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지고 색감도 안 좋은 단풍…“기후변화 영향”
입력 2023.10.31 (07:46)
수정 2023.10.31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을이 깊어가면서 전국 주요 산이 단풍에 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 기온이 높아진 탓에 단풍이 드는 시가도 해마다 늦어지는데다 색감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보도에 윤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속리산에 깃든 단풍이 화려한 비경을 자아내고 가을 정취를 느끼려는 나들이객들이 북적입니다.
[양동자·정보경/인천시 가정동 : "힐링이 되는 것 같아요. 어릴때 중학교 때 수학여행을 왔었는데, 그 기분이 다시 드는 느낌?"]
하지만 숲길에서는 색감이 옅은 단풍 뿐 새빨간 단풍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가을 초입새 건조한 날씨속에 단풍이 들기도 전에 떨어져 버린 잎들도 많습니다.
[고향숙/대전시 어은동 : "단풍나무가 한 10그루가 있으면 거의 6그루 이상이 말라서 그냥 비틀어져 버리더라고요. 어릴 적에 봤던 단풍하고는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달라진 기후 탓입니다.
단풍이 잘 들기 위해서는 한 두 달 전후로 서늘한 기온이 가장 중요한데요.
하지만 폭염의 여파가 가을까지 이어지면서 산 풍경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지난달 속리산이 위치한 충북 보은 지역의 평균 기온은 21.4도로, 평년보다 2.4도나 높았습니다.
덩달아 단풍 시작일과 절정 시기 모두 평년보다 5일 더 늦어졌습니다.
30여 년 전과 비교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유명산의 단풍 시작 시기는 1990년에 비해 최대 13일 늦어졌습니다.
10월 막바지지만 내장산, 두륜산 등 일부 유명 산들은 단풍이 절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김현주/속리산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작년보다는 단풍이 늦고요. 아직 단풍이 물이 들고 있어서 돌아오는 주말에 가장 예쁘게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잦은 대형 산불과 집중호우에 이어 단풍까지, 기후변화가 주는 경고음이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가을이 깊어가면서 전국 주요 산이 단풍에 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 기온이 높아진 탓에 단풍이 드는 시가도 해마다 늦어지는데다 색감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보도에 윤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속리산에 깃든 단풍이 화려한 비경을 자아내고 가을 정취를 느끼려는 나들이객들이 북적입니다.
[양동자·정보경/인천시 가정동 : "힐링이 되는 것 같아요. 어릴때 중학교 때 수학여행을 왔었는데, 그 기분이 다시 드는 느낌?"]
하지만 숲길에서는 색감이 옅은 단풍 뿐 새빨간 단풍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가을 초입새 건조한 날씨속에 단풍이 들기도 전에 떨어져 버린 잎들도 많습니다.
[고향숙/대전시 어은동 : "단풍나무가 한 10그루가 있으면 거의 6그루 이상이 말라서 그냥 비틀어져 버리더라고요. 어릴 적에 봤던 단풍하고는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달라진 기후 탓입니다.
단풍이 잘 들기 위해서는 한 두 달 전후로 서늘한 기온이 가장 중요한데요.
하지만 폭염의 여파가 가을까지 이어지면서 산 풍경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지난달 속리산이 위치한 충북 보은 지역의 평균 기온은 21.4도로, 평년보다 2.4도나 높았습니다.
덩달아 단풍 시작일과 절정 시기 모두 평년보다 5일 더 늦어졌습니다.
30여 년 전과 비교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유명산의 단풍 시작 시기는 1990년에 비해 최대 13일 늦어졌습니다.
10월 막바지지만 내장산, 두륜산 등 일부 유명 산들은 단풍이 절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김현주/속리산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작년보다는 단풍이 늦고요. 아직 단풍이 물이 들고 있어서 돌아오는 주말에 가장 예쁘게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잦은 대형 산불과 집중호우에 이어 단풍까지, 기후변화가 주는 경고음이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늦어지고 색감도 안 좋은 단풍…“기후변화 영향”
-
- 입력 2023-10-31 07:46:53
- 수정2023-10-31 07:53:23

[앵커]
가을이 깊어가면서 전국 주요 산이 단풍에 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 기온이 높아진 탓에 단풍이 드는 시가도 해마다 늦어지는데다 색감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보도에 윤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속리산에 깃든 단풍이 화려한 비경을 자아내고 가을 정취를 느끼려는 나들이객들이 북적입니다.
[양동자·정보경/인천시 가정동 : "힐링이 되는 것 같아요. 어릴때 중학교 때 수학여행을 왔었는데, 그 기분이 다시 드는 느낌?"]
하지만 숲길에서는 색감이 옅은 단풍 뿐 새빨간 단풍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가을 초입새 건조한 날씨속에 단풍이 들기도 전에 떨어져 버린 잎들도 많습니다.
[고향숙/대전시 어은동 : "단풍나무가 한 10그루가 있으면 거의 6그루 이상이 말라서 그냥 비틀어져 버리더라고요. 어릴 적에 봤던 단풍하고는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달라진 기후 탓입니다.
단풍이 잘 들기 위해서는 한 두 달 전후로 서늘한 기온이 가장 중요한데요.
하지만 폭염의 여파가 가을까지 이어지면서 산 풍경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지난달 속리산이 위치한 충북 보은 지역의 평균 기온은 21.4도로, 평년보다 2.4도나 높았습니다.
덩달아 단풍 시작일과 절정 시기 모두 평년보다 5일 더 늦어졌습니다.
30여 년 전과 비교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유명산의 단풍 시작 시기는 1990년에 비해 최대 13일 늦어졌습니다.
10월 막바지지만 내장산, 두륜산 등 일부 유명 산들은 단풍이 절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김현주/속리산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작년보다는 단풍이 늦고요. 아직 단풍이 물이 들고 있어서 돌아오는 주말에 가장 예쁘게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잦은 대형 산불과 집중호우에 이어 단풍까지, 기후변화가 주는 경고음이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가을이 깊어가면서 전국 주요 산이 단풍에 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을 기온이 높아진 탓에 단풍이 드는 시가도 해마다 늦어지는데다 색감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보도에 윤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속리산에 깃든 단풍이 화려한 비경을 자아내고 가을 정취를 느끼려는 나들이객들이 북적입니다.
[양동자·정보경/인천시 가정동 : "힐링이 되는 것 같아요. 어릴때 중학교 때 수학여행을 왔었는데, 그 기분이 다시 드는 느낌?"]
하지만 숲길에서는 색감이 옅은 단풍 뿐 새빨간 단풍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가을 초입새 건조한 날씨속에 단풍이 들기도 전에 떨어져 버린 잎들도 많습니다.
[고향숙/대전시 어은동 : "단풍나무가 한 10그루가 있으면 거의 6그루 이상이 말라서 그냥 비틀어져 버리더라고요. 어릴 적에 봤던 단풍하고는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달라진 기후 탓입니다.
단풍이 잘 들기 위해서는 한 두 달 전후로 서늘한 기온이 가장 중요한데요.
하지만 폭염의 여파가 가을까지 이어지면서 산 풍경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지난달 속리산이 위치한 충북 보은 지역의 평균 기온은 21.4도로, 평년보다 2.4도나 높았습니다.
덩달아 단풍 시작일과 절정 시기 모두 평년보다 5일 더 늦어졌습니다.
30여 년 전과 비교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유명산의 단풍 시작 시기는 1990년에 비해 최대 13일 늦어졌습니다.
10월 막바지지만 내장산, 두륜산 등 일부 유명 산들은 단풍이 절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김현주/속리산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작년보다는 단풍이 늦고요. 아직 단풍이 물이 들고 있어서 돌아오는 주말에 가장 예쁘게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잦은 대형 산불과 집중호우에 이어 단풍까지, 기후변화가 주는 경고음이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소영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김선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