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동결에도 “금리 상승 심화 가능성”…왜?

입력 2023.11.03 (21:32) 수정 2023.11.04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은 줄줄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에 이어 영국도 금리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대출금리 같은 시중 금리가 더 오르고, 또 오른 채 유지될 거라는 경고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유가 뭔지, 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차례로 짚어봅니다.

먼저 손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은 예상된 결과였습니다.

한 걸음 더 나가 파월 의장은 금융 여건이 긴축적으로 변한 점을 언급했습니다.

시장 금리가 상당히 올라있다는 뜻인데, 이를 근거로 주요 투자은행들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런데 이를 대하는 우리 정책당국자들의 반응은 다릅니다.

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다, 금리 상승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한 겁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어제/비상경제장관회의 : "아직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고 지정학적 불안 요인에 따른 불확실성도 상존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실제로도 시장금리는 오름세입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자 이를 따라가는 대출 금리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7%를 넘어섰습니다.

고금리 장기화를 내다보는 듯한 시장 움직임도 포착됩니다.

주가는 일정한 가격선에 갇힌 듯한 이른바 '박스권 움직임'을 이어가고, 부동산 시장도 가격 전망이 10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

[조영무/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 "한미 정책금리 역전 수준을 감안할 경우에 한국이 미국보다도 먼저 금리 인하로 돌아서기는 상당히 어려울 가능성이 높아서 실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개시 시기는 (미국이 금리를 내린 뒤인)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같은 대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물가가 안정을 찾아 기준 금리 인하로 이어질 거란 기대는 조금 더 멀어졌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지난달/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 : "금리가 금방 조정돼서 금융부담이 집을 그렇게 부담을 들여서 샀을 때 금방 떨어질 것 같다는 생각은 저는 안 듭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기 전까지는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공포가 우리 금융 시장과 경제 정책의 손발을 묶어둘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기준금리 동결에도 “금리 상승 심화 가능성”…왜?
    • 입력 2023-11-03 21:32:02
    • 수정2023-11-04 07:57:45
    뉴스 9
[앵커]

요즘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은 줄줄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에 이어 영국도 금리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대출금리 같은 시중 금리가 더 오르고, 또 오른 채 유지될 거라는 경고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유가 뭔지, 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차례로 짚어봅니다.

먼저 손서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은 예상된 결과였습니다.

한 걸음 더 나가 파월 의장은 금융 여건이 긴축적으로 변한 점을 언급했습니다.

시장 금리가 상당히 올라있다는 뜻인데, 이를 근거로 주요 투자은행들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런데 이를 대하는 우리 정책당국자들의 반응은 다릅니다.

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다, 금리 상승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한 겁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어제/비상경제장관회의 : "아직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고 지정학적 불안 요인에 따른 불확실성도 상존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실제로도 시장금리는 오름세입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자 이를 따라가는 대출 금리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7%를 넘어섰습니다.

고금리 장기화를 내다보는 듯한 시장 움직임도 포착됩니다.

주가는 일정한 가격선에 갇힌 듯한 이른바 '박스권 움직임'을 이어가고, 부동산 시장도 가격 전망이 10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

[조영무/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 "한미 정책금리 역전 수준을 감안할 경우에 한국이 미국보다도 먼저 금리 인하로 돌아서기는 상당히 어려울 가능성이 높아서 실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개시 시기는 (미국이 금리를 내린 뒤인) 내년 하반기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같은 대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물가가 안정을 찾아 기준 금리 인하로 이어질 거란 기대는 조금 더 멀어졌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지난달/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 : "금리가 금방 조정돼서 금융부담이 집을 그렇게 부담을 들여서 샀을 때 금방 떨어질 것 같다는 생각은 저는 안 듭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기 전까지는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공포가 우리 금융 시장과 경제 정책의 손발을 묶어둘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