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벨 “북한, 미국과 외교 관심없다 판단한듯…억제에 집중해야”
입력 2023.12.08 (04:25)
수정 2023.12.08 (04: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현재 미국과의 외교에 더 이상 관심이 없다고 판단한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라고 말했습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캠벨 후보자는 현지시간 7일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청문회에서 "그것은 우리가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미국이 북한과 건설적으로 외교적 관여를 한 것은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이라면서 "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 미국이 북한과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제가 생각하기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라면서 그 예로 ▲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백신 제공 의사 표명 ▲ 인도주의를 토대로 한 관여 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심지어 서한을 보내거나 북한과 접근하는 데 있어 이에 대해 응대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면서 "저는 북한이 군수품을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 관련해서 위험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상원 외교위 중계 캡처]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캠벨 후보자는 현지시간 7일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청문회에서 "그것은 우리가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미국이 북한과 건설적으로 외교적 관여를 한 것은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이라면서 "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 미국이 북한과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제가 생각하기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라면서 그 예로 ▲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백신 제공 의사 표명 ▲ 인도주의를 토대로 한 관여 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심지어 서한을 보내거나 북한과 접근하는 데 있어 이에 대해 응대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면서 "저는 북한이 군수품을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 관련해서 위험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상원 외교위 중계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캠벨 “북한, 미국과 외교 관심없다 판단한듯…억제에 집중해야”
-
- 입력 2023-12-08 04:25:24
- 수정2023-12-08 04:27:56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현재 미국과의 외교에 더 이상 관심이 없다고 판단한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라고 말했습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캠벨 후보자는 현지시간 7일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청문회에서 "그것은 우리가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미국이 북한과 건설적으로 외교적 관여를 한 것은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이라면서 "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 미국이 북한과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제가 생각하기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라면서 그 예로 ▲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백신 제공 의사 표명 ▲ 인도주의를 토대로 한 관여 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심지어 서한을 보내거나 북한과 접근하는 데 있어 이에 대해 응대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면서 "저는 북한이 군수품을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 관련해서 위험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상원 외교위 중계 캡처]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캠벨 후보자는 현지시간 7일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청문회에서 "그것은 우리가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미국이 북한과 건설적으로 외교적 관여를 한 것은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이라면서 "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 미국이 북한과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제가 생각하기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라면서 그 예로 ▲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백신 제공 의사 표명 ▲ 인도주의를 토대로 한 관여 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심지어 서한을 보내거나 북한과 접근하는 데 있어 이에 대해 응대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후보자는 "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라면서 "저는 북한이 군수품을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 관련해서 위험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상원 외교위 중계 캡처]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