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말라리아, 퇴치노력 불구 발병 증가…기후변화 영향 커”
입력 2023.12.01 (03:04)
수정 2023.12.04 (0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년 수십만명의 사망자를 내는 말라리아의 발병 건수가 국제사회의 퇴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시간 지난달 30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전 세계 말라리아 발병 사례는 2억4천900만건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시기인 2019년보다 1만6천만건(6.9%)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이 2020∼2021년 코로나19 대응에 의료역량을 집중하느라 말라리아를 비롯한 다른 질병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망률이 크게 줄고 백신 보급이 활발해진 지난해 이후에도 말라리아 발병은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살충제를 처리한 모기장과 백신, 치료제 등을 주요 발병국에 보급하는 등 모기가 매개하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파키스탄을 비롯해 에티오피아와 나이지리아, 파푸아뉴기니, 우간다 등지에선 발병 건수가 급증하면서 더 큰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습니다.
파키스탄의 경우, 대홍수가 발생했던 지난해 말라리아 발병 건수가 5배 증가했습니다.
최근의 말라리아 증가세는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발한 점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질병 대응에 취약한 지역에서 발병 위험을 초래한다"며 "지속 가능하면서도 탄력적인 말라리아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급성열병입니다. 매년 2억명 넘는 감염자 가운데 50만명 정도가 사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시간 지난달 30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전 세계 말라리아 발병 사례는 2억4천900만건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시기인 2019년보다 1만6천만건(6.9%)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이 2020∼2021년 코로나19 대응에 의료역량을 집중하느라 말라리아를 비롯한 다른 질병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망률이 크게 줄고 백신 보급이 활발해진 지난해 이후에도 말라리아 발병은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살충제를 처리한 모기장과 백신, 치료제 등을 주요 발병국에 보급하는 등 모기가 매개하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파키스탄을 비롯해 에티오피아와 나이지리아, 파푸아뉴기니, 우간다 등지에선 발병 건수가 급증하면서 더 큰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습니다.
파키스탄의 경우, 대홍수가 발생했던 지난해 말라리아 발병 건수가 5배 증가했습니다.
최근의 말라리아 증가세는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발한 점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질병 대응에 취약한 지역에서 발병 위험을 초래한다"며 "지속 가능하면서도 탄력적인 말라리아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급성열병입니다. 매년 2억명 넘는 감염자 가운데 50만명 정도가 사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HO “말라리아, 퇴치노력 불구 발병 증가…기후변화 영향 커”
-
- 입력 2023-12-01 03:04:02
- 수정2023-12-04 09:15:28

매년 수십만명의 사망자를 내는 말라리아의 발병 건수가 국제사회의 퇴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시간 지난달 30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전 세계 말라리아 발병 사례는 2억4천900만건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시기인 2019년보다 1만6천만건(6.9%)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이 2020∼2021년 코로나19 대응에 의료역량을 집중하느라 말라리아를 비롯한 다른 질병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망률이 크게 줄고 백신 보급이 활발해진 지난해 이후에도 말라리아 발병은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살충제를 처리한 모기장과 백신, 치료제 등을 주요 발병국에 보급하는 등 모기가 매개하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파키스탄을 비롯해 에티오피아와 나이지리아, 파푸아뉴기니, 우간다 등지에선 발병 건수가 급증하면서 더 큰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습니다.
파키스탄의 경우, 대홍수가 발생했던 지난해 말라리아 발병 건수가 5배 증가했습니다.
최근의 말라리아 증가세는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발한 점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질병 대응에 취약한 지역에서 발병 위험을 초래한다"며 "지속 가능하면서도 탄력적인 말라리아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급성열병입니다. 매년 2억명 넘는 감염자 가운데 50만명 정도가 사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시간 지난달 30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전 세계 말라리아 발병 사례는 2억4천900만건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시기인 2019년보다 1만6천만건(6.9%)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이 2020∼2021년 코로나19 대응에 의료역량을 집중하느라 말라리아를 비롯한 다른 질병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고 짚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망률이 크게 줄고 백신 보급이 활발해진 지난해 이후에도 말라리아 발병은 증가 추세라고 지적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살충제를 처리한 모기장과 백신, 치료제 등을 주요 발병국에 보급하는 등 모기가 매개하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파키스탄을 비롯해 에티오피아와 나이지리아, 파푸아뉴기니, 우간다 등지에선 발병 건수가 급증하면서 더 큰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습니다.
파키스탄의 경우, 대홍수가 발생했던 지난해 말라리아 발병 건수가 5배 증가했습니다.
최근의 말라리아 증가세는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발한 점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질병 대응에 취약한 지역에서 발병 위험을 초래한다"며 "지속 가능하면서도 탄력적인 말라리아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급성열병입니다. 매년 2억명 넘는 감염자 가운데 50만명 정도가 사망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