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금지 특별법’ 추진에 사육농 반발…전면 금지 가능할까
입력 2023.12.04 (21:40)
수정 2023.12.04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 여당이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는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한 데 대해 야당도 호응하고 나섰는데요,
하지만 법 시행을 담당할 일선 자치단체에서는 식용 개 사육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구미의 개 사육농장.
개고기로 많이 팔리는 '도사견' 4백여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개 식용이 금지되면, 이 농장은 2027년까지 문을 닫아야 합니다.
정부가 지난달 올해 안에 개를 식용은 물론, 도살과 유통·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특별법을 만들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개 사육 농가들은 "일방적인 생존권 박탈"이라고 주장하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영권/개 사육 농장주 : "잠이 안 왔어요. 지금 저 같은 경우는 한창 돈이 지금 애들한테 들어갈 나인데. 폐업 후에 그 시점에 최저 생계비를 한 3~4년을 줘야 되고. 시설 보상을 한다 하면 쉽게 정리가 될 것 같아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식용 개 사육·유통 실태 조사'를 보면, 전국에 있는 식용 개 농장 수는 천 백여 곳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육견협회는 개 사육 농가는 3천5백 곳이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개 사육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신고가 되고 이런 게 아니다 보니까 현장 조사를 하다 보니까 정확하지는 않은데..."]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진경/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 "일단은 큰 덩어리부터 없애기 위한 특별법이 빨리 통과되고 실행되는 게 중요한 거예요. 일부 남아있는 농장, 도살장 이런 것들은 현행 동물보호법으로..."]
정부는 시설 철거와 전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황.
자치단체들은 지원대상을 자진신고한 업소로 한정하는 만큼, 특별법이 제정돼야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정부, 여당이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는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한 데 대해 야당도 호응하고 나섰는데요,
하지만 법 시행을 담당할 일선 자치단체에서는 식용 개 사육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구미의 개 사육농장.
개고기로 많이 팔리는 '도사견' 4백여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개 식용이 금지되면, 이 농장은 2027년까지 문을 닫아야 합니다.
정부가 지난달 올해 안에 개를 식용은 물론, 도살과 유통·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특별법을 만들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개 사육 농가들은 "일방적인 생존권 박탈"이라고 주장하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영권/개 사육 농장주 : "잠이 안 왔어요. 지금 저 같은 경우는 한창 돈이 지금 애들한테 들어갈 나인데. 폐업 후에 그 시점에 최저 생계비를 한 3~4년을 줘야 되고. 시설 보상을 한다 하면 쉽게 정리가 될 것 같아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식용 개 사육·유통 실태 조사'를 보면, 전국에 있는 식용 개 농장 수는 천 백여 곳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육견협회는 개 사육 농가는 3천5백 곳이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개 사육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신고가 되고 이런 게 아니다 보니까 현장 조사를 하다 보니까 정확하지는 않은데..."]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진경/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 "일단은 큰 덩어리부터 없애기 위한 특별법이 빨리 통과되고 실행되는 게 중요한 거예요. 일부 남아있는 농장, 도살장 이런 것들은 현행 동물보호법으로..."]
정부는 시설 철거와 전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황.
자치단체들은 지원대상을 자진신고한 업소로 한정하는 만큼, 특별법이 제정돼야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 식용 금지 특별법’ 추진에 사육농 반발…전면 금지 가능할까
-
- 입력 2023-12-04 21:40:06
- 수정2023-12-04 22:00:39
![](/data/news/title_image/newsmp4/daegu/news9/2023/12/04/10_7833302.jpg)
[앵커]
정부, 여당이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는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한 데 대해 야당도 호응하고 나섰는데요,
하지만 법 시행을 담당할 일선 자치단체에서는 식용 개 사육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구미의 개 사육농장.
개고기로 많이 팔리는 '도사견' 4백여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개 식용이 금지되면, 이 농장은 2027년까지 문을 닫아야 합니다.
정부가 지난달 올해 안에 개를 식용은 물론, 도살과 유통·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특별법을 만들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개 사육 농가들은 "일방적인 생존권 박탈"이라고 주장하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영권/개 사육 농장주 : "잠이 안 왔어요. 지금 저 같은 경우는 한창 돈이 지금 애들한테 들어갈 나인데. 폐업 후에 그 시점에 최저 생계비를 한 3~4년을 줘야 되고. 시설 보상을 한다 하면 쉽게 정리가 될 것 같아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식용 개 사육·유통 실태 조사'를 보면, 전국에 있는 식용 개 농장 수는 천 백여 곳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육견협회는 개 사육 농가는 3천5백 곳이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개 사육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신고가 되고 이런 게 아니다 보니까 현장 조사를 하다 보니까 정확하지는 않은데..."]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진경/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 "일단은 큰 덩어리부터 없애기 위한 특별법이 빨리 통과되고 실행되는 게 중요한 거예요. 일부 남아있는 농장, 도살장 이런 것들은 현행 동물보호법으로..."]
정부는 시설 철거와 전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황.
자치단체들은 지원대상을 자진신고한 업소로 한정하는 만큼, 특별법이 제정돼야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정부, 여당이 올해 안에 개 식용을 금지하는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한 데 대해 야당도 호응하고 나섰는데요,
하지만 법 시행을 담당할 일선 자치단체에서는 식용 개 사육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북 구미의 개 사육농장.
개고기로 많이 팔리는 '도사견' 4백여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개 식용이 금지되면, 이 농장은 2027년까지 문을 닫아야 합니다.
정부가 지난달 올해 안에 개를 식용은 물론, 도살과 유통·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특별법을 만들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개 사육 농가들은 "일방적인 생존권 박탈"이라고 주장하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영권/개 사육 농장주 : "잠이 안 왔어요. 지금 저 같은 경우는 한창 돈이 지금 애들한테 들어갈 나인데. 폐업 후에 그 시점에 최저 생계비를 한 3~4년을 줘야 되고. 시설 보상을 한다 하면 쉽게 정리가 될 것 같아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식용 개 사육·유통 실태 조사'를 보면, 전국에 있는 식용 개 농장 수는 천 백여 곳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육견협회는 개 사육 농가는 3천5백 곳이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개 사육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신고가 되고 이런 게 아니다 보니까 현장 조사를 하다 보니까 정확하지는 않은데..."]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진경/동물권행동 카라 대표 : "일단은 큰 덩어리부터 없애기 위한 특별법이 빨리 통과되고 실행되는 게 중요한 거예요. 일부 남아있는 농장, 도살장 이런 것들은 현행 동물보호법으로..."]
정부는 시설 철거와 전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황.
자치단체들은 지원대상을 자진신고한 업소로 한정하는 만큼, 특별법이 제정돼야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