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이동관,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대통령 국정 쇄신해야”
입력 2023.12.02 (14:30)
수정 2023.12.02 (14: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진 사퇴한 데 대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성준 대변인은 오늘(2일) 논평을 통해 "이동관 위원장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한 이유는 명확하다"며 "탄핵 심판을 통해 자신이 벌여온 불법과 위법이 드러날까 봐 두려웠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이동관 위원장은 방통위의 기형적 운영, 공영방송 이사 불법 해임, 법적 근거 없는 가짜뉴스 심의 요구 등 불법과 위법을 불사하며 방송장악을 밀어붙였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 전 위원장의) 사퇴 이유 역시 국민은 안중에 없이 오직 윤석열 대통령을 위해 물러나겠다고 하니 헛웃음만 나온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제2, 제3의 이동관을 내세워 방송장악을 이어가려 한다면 더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정을 쇄신하는 것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박성준 대변인은 오늘(2일) 논평을 통해 "이동관 위원장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한 이유는 명확하다"며 "탄핵 심판을 통해 자신이 벌여온 불법과 위법이 드러날까 봐 두려웠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이동관 위원장은 방통위의 기형적 운영, 공영방송 이사 불법 해임, 법적 근거 없는 가짜뉴스 심의 요구 등 불법과 위법을 불사하며 방송장악을 밀어붙였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 전 위원장의) 사퇴 이유 역시 국민은 안중에 없이 오직 윤석열 대통령을 위해 물러나겠다고 하니 헛웃음만 나온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제2, 제3의 이동관을 내세워 방송장악을 이어가려 한다면 더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정을 쇄신하는 것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주 “이동관,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대통령 국정 쇄신해야”
-
- 입력 2023-12-02 14:30:51
- 수정2023-12-02 14:46:35

더불어민주당은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진 사퇴한 데 대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박성준 대변인은 오늘(2일) 논평을 통해 "이동관 위원장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한 이유는 명확하다"며 "탄핵 심판을 통해 자신이 벌여온 불법과 위법이 드러날까 봐 두려웠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이동관 위원장은 방통위의 기형적 운영, 공영방송 이사 불법 해임, 법적 근거 없는 가짜뉴스 심의 요구 등 불법과 위법을 불사하며 방송장악을 밀어붙였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 전 위원장의) 사퇴 이유 역시 국민은 안중에 없이 오직 윤석열 대통령을 위해 물러나겠다고 하니 헛웃음만 나온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제2, 제3의 이동관을 내세워 방송장악을 이어가려 한다면 더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정을 쇄신하는 것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박성준 대변인은 오늘(2일) 논평을 통해 "이동관 위원장이 야반도주하듯 꼼수 사퇴한 이유는 명확하다"며 "탄핵 심판을 통해 자신이 벌여온 불법과 위법이 드러날까 봐 두려웠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이동관 위원장은 방통위의 기형적 운영, 공영방송 이사 불법 해임, 법적 근거 없는 가짜뉴스 심의 요구 등 불법과 위법을 불사하며 방송장악을 밀어붙였다"고 했습니다.
그는 "(이 전 위원장의) 사퇴 이유 역시 국민은 안중에 없이 오직 윤석열 대통령을 위해 물러나겠다고 하니 헛웃음만 나온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제2, 제3의 이동관을 내세워 방송장악을 이어가려 한다면 더 큰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정을 쇄신하는 것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유일한 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
-
김보담 기자 bodam@kbs.co.kr
김보담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