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북중러 이해관계 달라…북러와 협력, 중국 이익에 도움 안 돼”
입력 2023.11.20 (08:32)
수정 2023.11.20 (0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는 서로 이해관계가 다르다”며 “북한·러시아와 보조를 맞추는 것은 중국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영국 현지 매체에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 보도된 영국 매체 ‘더 텔레그래프’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은 각자가 처한 상황과 대외 여건이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중국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는 물론, 다른 국제 규범도 노골적으로 위반한 북한·러시아와의 협력이 자국의 국제적 명성과 위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는 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텔레그래프는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우리 정부는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신 북러 군사교류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유럽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연장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 기술을 지원한다면 대한민국 안보와 역내 평화가 위협받는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찰스 3세 국왕 즉위 이후 첫 국빈 초청을 받은 데 대해서는 “영국이 인도-태평양지역 및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보여준다”며 양국이 디지털·인공지능, 첨단 과학기술 등 각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인도-태평양지역은 북한의 핵 위협과 타이완 해협와 남중국해 등 여러 지정학적 위협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평화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하게 번영하려면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키고 강화해야 한다“며 영국을 비롯해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 규범 동반자’들과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 정부는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 남중국해를 포함한 역내 규칙기반 해양질서 확립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텔레그래프는 ”한국은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이후 아시아에서 처음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라며 ”현재 진행 중인 협정 업그레이드 절차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 보도된 영국 매체 ‘더 텔레그래프’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은 각자가 처한 상황과 대외 여건이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중국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는 물론, 다른 국제 규범도 노골적으로 위반한 북한·러시아와의 협력이 자국의 국제적 명성과 위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는 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텔레그래프는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우리 정부는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신 북러 군사교류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유럽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연장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 기술을 지원한다면 대한민국 안보와 역내 평화가 위협받는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찰스 3세 국왕 즉위 이후 첫 국빈 초청을 받은 데 대해서는 “영국이 인도-태평양지역 및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보여준다”며 양국이 디지털·인공지능, 첨단 과학기술 등 각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인도-태평양지역은 북한의 핵 위협과 타이완 해협와 남중국해 등 여러 지정학적 위협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평화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하게 번영하려면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키고 강화해야 한다“며 영국을 비롯해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 규범 동반자’들과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 정부는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 남중국해를 포함한 역내 규칙기반 해양질서 확립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텔레그래프는 ”한국은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이후 아시아에서 처음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라며 ”현재 진행 중인 협정 업그레이드 절차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 “북중러 이해관계 달라…북러와 협력, 중국 이익에 도움 안 돼”
-
- 입력 2023-11-20 08:32:24
- 수정2023-11-20 08:36:21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는 서로 이해관계가 다르다”며 “북한·러시아와 보조를 맞추는 것은 중국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영국 현지 매체에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 보도된 영국 매체 ‘더 텔레그래프’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은 각자가 처한 상황과 대외 여건이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중국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는 물론, 다른 국제 규범도 노골적으로 위반한 북한·러시아와의 협력이 자국의 국제적 명성과 위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는 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텔레그래프는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우리 정부는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신 북러 군사교류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유럽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연장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 기술을 지원한다면 대한민국 안보와 역내 평화가 위협받는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찰스 3세 국왕 즉위 이후 첫 국빈 초청을 받은 데 대해서는 “영국이 인도-태평양지역 및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보여준다”며 양국이 디지털·인공지능, 첨단 과학기술 등 각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인도-태평양지역은 북한의 핵 위협과 타이완 해협와 남중국해 등 여러 지정학적 위협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평화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하게 번영하려면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키고 강화해야 한다“며 영국을 비롯해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 규범 동반자’들과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 정부는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 남중국해를 포함한 역내 규칙기반 해양질서 확립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텔레그래프는 ”한국은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이후 아시아에서 처음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라며 ”현재 진행 중인 협정 업그레이드 절차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 보도된 영국 매체 ‘더 텔레그래프’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중국, 러시아, 북한은 각자가 처한 상황과 대외 여건이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중국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는 물론, 다른 국제 규범도 노골적으로 위반한 북한·러시아와의 협력이 자국의 국제적 명성과 위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는 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텔레그래프는 보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 증진에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우리 정부는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신 북러 군사교류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유럽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연장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에 군사 기술을 지원한다면 대한민국 안보와 역내 평화가 위협받는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찰스 3세 국왕 즉위 이후 첫 국빈 초청을 받은 데 대해서는 “영국이 인도-태평양지역 및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보여준다”며 양국이 디지털·인공지능, 첨단 과학기술 등 각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인도-태평양지역은 북한의 핵 위협과 타이완 해협와 남중국해 등 여러 지정학적 위협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평화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하게 번영하려면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키고 강화해야 한다“며 영국을 비롯해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 규범 동반자’들과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 정부는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 남중국해를 포함한 역내 규칙기반 해양질서 확립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한편, 텔레그래프는 ”한국은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이후 아시아에서 처음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라며 ”현재 진행 중인 협정 업그레이드 절차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