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K] 중국 석각 탁본전 ‘어석천추’…“돌에 새겨진 역사를 보다”

입력 2023.12.02 (21:37) 수정 2023.12.02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 충북 연중기획 문화가K 순서입니다.

오랜 세월 돌에 새겨진 역사를 살펴보는 석각 탁본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충북대박물관이 중국의 한 박물관과 협업해 마련한 공동 특별전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러 식물의 줄기나 덩굴이 꼬이며 벋어 나가는 모양의 무늬와 날개 달린 말, 원앙까지 마치 살아 움직이는듯 합니다.

한 자 한 자 정교하게 새겨진 비문에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자비 등 불법을 전파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중국의 한 민영 박물관이 소장한 고대 묘지의 석각들을 탁본한 작품들입니다.

[진항/중국 섬서한당석각박물관장 : "한중 문화 우호 교류를 위해 중국 남북조부터 명청 시대까지 탁본 62점을 가져와 전시했습니다."]

관람객들은 장구한 세월 돌에 새겨진 탁본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하고 탁본 체험까지 마련돼 서체의 멋과 맛을 느끼고 있습니다.

[류수환/관람객 : "비석에 있는 그런 문양들이 잘 드러나 실제 보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생동감이 있고…."]

특히 전시된 고대 묘지 탁본 작품들은 서체의 변천상을 잘 표현하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준/충북대박물관 학예원 : "사신도라든지 이런 게 들어가는 특징들이 (있고) 백제나 고구려, 신라와의 관계성도 잘 보이는 역사적 가치가 깊은 작품들입니다."]

이번 전시회는 연말까지 진행되는데 탁본 작품들은 전시회 이후에 충북대 박물관에 기증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가K] 중국 석각 탁본전 ‘어석천추’…“돌에 새겨진 역사를 보다”
    • 입력 2023-12-02 21:37:16
    • 수정2023-12-02 22:01:02
    뉴스9(청주)
[앵커]

KBS 충북 연중기획 문화가K 순서입니다.

오랜 세월 돌에 새겨진 역사를 살펴보는 석각 탁본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충북대박물관이 중국의 한 박물관과 협업해 마련한 공동 특별전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러 식물의 줄기나 덩굴이 꼬이며 벋어 나가는 모양의 무늬와 날개 달린 말, 원앙까지 마치 살아 움직이는듯 합니다.

한 자 한 자 정교하게 새겨진 비문에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자비 등 불법을 전파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중국의 한 민영 박물관이 소장한 고대 묘지의 석각들을 탁본한 작품들입니다.

[진항/중국 섬서한당석각박물관장 : "한중 문화 우호 교류를 위해 중국 남북조부터 명청 시대까지 탁본 62점을 가져와 전시했습니다."]

관람객들은 장구한 세월 돌에 새겨진 탁본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하고 탁본 체험까지 마련돼 서체의 멋과 맛을 느끼고 있습니다.

[류수환/관람객 : "비석에 있는 그런 문양들이 잘 드러나 실제 보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생동감이 있고…."]

특히 전시된 고대 묘지 탁본 작품들은 서체의 변천상을 잘 표현하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준/충북대박물관 학예원 : "사신도라든지 이런 게 들어가는 특징들이 (있고) 백제나 고구려, 신라와의 관계성도 잘 보이는 역사적 가치가 깊은 작품들입니다."]

이번 전시회는 연말까지 진행되는데 탁본 작품들은 전시회 이후에 충북대 박물관에 기증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