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탈북민 추가 강제북송 준비설에 “출입국 질서 수호”
입력 2023.10.27 (18:24)
수정 2023.10.27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추가로 탈북민을 강제 북송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중국 외교부가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7일) 열린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국가로서 중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는 동시에,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경제적 이유로 중국에 온 불법 입국 조선인(북한인)에 대해 항상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하며,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를 결합한 원칙을 견지하면서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정부가 또다시 수백 명의 탈북민에 대한 강제 북송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 내 탈북민들이 추가 강제 송환을 위해 구금시설로 옮겨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도 어제(26일) 중국 당국이 탈북자 강제송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취지로 보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반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습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오늘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외교 채널을 통해서 우려를 전달하고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카운터파트(외교 상대)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7일) 열린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국가로서 중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는 동시에,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경제적 이유로 중국에 온 불법 입국 조선인(북한인)에 대해 항상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하며,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를 결합한 원칙을 견지하면서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정부가 또다시 수백 명의 탈북민에 대한 강제 북송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 내 탈북민들이 추가 강제 송환을 위해 구금시설로 옮겨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도 어제(26일) 중국 당국이 탈북자 강제송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취지로 보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반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습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오늘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외교 채널을 통해서 우려를 전달하고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카운터파트(외교 상대)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탈북민 추가 강제북송 준비설에 “출입국 질서 수호”
-
- 입력 2023-10-27 18:24:35
- 수정2023-10-27 18:25:49

중국 정부가 추가로 탈북민을 강제 북송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중국 외교부가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7일) 열린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국가로서 중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는 동시에,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경제적 이유로 중국에 온 불법 입국 조선인(북한인)에 대해 항상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하며,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를 결합한 원칙을 견지하면서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정부가 또다시 수백 명의 탈북민에 대한 강제 북송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 내 탈북민들이 추가 강제 송환을 위해 구금시설로 옮겨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도 어제(26일) 중국 당국이 탈북자 강제송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취지로 보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반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습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오늘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외교 채널을 통해서 우려를 전달하고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카운터파트(외교 상대)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7일) 열린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국가로서 중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는 동시에, 법에 따라 출입국 질서를 수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은 경제적 이유로 중국에 온 불법 입국 조선인(북한인)에 대해 항상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하며, 국내법과 국제법, 인도주의를 결합한 원칙을 견지하면서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정부가 또다시 수백 명의 탈북민에 대한 강제 북송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 내 탈북민들이 추가 강제 송환을 위해 구금시설로 옮겨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도 어제(26일) 중국 당국이 탈북자 강제송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취지로 보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반대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습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오늘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외교 채널을 통해서 우려를 전달하고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카운터파트(외교 상대)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민정 기자 mjnews@kbs.co.kr
김민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