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살해 후 자살 여전…되풀이되는 이유는?

입력 2023.12.04 (23:21) 수정 2023.12.05 (01: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주 금요일 불이 난 울산의 한 아파트에서 40대 가장과 일가족이 숨졌습니다.

가장이 가족을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의 대책에도 해마다 비슷한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진복을 입은 경찰관과 소방관이 불에 그슬린 집안 곳곳을 둘러봅니다.

울산 북구의 한 아파트에서 일가족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합동 감식이 진행됐습니다.

지난 1일, 학생이 등교하지 않았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했는데, 당시 가장인 A 씨는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잠시 뒤 집에서 불길이 치솟았습니다.

집 안에는 어머니와 자녀 등 3명이 숨져있었고, A 씨도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습니다.

경찰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A씨가 가족들을 살해 후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자녀나 배우자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 250여 명으로 한 해 평균 30명이 넘습니다.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가 24.3%로 가족관계 문제 다음으로 많았는데, 갑자기 닥친 경제적 어려움의 경우 위기 신호를 포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대기업에 근무 중이던 A 씨는 2개월에 한 번씩 내려오는 복지 사각지대 조사에서 대상자로 선정된 적도 없었습니다.

[울산 북구청 관계자 : "금융연체만으로 (위기 가구로) 내려오는 가구 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고요. 그분 같은 경우는 일단 명단이 한 번도 내려온 적은 없어요."]

전문가들은 작은 위기 징후가 포착되더라도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지원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제철웅/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국가가 지원할 수 있다라고 하는 믿음이 없기 때문에 자살하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 상황에서는 국가가 일종의 부모 역할을 해야 하는 거거든요."]

경찰은 현장 감식 결과를 토대로 사고 원인을 밝히는 한편, 당사자가 숨진 만큼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을 종결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족 살해 후 자살 여전…되풀이되는 이유는?
    • 입력 2023-12-04 23:21:06
    • 수정2023-12-05 01:39:34
    뉴스9(울산)
[앵커]

지난 주 금요일 불이 난 울산의 한 아파트에서 40대 가장과 일가족이 숨졌습니다.

가장이 가족을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정부의 대책에도 해마다 비슷한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방진복을 입은 경찰관과 소방관이 불에 그슬린 집안 곳곳을 둘러봅니다.

울산 북구의 한 아파트에서 일가족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합동 감식이 진행됐습니다.

지난 1일, 학생이 등교하지 않았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했는데, 당시 가장인 A 씨는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잠시 뒤 집에서 불길이 치솟았습니다.

집 안에는 어머니와 자녀 등 3명이 숨져있었고, A 씨도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습니다.

경찰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A씨가 가족들을 살해 후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자녀나 배우자를 살해한 뒤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 250여 명으로 한 해 평균 30명이 넘습니다.

원인으로는 경제적 문제가 24.3%로 가족관계 문제 다음으로 많았는데, 갑자기 닥친 경제적 어려움의 경우 위기 신호를 포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대기업에 근무 중이던 A 씨는 2개월에 한 번씩 내려오는 복지 사각지대 조사에서 대상자로 선정된 적도 없었습니다.

[울산 북구청 관계자 : "금융연체만으로 (위기 가구로) 내려오는 가구 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고요. 그분 같은 경우는 일단 명단이 한 번도 내려온 적은 없어요."]

전문가들은 작은 위기 징후가 포착되더라도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지원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제철웅/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국가가 지원할 수 있다라고 하는 믿음이 없기 때문에 자살하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 상황에서는 국가가 일종의 부모 역할을 해야 하는 거거든요."]

경찰은 현장 감식 결과를 토대로 사고 원인을 밝히는 한편, 당사자가 숨진 만큼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을 종결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