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못 하는 낚시공원’…무리한 추진?

입력 2023.12.06 (21:38) 수정 2023.12.06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비 등 54억 원을 들였지만, 1년째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남해군 해양낚시공원 문제 더 짚어봅니다.

애초 이 사업은 그물을 설치해 물고기를 가두는 방식으로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이후 그물 설치가 무산됐는데도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된 정황이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54억 원을 들였지만 1년째 방치된 남해 해양낚시공원은 애초 어떻게 추진됐을까.

사업 추진의 타당성 보고서입니다.

당시 3가지 대안을 놓고 사업성을 분석했는데, 모두 가두리망, 즉 그물 설치가 필수라고 돼 있습니다.

섬 사이에 그물을 설치해 양식 물고기를 가둬놓지 않으면, 낚시객 유치가 어렵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결국, 비용 대비 편익이 높은 최종안으로 2019년 사업이 추진됐지만, 정작 그물 설치는 없던 일이 됐습니다.

그물이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이유였습니다.

[경상남도 관계자/음성변조 : "(그물로) 아예 그걸 막으려고 했다가 오염도 그렇고 하니까. 이걸 막지 말고 네모로 두 개로 만들자…."]

육지에서 바다로 길게 뻗어 있는 이 낚시 교각 2곳에만 17억 원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를 가두는 가두리 망이 설치되지 않으면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습니다.

문제는 그물 설치 무산 이후에도 관련 공사가 계속 됐다는 것입니다.

그물 삭제가 결정된 건 2021년 1월, 이후 부유식 다리와 낚시공원 휴게소, 진입도로 공사 등이 추진됐습니다.

핵심 시설 그물이 빠졌는데도, 사업비의 절반에 가까운 25억 원 규모 공사가 계속된 것입니다.

낚시 대신 레저 시설을 추가하는 설계 변경 등 대안이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정해찬/남해군 해양발전과 주무관 : "다른 큰 전면적인 설계 변경을 하기에는 예산이나 또 절차적인 어려움이 상당히 컸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저희가 그런 부분까지 다 소화하지 못한 그런 아쉬움이…."]

또, 남해군이 사업 초기 인근 어촌계와 운영 협약조차 맺어놓지 않아, 1년 넘게 운영자를 찾지 못하는 등 애초부터 무리한 사업 추진이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낚시 못 하는 낚시공원’…무리한 추진?
    • 입력 2023-12-06 21:38:37
    • 수정2023-12-06 22:07:22
    뉴스9(창원)
[앵커]

국비 등 54억 원을 들였지만, 1년째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남해군 해양낚시공원 문제 더 짚어봅니다.

애초 이 사업은 그물을 설치해 물고기를 가두는 방식으로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이후 그물 설치가 무산됐는데도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된 정황이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박기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54억 원을 들였지만 1년째 방치된 남해 해양낚시공원은 애초 어떻게 추진됐을까.

사업 추진의 타당성 보고서입니다.

당시 3가지 대안을 놓고 사업성을 분석했는데, 모두 가두리망, 즉 그물 설치가 필수라고 돼 있습니다.

섬 사이에 그물을 설치해 양식 물고기를 가둬놓지 않으면, 낚시객 유치가 어렵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결국, 비용 대비 편익이 높은 최종안으로 2019년 사업이 추진됐지만, 정작 그물 설치는 없던 일이 됐습니다.

그물이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이유였습니다.

[경상남도 관계자/음성변조 : "(그물로) 아예 그걸 막으려고 했다가 오염도 그렇고 하니까. 이걸 막지 말고 네모로 두 개로 만들자…."]

육지에서 바다로 길게 뻗어 있는 이 낚시 교각 2곳에만 17억 원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를 가두는 가두리 망이 설치되지 않으면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습니다.

문제는 그물 설치 무산 이후에도 관련 공사가 계속 됐다는 것입니다.

그물 삭제가 결정된 건 2021년 1월, 이후 부유식 다리와 낚시공원 휴게소, 진입도로 공사 등이 추진됐습니다.

핵심 시설 그물이 빠졌는데도, 사업비의 절반에 가까운 25억 원 규모 공사가 계속된 것입니다.

낚시 대신 레저 시설을 추가하는 설계 변경 등 대안이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입니다.

[정해찬/남해군 해양발전과 주무관 : "다른 큰 전면적인 설계 변경을 하기에는 예산이나 또 절차적인 어려움이 상당히 컸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저희가 그런 부분까지 다 소화하지 못한 그런 아쉬움이…."]

또, 남해군이 사업 초기 인근 어촌계와 운영 협약조차 맺어놓지 않아, 1년 넘게 운영자를 찾지 못하는 등 애초부터 무리한 사업 추진이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기원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그래픽:박수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