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선 귀순’ 군 작전 두고 與 “모처럼 제대로” 野 “명백한 실패” 공방

입력 2023.10.27 (16:34) 수정 2023.10.27 (16: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27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북한 소형 어선 귀순 사건과 관련한 군 감시·경계 작전의 적절성 여부를 놓고 여야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여당은 군이 시간 내 정확한 작전을 실시했다고 평가했지만, 야당은 ‘명백한 작전 실패’라고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사건 당일 군의 목선 포착·식별·추적 감시 등 과정이 적시에 이뤄졌음을 부각하며 “모처럼 제대로 시간 내 군의 작전이 이뤄지는 걸 국민들이 봤다”고 호평했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민간 어선이 해경에 신고하기 전까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명백한 경계 작전 실패”라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당 김병주 의원도 “역추적해보니 (목선은) 자정 이전에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통과했다. 7시간 동안 우리 군은 깜깜이였던 것”이라며 “이 목선에 무장한 인원이 탔다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됐다”고 꼬집었습니다.

여야는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 필요성을 놓고도 설전을 이어갔습니다.

국민의힘 이채익 의원은 “(9·19 합의) 효력 정지 필요성에 대해 100% 동감”이라며 북한이 지난 5년 동안 서북도 일대에서 9.19 군사합의 3천600여 건을 위반했다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의 답변에 대해 “(문재인 정부) 국방부가 (위반 사항을) 왜 정식으로 수사 안 했는지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일벌백계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9·19 군사 합의를 파기하면 핵 위협이 줄어드냐”며 “효력 정지를 하면 군사 충돌이 줄어든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전혀 관련성이 없는 것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지난 7월 경북 예천군 내성천에서 실종자 수색 중 숨진 해병대 ‘채상병 사건’에 대해서는 여야가 한목소리로 책임자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당 송갑석 의원은 군검찰이 ‘채상병 사망 사건’ 관련 조사에서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 등의 혐의를 뺀 채 경찰에 사건을 이첩, 부하들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하며 “인구감소로 병력 자원 축소만 위기가 아니라 그나마 있는 병력자원인 군에 대한 불신 또한 우리 군이 직면한 중대한 위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인 한기호 국방위원장은 임 사단장도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며 “여기에 대한 책임감을 장관님, 해병대 사령관, 사단장까지 다 느껴야 한다. 국민의 소리를 겸허하게 들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목선 귀순’ 군 작전 두고 與 “모처럼 제대로” 野 “명백한 실패” 공방
    • 입력 2023-10-27 16:34:25
    • 수정2023-10-27 16:37:39
    정치
오늘(27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북한 소형 어선 귀순 사건과 관련한 군 감시·경계 작전의 적절성 여부를 놓고 여야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여당은 군이 시간 내 정확한 작전을 실시했다고 평가했지만, 야당은 ‘명백한 작전 실패’라고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사건 당일 군의 목선 포착·식별·추적 감시 등 과정이 적시에 이뤄졌음을 부각하며 “모처럼 제대로 시간 내 군의 작전이 이뤄지는 걸 국민들이 봤다”고 호평했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은 “민간 어선이 해경에 신고하기 전까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명백한 경계 작전 실패”라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당 김병주 의원도 “역추적해보니 (목선은) 자정 이전에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통과했다. 7시간 동안 우리 군은 깜깜이였던 것”이라며 “이 목선에 무장한 인원이 탔다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됐다”고 꼬집었습니다.

여야는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 필요성을 놓고도 설전을 이어갔습니다.

국민의힘 이채익 의원은 “(9·19 합의) 효력 정지 필요성에 대해 100% 동감”이라며 북한이 지난 5년 동안 서북도 일대에서 9.19 군사합의 3천600여 건을 위반했다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의 답변에 대해 “(문재인 정부) 국방부가 (위반 사항을) 왜 정식으로 수사 안 했는지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일벌백계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9·19 군사 합의를 파기하면 핵 위협이 줄어드냐”며 “효력 정지를 하면 군사 충돌이 줄어든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전혀 관련성이 없는 것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지난 7월 경북 예천군 내성천에서 실종자 수색 중 숨진 해병대 ‘채상병 사건’에 대해서는 여야가 한목소리로 책임자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당 송갑석 의원은 군검찰이 ‘채상병 사망 사건’ 관련 조사에서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 등의 혐의를 뺀 채 경찰에 사건을 이첩, 부하들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하며 “인구감소로 병력 자원 축소만 위기가 아니라 그나마 있는 병력자원인 군에 대한 불신 또한 우리 군이 직면한 중대한 위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인 한기호 국방위원장은 임 사단장도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며 “여기에 대한 책임감을 장관님, 해병대 사령관, 사단장까지 다 느껴야 한다. 국민의 소리를 겸허하게 들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