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 청년 80% “탈고립 원해”…정부, 첫 종합대책 마련

입력 2023.12.13 (16:00) 수정 2023.12.13 (16: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고립·은둔 청년이 최대 54만 명으로 추산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정부가 이들을 지원할 첫 종합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13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생애주기별 지원 시스템이 담긴 '고립·은둔 청년 지원방안'을 보고했습니다.

'2022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서 고립·은둔을 생각하는 위기 청년 규모가 최대 54만 명에 달할 수 있다는 결과에 따른 대책입니다.

복지부는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고립·은둔 청년 8,874명을 대상으로 첫 심층 실태조사를 벌인 뒤, 이를 토대로 관련 부처들과 지원 방안을 수립했습니다.

■'직업 어려움'으로 고립·은둔 생활 시작…10대는 '관계'

실태조사 결과, 가장 많은 청년이 고립·은둔 생활을 시작하게 된 계기로 꼽은 것은 '직업 관련 어려움'(24.1%)이었습니다.

직업 문제와 비슷한 비율로 '대인관계'(23.5%)의 어려움이 언급됐고, '가족관계'(12.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대 청소년은 '관계' 속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7.1%가 대인관계로 인해 은둔·고립 생활을 시작했다고 밝혔으며, 18.4%는 가족관계를 이유로 꼽기도 했습니다.

폭력이나 괴롭힘이 원인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도 15.4%에 달했습니다.

■10명 중 8명 탈고립 원해…재고립은 45.6%

고립·은둔 청년 대다수는 '탈고립' 의사를 뚜렷하게 표현했습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현재 상태를 벗어나길 원한다'고 답했고, 67.2%는 민간 기관에 문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탈고립 시도를 하기도 했습니다.

일상생활로 복귀를 시도하지 않은 응답자 중에서는 '도움을 받을 방안 자체를 몰라서'라고 밝힌 청년이 28.5%나 됐습니다.

하지만 어렵게 시도에 나서도 다시 재고립되는 비율은 45.6%나 됐습니다.

청년들이 다시 고립 은둔 생활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돈·시간이 부족해서'가 27.2%였고, 힘들고 지쳐서(25.0%),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22.9%) 순이었습니다.

■청년기 생애주기별 시스템 마련…조기 발굴도 노력

정부는 이런 심층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만을 대상으로 한 4개 주요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립·은둔 청년 조기 발굴 체계 마련 ▲고립·은둔 청년 지원 시범사업 실시 ▲학령기, 취업, 직장 초기 일상 속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내 자원 연계, 법적 근거 마련 등을 통해 예방부터 관리까지 이어가겠다는 목표입니다.

정부는 일단 온라인 자가진단시스템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위기 정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원스톱 도움창구와 129콜에 청년 카테고리 항목 등을 만들어 본인 또는 주변인들이 언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나갈 방침입니다.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도 시행합니다.

2024년부터 고립·은둔 청년만을 전담으로 지원하는 전담기관을 4개 지역에 설치해, 관리사가 청년을 직접 방문해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청년기 전후로 생애주기별 시스템을 마련해 고립·은둔을 예방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통합지원팀'과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등을 활용해 학교 안팎의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고, 취업 준비 중인 청년을 위한 '청년성장프로젝트' 신설, 기존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어 취업 후에도 청년들이 직장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수립해 안전망을 촘촘히 마련해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힘들어하는 청년들이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들이 일반청년과 같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돕는 것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길"이라고 취지를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립·은둔 청년 80% “탈고립 원해”…정부, 첫 종합대책 마련
    • 입력 2023-12-13 16:00:10
    • 수정2023-12-13 16:20:09
    사회
국내 고립·은둔 청년이 최대 54만 명으로 추산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정부가 이들을 지원할 첫 종합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13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생애주기별 지원 시스템이 담긴 '고립·은둔 청년 지원방안'을 보고했습니다.

'2022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서 고립·은둔을 생각하는 위기 청년 규모가 최대 54만 명에 달할 수 있다는 결과에 따른 대책입니다.

복지부는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고립·은둔 청년 8,874명을 대상으로 첫 심층 실태조사를 벌인 뒤, 이를 토대로 관련 부처들과 지원 방안을 수립했습니다.

■'직업 어려움'으로 고립·은둔 생활 시작…10대는 '관계'

실태조사 결과, 가장 많은 청년이 고립·은둔 생활을 시작하게 된 계기로 꼽은 것은 '직업 관련 어려움'(24.1%)이었습니다.

직업 문제와 비슷한 비율로 '대인관계'(23.5%)의 어려움이 언급됐고, '가족관계'(12.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대 청소년은 '관계' 속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7.1%가 대인관계로 인해 은둔·고립 생활을 시작했다고 밝혔으며, 18.4%는 가족관계를 이유로 꼽기도 했습니다.

폭력이나 괴롭힘이 원인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도 15.4%에 달했습니다.

■10명 중 8명 탈고립 원해…재고립은 45.6%

고립·은둔 청년 대다수는 '탈고립' 의사를 뚜렷하게 표현했습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현재 상태를 벗어나길 원한다'고 답했고, 67.2%는 민간 기관에 문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탈고립 시도를 하기도 했습니다.

일상생활로 복귀를 시도하지 않은 응답자 중에서는 '도움을 받을 방안 자체를 몰라서'라고 밝힌 청년이 28.5%나 됐습니다.

하지만 어렵게 시도에 나서도 다시 재고립되는 비율은 45.6%나 됐습니다.

청년들이 다시 고립 은둔 생활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돈·시간이 부족해서'가 27.2%였고, 힘들고 지쳐서(25.0%),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22.9%) 순이었습니다.

■청년기 생애주기별 시스템 마련…조기 발굴도 노력

정부는 이런 심층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만을 대상으로 한 4개 주요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립·은둔 청년 조기 발굴 체계 마련 ▲고립·은둔 청년 지원 시범사업 실시 ▲학령기, 취업, 직장 초기 일상 속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내 자원 연계, 법적 근거 마련 등을 통해 예방부터 관리까지 이어가겠다는 목표입니다.

정부는 일단 온라인 자가진단시스템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위기 정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원스톱 도움창구와 129콜에 청년 카테고리 항목 등을 만들어 본인 또는 주변인들이 언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나갈 방침입니다.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도 시행합니다.

2024년부터 고립·은둔 청년만을 전담으로 지원하는 전담기관을 4개 지역에 설치해, 관리사가 청년을 직접 방문해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청년기 전후로 생애주기별 시스템을 마련해 고립·은둔을 예방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통합지원팀'과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등을 활용해 학교 안팎의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고, 취업 준비 중인 청년을 위한 '청년성장프로젝트' 신설, 기존 청년도전지원사업 확대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어 취업 후에도 청년들이 직장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수립해 안전망을 촘촘히 마련해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힘들어하는 청년들이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들이 일반청년과 같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돕는 것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길"이라고 취지를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