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울산 살림살이 4조 7천9백억…4%↑
입력 2023.11.10 (09:45)
수정 2023.11.10 (1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기 침체 속에 울산시가 내년 살림살이 규모를 역대 최대 규모인 4조 7천 9백 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지방세 수입도 줄고, 정부 지원도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쓸 곳은 쓰겠다는 계획입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시의 내년 본 예산안은 4조 7천 932억 원, 올해 본 예산 4조 6천 58억 원 보다 4%나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지방세 수입이 전년도 대비 7백 억 원 감소한 1조 6천백 억 원에 불과하지만 지방채는 발행하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공공기관 운영비 인상 억제와 민간 경상보조사업 재검토 등으로 부족분을 채워갈 계획입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 예산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했고, 지금도 여의도에 국비 상황실을 가동하면서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면 복지 민생 사업에 지난해 보다 11% 늘어난 1조 7천 6백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37%를 편성했고 일자리 기업지원에 4천 8백억 원, 미래 신산업에 4천 억 원, 재해 재난 안전에 8천 억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합니다.
신규사업으로 이차전지특화단지 통합지원센터 구축과 조선업 재직자 희망공제사업,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울산시의 내년도 예산안은 울산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박서은
경기 침체 속에 울산시가 내년 살림살이 규모를 역대 최대 규모인 4조 7천 9백 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지방세 수입도 줄고, 정부 지원도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쓸 곳은 쓰겠다는 계획입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시의 내년 본 예산안은 4조 7천 932억 원, 올해 본 예산 4조 6천 58억 원 보다 4%나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지방세 수입이 전년도 대비 7백 억 원 감소한 1조 6천백 억 원에 불과하지만 지방채는 발행하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공공기관 운영비 인상 억제와 민간 경상보조사업 재검토 등으로 부족분을 채워갈 계획입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 예산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했고, 지금도 여의도에 국비 상황실을 가동하면서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면 복지 민생 사업에 지난해 보다 11% 늘어난 1조 7천 6백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37%를 편성했고 일자리 기업지원에 4천 8백억 원, 미래 신산업에 4천 억 원, 재해 재난 안전에 8천 억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합니다.
신규사업으로 이차전지특화단지 통합지원센터 구축과 조선업 재직자 희망공제사업,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울산시의 내년도 예산안은 울산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년 울산 살림살이 4조 7천9백억…4%↑
-
- 입력 2023-11-10 09:45:38
- 수정2023-11-10 10:28:48

[앵커]
경기 침체 속에 울산시가 내년 살림살이 규모를 역대 최대 규모인 4조 7천 9백 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지방세 수입도 줄고, 정부 지원도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쓸 곳은 쓰겠다는 계획입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시의 내년 본 예산안은 4조 7천 932억 원, 올해 본 예산 4조 6천 58억 원 보다 4%나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지방세 수입이 전년도 대비 7백 억 원 감소한 1조 6천백 억 원에 불과하지만 지방채는 발행하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공공기관 운영비 인상 억제와 민간 경상보조사업 재검토 등으로 부족분을 채워갈 계획입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 예산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했고, 지금도 여의도에 국비 상황실을 가동하면서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면 복지 민생 사업에 지난해 보다 11% 늘어난 1조 7천 6백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37%를 편성했고 일자리 기업지원에 4천 8백억 원, 미래 신산업에 4천 억 원, 재해 재난 안전에 8천 억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합니다.
신규사업으로 이차전지특화단지 통합지원센터 구축과 조선업 재직자 희망공제사업,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울산시의 내년도 예산안은 울산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박서은
경기 침체 속에 울산시가 내년 살림살이 규모를 역대 최대 규모인 4조 7천 9백 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지방세 수입도 줄고, 정부 지원도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쓸 곳은 쓰겠다는 계획입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시의 내년 본 예산안은 4조 7천 932억 원, 올해 본 예산 4조 6천 58억 원 보다 4%나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지방세 수입이 전년도 대비 7백 억 원 감소한 1조 6천백 억 원에 불과하지만 지방채는 발행하지는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공공기관 운영비 인상 억제와 민간 경상보조사업 재검토 등으로 부족분을 채워갈 계획입니다.
[김두겸/울산시장 : "역대 최대 규모의 국가 예산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했고, 지금도 여의도에 국비 상황실을 가동하면서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부사업별로 보면 복지 민생 사업에 지난해 보다 11% 늘어난 1조 7천 6백억 원으로 전체 예산의 37%를 편성했고 일자리 기업지원에 4천 8백억 원, 미래 신산업에 4천 억 원, 재해 재난 안전에 8천 억 원을 중점적으로 투입합니다.
신규사업으로 이차전지특화단지 통합지원센터 구축과 조선업 재직자 희망공제사업,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울산시의 내년도 예산안은 울산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2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박서은
-
-
김계애 기자 stone917@kbs.co.kr
김계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