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분석] 120일 대장정 막 올라

입력 2023.12.12 (19:09) 수정 2023.12.12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정치 담당하고 있는 보도국 송민석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송 기자,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됐는데 당장 관심은 '당내 경선을 누가 통과하느냐' 잖아요.

당내 경선 일정은 조율된 게 있습니까?

[기자]

네, 이번 선거는 본선보다 당내 경선이 더 눈길을 끄는 상황이 지역 곳곳에서 연출되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여야 모두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쌍특검법 등 원내 상황으로 공관위 구성이 다소 늦어질 거란 보도가 나오기도 했는데 당에서는 이를 공식 부인했고요.

'빈손 혁신위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국면 전환 카드로 조기에 공관위 구성에 착수할 거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이미 지난 8일에 전략공천 관리위원장을 임명했고 이달 중순에서 하순쯤에는 공관위를 구성한다는 방침인데요.

예단하긴 힘들지만 통산 4월 총선은 1월쯤 경선룰과 전략공천 지역이 확정되면 경선과정을 거친 뒤에 2월 말을 전후해 후보자가 확정되는 수순을 밟아 왔거든요.

이후 3월 21일에 후보자를 등록한 뒤 28일부터는 공식 선거기간이 시작되는데요.

여야 모두 경선 과정에서 얼마나 매끄럽게 교통정리가 이뤄지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 총선에서 충청 민심을 좌우할 쟁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정부 R&D 예산 삭감이나 전세 사기 같은 지역 의제도 적지 않지만 총선 과정에서 지역 이슈가 실종될 거란 우려가 여야에서 공통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 양극화가 극에 달하면서 지역 이슈보다는 '국정 안정론'과 '정부 심판론'이 강하게 부딪히는 일종의 프레임 선거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는 건데요.

여기에 여야 모두 권력 구도 재편이나 계파 갈등으로 당내 분위기가 크게 어수선하고 신당이나 제3지대 연합 가능성도 모두 살아 있어서 당분간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앵커]

앞서 성용희 기자가 보도했지만 지역마다 격전지가 한두 군데가 아닌데요.

총선 관전 포인트 한번 짚어주시죠.

[기자]

먼저 과거 선거 결과를 보면 21대 총선은 잘 아시는 것처럼 민주당의 압승이었습니다.

대전에서 7석을 모두 챙겼고 대전, 세종, 충남 20석 가운데 15석을 가져거갔든요.

그런데 그 전 19대 총선은 지금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의 승리였습니다.

대전에서도 4대3으로 우위를 보였고요.

당시 대전, 세종, 충남 19석 가운데 10석을 가져갔거든요.

그러니까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설욕전을 펼 수 있느냐가 관심인데요.

충청권은 특히 특정 정치성향을 지지하지 않는 스윙보터 성향이 강한 만큼 중도 무당층을 누가 더 끌어들이냐에 선거 결과가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기간 '충청의 아들'을 자처하고 선거를 치른 만큼 이른바 '윤의 남자'들이 충청권에서 얼마만큼의 성적을 거두느냐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반면 지방선거에서 참패했던 민주당은 허태정 전 대전시장과 양승조 충남지사를 비롯해 전직 단체장 출신 인물들이 이번 선거에 대거 뛰어들어서 이번에는 민심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선수들은 속속 입장하는데 이들이 뛸 링은 정해지지 않은 형국이잖아요.

선거구 획정 진행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선거구 획정이 법정 기한을 어기는 건 현역 의원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총선 때마다 벌어지는 일인데요.

이번 역시 같은 사태가 빚어지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에서는 천안을 선거구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천안을 인구수가 기준 상한을 넘어서면서 갑과 병 선거구와의 경계 조정이 필요한 상황인데 여야의 입장 차이로 난항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지난 총선 때도 선거일을 40일 정도 남겨두고 선거구가 최종 결정되면서 후보들이 엉뚱한 곳에서 선거운동을 하다가 지역을 옮기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는데요.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내년 선거 역시 이같은 깜깜이 관행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을 전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분석] 120일 대장정 막 올라
    • 입력 2023-12-12 19:09:54
    • 수정2023-12-12 19:59:26
    뉴스7(대전)
[앵커]

그럼 정치 담당하고 있는 보도국 송민석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송 기자,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됐는데 당장 관심은 '당내 경선을 누가 통과하느냐' 잖아요.

당내 경선 일정은 조율된 게 있습니까?

[기자]

네, 이번 선거는 본선보다 당내 경선이 더 눈길을 끄는 상황이 지역 곳곳에서 연출되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여야 모두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힘은 쌍특검법 등 원내 상황으로 공관위 구성이 다소 늦어질 거란 보도가 나오기도 했는데 당에서는 이를 공식 부인했고요.

'빈손 혁신위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국면 전환 카드로 조기에 공관위 구성에 착수할 거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이미 지난 8일에 전략공천 관리위원장을 임명했고 이달 중순에서 하순쯤에는 공관위를 구성한다는 방침인데요.

예단하긴 힘들지만 통산 4월 총선은 1월쯤 경선룰과 전략공천 지역이 확정되면 경선과정을 거친 뒤에 2월 말을 전후해 후보자가 확정되는 수순을 밟아 왔거든요.

이후 3월 21일에 후보자를 등록한 뒤 28일부터는 공식 선거기간이 시작되는데요.

여야 모두 경선 과정에서 얼마나 매끄럽게 교통정리가 이뤄지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 총선에서 충청 민심을 좌우할 쟁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정부 R&D 예산 삭감이나 전세 사기 같은 지역 의제도 적지 않지만 총선 과정에서 지역 이슈가 실종될 거란 우려가 여야에서 공통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 양극화가 극에 달하면서 지역 이슈보다는 '국정 안정론'과 '정부 심판론'이 강하게 부딪히는 일종의 프레임 선거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는 건데요.

여기에 여야 모두 권력 구도 재편이나 계파 갈등으로 당내 분위기가 크게 어수선하고 신당이나 제3지대 연합 가능성도 모두 살아 있어서 당분간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앵커]

앞서 성용희 기자가 보도했지만 지역마다 격전지가 한두 군데가 아닌데요.

총선 관전 포인트 한번 짚어주시죠.

[기자]

먼저 과거 선거 결과를 보면 21대 총선은 잘 아시는 것처럼 민주당의 압승이었습니다.

대전에서 7석을 모두 챙겼고 대전, 세종, 충남 20석 가운데 15석을 가져거갔든요.

그런데 그 전 19대 총선은 지금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의 승리였습니다.

대전에서도 4대3으로 우위를 보였고요.

당시 대전, 세종, 충남 19석 가운데 10석을 가져갔거든요.

그러니까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설욕전을 펼 수 있느냐가 관심인데요.

충청권은 특히 특정 정치성향을 지지하지 않는 스윙보터 성향이 강한 만큼 중도 무당층을 누가 더 끌어들이냐에 선거 결과가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기간 '충청의 아들'을 자처하고 선거를 치른 만큼 이른바 '윤의 남자'들이 충청권에서 얼마만큼의 성적을 거두느냐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반면 지방선거에서 참패했던 민주당은 허태정 전 대전시장과 양승조 충남지사를 비롯해 전직 단체장 출신 인물들이 이번 선거에 대거 뛰어들어서 이번에는 민심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선수들은 속속 입장하는데 이들이 뛸 링은 정해지지 않은 형국이잖아요.

선거구 획정 진행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선거구 획정이 법정 기한을 어기는 건 현역 의원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총선 때마다 벌어지는 일인데요.

이번 역시 같은 사태가 빚어지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에서는 천안을 선거구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천안을 인구수가 기준 상한을 넘어서면서 갑과 병 선거구와의 경계 조정이 필요한 상황인데 여야의 입장 차이로 난항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지난 총선 때도 선거일을 40일 정도 남겨두고 선거구가 최종 결정되면서 후보들이 엉뚱한 곳에서 선거운동을 하다가 지역을 옮기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는데요.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내년 선거 역시 이같은 깜깜이 관행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을 전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