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나라 영토 편입’ 베네수 국민투표 95% 찬성…구속력은 없어

입력 2023.12.05 (04:11) 수정 2023.12.05 (0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 2천800만명의 베네수엘라가 80만명 인구인 이웃 나라 가이아나의 '석유 노다지 땅'을 노리고 현지시간 3일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95%가 정부의 영유권 주장을 지지했습니다.

베네수엘라 선거관리위원회(CNE)는 전날 국민투표에서 투표자 95.9%가 '과야나 에세키바 주를 신설하고, 해당 주민에게 베네수엘라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에 찬성하느냐'는 취지의 국민투표 질문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4일 밝혔습니다.

과야나 에세키바는 에세퀴보강 서쪽 15만9천500㎢ 규모 영토를 지칭합니다. 현재 가이아나 땅인 해당 지역과 그 인근 해저에는 석유, 금, 다이아몬드를 비롯한 자원이 다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반도 크기와 비슷한 가이아나의 총 국토 면적(21만㎢) 중 3분의 2가 넘고, 가이아나 전체 인구 중 16%가 살고 있습니다.

이 지역 국경 획정의 근거가 되는 1899년 중재판정에 대한 거부 의사를 묻는 문항에는 97.83%가 '거부한다'고 답했다고 베네수엘라 선관위는 밝혔습니다. 대신 양국 간 협의를 통해 영토 분쟁을 해결하라는 취지의 1966년 제네바 협약에는 98.11%가 지지 의사를 보냈습니다.

'국제사법재판소(ICJ) 재판 관할권 인정 반대'(95.40%)와 '영토 획정 관련 가이아나 주장 거부'(95.40%) 등도 압도적인 비율로 한쪽으로 쏠렸습니다. 다만 선관위는 전체 투표율을 공개하진 않았습니다.

그동안 '다섯 번의 찬성'(5 veces Si)을 권고하며 국민투표 참여 독려 캠페인을 벌인 니콜라스 마두로 정부는 사실상 예견됐던 이번 결과에 환호하며 "민주적 수단으로 총의를 확인했다"고 자평했습니다.

마두로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에세퀴보 지역을 수호하는 역사적이면서도 전례 없는 선거였다"며 "성실하고 공정하게 투표 과정을 관리한 모든 이에게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과는 달리 전날 선관위는 당초 예정된 투표 종료 시간께 예고 없이 "투표소를 2시간 더 연장해 운영한다"고 결정하는 등 불공정 논란에 휩싸일 수 있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이 지역을 둘러싼 분쟁은 100년 넘게 계속돼 왔습니다. 1899년에 당시 중재재판소가 현재의 가이아나 땅이라고 판정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네수엘라는 '가이아나와의 분쟁에 대한 원만한 해결'을 명시한 1966년 제네바 합의를 근거로 당사국 간 협상으로 이 사안을 다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국민투표는 국제적으로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마두로 정부로서는 향후 자신들의 논리 전개와 국제 사회에서의 여론전에 이날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두로 정부는 국내 정치적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앞서 베네수엘라 야당과 시민단체는 내년 대선에서 3선을 노리는 마두로 대통령이 민족주의적 열정 고취와 공정 선거에 대한 국내외 요구를 분산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국민투표를 밀어붙였다고 주장한다고 로이터와 AP통신 등은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가이아나와의 접경지대에서 물리적 긴장이 커질 가능성도 큽니다.

두 나라와 국경을 접한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지금 남미에 필요하지 않은 건 단 하나, 바로 혼란"이라며 "모두 진정하고 국민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브라질 매체 G1은 보도했습니다. 브라질 정부는 해당 국경 지대에서의 대비 태세를 강화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웃나라 영토 편입’ 베네수 국민투표 95% 찬성…구속력은 없어
    • 입력 2023-12-05 04:11:26
    • 수정2023-12-05 04:29:43
    국제
인구 2천800만명의 베네수엘라가 80만명 인구인 이웃 나라 가이아나의 '석유 노다지 땅'을 노리고 현지시간 3일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95%가 정부의 영유권 주장을 지지했습니다.

베네수엘라 선거관리위원회(CNE)는 전날 국민투표에서 투표자 95.9%가 '과야나 에세키바 주를 신설하고, 해당 주민에게 베네수엘라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에 찬성하느냐'는 취지의 국민투표 질문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4일 밝혔습니다.

과야나 에세키바는 에세퀴보강 서쪽 15만9천500㎢ 규모 영토를 지칭합니다. 현재 가이아나 땅인 해당 지역과 그 인근 해저에는 석유, 금, 다이아몬드를 비롯한 자원이 다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반도 크기와 비슷한 가이아나의 총 국토 면적(21만㎢) 중 3분의 2가 넘고, 가이아나 전체 인구 중 16%가 살고 있습니다.

이 지역 국경 획정의 근거가 되는 1899년 중재판정에 대한 거부 의사를 묻는 문항에는 97.83%가 '거부한다'고 답했다고 베네수엘라 선관위는 밝혔습니다. 대신 양국 간 협의를 통해 영토 분쟁을 해결하라는 취지의 1966년 제네바 협약에는 98.11%가 지지 의사를 보냈습니다.

'국제사법재판소(ICJ) 재판 관할권 인정 반대'(95.40%)와 '영토 획정 관련 가이아나 주장 거부'(95.40%) 등도 압도적인 비율로 한쪽으로 쏠렸습니다. 다만 선관위는 전체 투표율을 공개하진 않았습니다.

그동안 '다섯 번의 찬성'(5 veces Si)을 권고하며 국민투표 참여 독려 캠페인을 벌인 니콜라스 마두로 정부는 사실상 예견됐던 이번 결과에 환호하며 "민주적 수단으로 총의를 확인했다"고 자평했습니다.

마두로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에세퀴보 지역을 수호하는 역사적이면서도 전례 없는 선거였다"며 "성실하고 공정하게 투표 과정을 관리한 모든 이에게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과는 달리 전날 선관위는 당초 예정된 투표 종료 시간께 예고 없이 "투표소를 2시간 더 연장해 운영한다"고 결정하는 등 불공정 논란에 휩싸일 수 있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이 지역을 둘러싼 분쟁은 100년 넘게 계속돼 왔습니다. 1899년에 당시 중재재판소가 현재의 가이아나 땅이라고 판정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네수엘라는 '가이아나와의 분쟁에 대한 원만한 해결'을 명시한 1966년 제네바 합의를 근거로 당사국 간 협상으로 이 사안을 다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국민투표는 국제적으로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마두로 정부로서는 향후 자신들의 논리 전개와 국제 사회에서의 여론전에 이날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두로 정부는 국내 정치적 측면도 고려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앞서 베네수엘라 야당과 시민단체는 내년 대선에서 3선을 노리는 마두로 대통령이 민족주의적 열정 고취와 공정 선거에 대한 국내외 요구를 분산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국민투표를 밀어붙였다고 주장한다고 로이터와 AP통신 등은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가이아나와의 접경지대에서 물리적 긴장이 커질 가능성도 큽니다.

두 나라와 국경을 접한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지금 남미에 필요하지 않은 건 단 하나, 바로 혼란"이라며 "모두 진정하고 국민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브라질 매체 G1은 보도했습니다. 브라질 정부는 해당 국경 지대에서의 대비 태세를 강화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