 책임자로서 참사 전후 조치를 소홀히 했다는 겁니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핼러윈 한 달 가까이 전부터 위험성을 인지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10월 4일 화상회의에서, "해운대 서장 시절 불꽃 축제에 갔다가 깔려죽을 뻔 했다"며 "혼잡경비는 사전대비가 중요하다", "현장도 가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주 뒤 열린 두 차례 회의에서도 "불꽃축제처럼 성황을 이룰 것"이라며 "촘촘한 사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합니다.

"깔려 죽을뻔 했다",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인파 사고의 위험성, 사전 대비 필요성을 인식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앵커]

책임자가 이처럼 사전 대비의 필요성을 인식했다면, 지시를 했을법 한데, 어떤 문제가 있었던 건가요?

[기자]

그게 풀려야할 의혹 중 하나입니다.

김 청장은 지난해 10월 14일 정보부 보고를 시작으로, 참사 당일 이임재 용산서장 보고까지 합치면 핼러윈 인파 예상 보고만 10여 차례를 받았습니다.

참사 이틀 전엔 핼러윈 관련 보고를 받은 후 경비부장에게 전화해 "주말 경력이 있냐"까지 물었는데요.

하지만 참사 당일 김 청장 지시로 경찰력이 향했던 곳은 이태원이 아닌 용산 대통령실 집회 현장이었습니다.

왜 그런 결정이 내려졌는지는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인데요.

민변 TF도 추가 조사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전수진/변호사/민변 법률지원 TF : "때문에 주요 내용은 집회 시위에 (경찰력을) 집중한 이유가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이 대통령실 이전에 따라서 경력 배치가 달라졌는지 여부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앵커]

1년이 되어가도록, 처벌받은 책임자가 없다는 게 안타깝습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달라진 제도나, 정책을 짚어보죠.

[기자]

비슷한 사고 발생을 막겠다며 마련된 대부분의 대책들, 참사 1주기를 앞두고 부랴부랴 마련되는 모습입니다.

실시간으로 밀집 위험도를 파악하는 인공지능 CCTV가 그 중 하나입니다.

KBS가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점검 해보니, 같은 구역을 두 대가 찍고 있거나, 정작 위험성을 경고할 수단은 없는 등, 한계가 뚜렷한 모습이 확인됐습니다.

대책들이 참사 골목에만 집중되고 있는 것도 문제입니다.

참사 당시 골목에 설치됐던 불법 증축물들이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됐는데요.

현장에 다시 가 보니, 참사 골목의 증축물만 철거됐을 뿐 주변 골목 곳곳에는 여전히 불법 시설들이 남아 있었습니다.

지난해 참사 후 지난달까지, 용산구에서 적발된 불법 증축물 중 200개 정도가 아직 철거되지 않은 상탭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한효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 인사이트] 어느새 1년…이태원 참사 후, 뭐가 달라졌나
    • 입력 2023-10-25 18:30:40
    • 수정2023-10-25 18:43:21
    뉴스 6
[앵커]

벌써 1년이 다 돼 갑니다.

지난해 10월 29일, 멀쩡하게 길을 걷던 행인들이 갑자기 한 골목에서 숨진,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날입니다.

당시 사망자만 159명, 참사 직후 책임자들이 줄줄이 수사를 받았고, 각 기관들은 대책을 내놓았는데요.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지난 수사를 되짚어보고, 대비는 충분히 되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부 황다예 기자 나와있습니다.

황 기자, 수사 상황 먼저 살펴보죠.

벌써 1년이 다 돼가는데 책임자들에 대한 사법적 처벌은 얼마나 진행됐나요?

[기자]

사고의 책임을 가리자면서 특별수사본부가 꾸려졌던 게 지난해 11월 1일이었습니다.

참사 3일만이었으니 초기 대응은 매우 빨랐던 거죠.

특수본은 지난 1월 책임자 23명을 대거 송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 후로 10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1심에서라도 유죄 선고를 받은 책임자는 한 명도 없습니다.

그 사이에 구속됐던 경찰 관계자 4명과 구청 관계자 2명, 모두 보석으로 풀려나기도 했습니다.

[앵커]

뭐가 문제길래 이렇게 관련 재판이 늦어지고 있는거죠?

[기자]

검찰이 일부 경찰 책임자들에 대한 기소 여부를 결정짓지 못하면서, 이미 기소된 피고인들 재판까지 연달아 늦어지는 겁니다.

현재까지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경찰 책임자는 8명입니다.

사건은 두 갈래인데, 하나는 참사 직후 관련 문건 삭제를 둘러싼 정보라인 경찰 사건이 하나고요.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를 받는 용산경찰서 경찰들 사건이 다른 하나 입니다.

하지만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류미진 당시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 등 서울경찰청 관계자 3명은 아직 기소조차 안 된 상탭니다.

[앵커]

기소 결정이 늦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기자]

검찰 수사팀은 이미 지난 4월 기소하려 했지만, 대검이 보완 수사 지시를 내리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입니다.

이후 지금까지도 검찰은 참사 사례를 검토하고 있단 말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이진동/서울서부지검장/지난 17일 국정감사 : "(사법처리와 관련해) 의견들이 너무 다양하게 나와서 계속 검토 중에 있으면서 부족한 게 없는지 확인 중에 있는데..."]

[앵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등은 어떤 혐의를 받고 있길래, 검찰 판단이 늦어지는 건가요?

[기자]

혐의명 '업무상과실치사상', 풀어 설명하면 핼러윈과 관련한 치안·경비 책임자로서 참사 전후 조치를 소홀히 했다는 겁니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핼러윈 한 달 가까이 전부터 위험성을 인지한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10월 4일 화상회의에서, "해운대 서장 시절 불꽃 축제에 갔다가 깔려죽을 뻔 했다"며 "혼잡경비는 사전대비가 중요하다", "현장도 가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주 뒤 열린 두 차례 회의에서도 "불꽃축제처럼 성황을 이룰 것"이라며 "촘촘한 사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합니다.

"깔려 죽을뻔 했다",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인파 사고의 위험성, 사전 대비 필요성을 인식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앵커]

책임자가 이처럼 사전 대비의 필요성을 인식했다면, 지시를 했을법 한데, 어떤 문제가 있었던 건가요?

[기자]

그게 풀려야할 의혹 중 하나입니다.

김 청장은 지난해 10월 14일 정보부 보고를 시작으로, 참사 당일 이임재 용산서장 보고까지 합치면 핼러윈 인파 예상 보고만 10여 차례를 받았습니다.

참사 이틀 전엔 핼러윈 관련 보고를 받은 후 경비부장에게 전화해 "주말 경력이 있냐"까지 물었는데요.

하지만 참사 당일 김 청장 지시로 경찰력이 향했던 곳은 이태원이 아닌 용산 대통령실 집회 현장이었습니다.

왜 그런 결정이 내려졌는지는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인데요.

민변 TF도 추가 조사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전수진/변호사/민변 법률지원 TF : "때문에 주요 내용은 집회 시위에 (경찰력을) 집중한 이유가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이 대통령실 이전에 따라서 경력 배치가 달라졌는지 여부가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

[앵커]

1년이 되어가도록, 처벌받은 책임자가 없다는 게 안타깝습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달라진 제도나, 정책을 짚어보죠.

[기자]

비슷한 사고 발생을 막겠다며 마련된 대부분의 대책들, 참사 1주기를 앞두고 부랴부랴 마련되는 모습입니다.

실시간으로 밀집 위험도를 파악하는 인공지능 CCTV가 그 중 하나입니다.

KBS가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점검 해보니, 같은 구역을 두 대가 찍고 있거나, 정작 위험성을 경고할 수단은 없는 등, 한계가 뚜렷한 모습이 확인됐습니다.

대책들이 참사 골목에만 집중되고 있는 것도 문제입니다.

참사 당시 골목에 설치됐던 불법 증축물들이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됐는데요.

현장에 다시 가 보니, 참사 골목의 증축물만 철거됐을 뿐 주변 골목 곳곳에는 여전히 불법 시설들이 남아 있었습니다.

지난해 참사 후 지난달까지, 용산구에서 적발된 불법 증축물 중 200개 정도가 아직 철거되지 않은 상탭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한효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