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할 것”
입력 2023.11.21 (15:32)
수정 2023.11.22 (07: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1일 사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가운데 외교부가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임수석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재차 발사 예고를 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러한 발사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일체의 발사를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북한은 그 어떠한 핑계를 대더라도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임 대변인은 또 “우리 정부는 대북 성명을 통해 북한이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임을 이미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발표한 대로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국 간의 공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일본 정부에 ‘내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북한의 통보 이후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박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 겸 대북 특별부대표,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 대표가 3국 간의 공조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전화통화를 했다고 임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시 정부 대응’을 묻자 “미리 대응 조치의 내용을 밝힌 적은 없다”면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에 모든 것이 포함돼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임수석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재차 발사 예고를 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러한 발사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일체의 발사를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북한은 그 어떠한 핑계를 대더라도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임 대변인은 또 “우리 정부는 대북 성명을 통해 북한이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임을 이미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발표한 대로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국 간의 공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일본 정부에 ‘내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북한의 통보 이후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박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 겸 대북 특별부대표,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 대표가 3국 간의 공조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전화통화를 했다고 임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시 정부 대응’을 묻자 “미리 대응 조치의 내용을 밝힌 적은 없다”면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에 모든 것이 포함돼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교부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할 것”
-
- 입력 2023-11-21 15:32:42
- 수정2023-11-22 07:16:47

북한이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1일 사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한 가운데 외교부가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임수석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재차 발사 예고를 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러한 발사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일체의 발사를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북한은 그 어떠한 핑계를 대더라도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임 대변인은 또 “우리 정부는 대북 성명을 통해 북한이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임을 이미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발표한 대로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국 간의 공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일본 정부에 ‘내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북한의 통보 이후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박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 겸 대북 특별부대표,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 대표가 3국 간의 공조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전화통화를 했다고 임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시 정부 대응’을 묻자 “미리 대응 조치의 내용을 밝힌 적은 없다”면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에 모든 것이 포함돼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임수석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재차 발사 예고를 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이러한 발사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일체의 발사를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명백한 불법행위”라며 “북한은 그 어떠한 핑계를 대더라도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임 대변인은 또 “우리 정부는 대북 성명을 통해 북한이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임을 이미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발표한 대로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국 간의 공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일본 정부에 ‘내일부터 내달 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북한의 통보 이후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박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 겸 대북 특별부대표,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 대표가 3국 간의 공조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전화통화를 했다고 임 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시 정부 대응’을 묻자 “미리 대응 조치의 내용을 밝힌 적은 없다”면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에 모든 것이 포함돼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혜림 기자 gaegul@kbs.co.kr
최혜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한 정찰위성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