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덩이’ 굴 껍데기의 변신…재활용률 높인다

입력 2023.12.18 (09:52) 수정 2023.12.18 (0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겨울이면 그 맛을 더하는 굴, 하지만 양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굴 껍데기 처리가 오랜 고민거리였는데요.

그냥 버려지던 굴 껍데기를 활용하는 신기술이 개발돼 새롭게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굴 생산의 70%를 담당하는 경남 통영, 통영에서만 한 해 약 20만 톤의 굴 껍데기가 생깁니다.

절반은 비료 등으로 활용하지만, 나머지는 산업 폐기물로 버려집니다.

처리에 골머리를 앓던 굴 껍데기가 새롭게 재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한 초등학교 등하굣길에 가지런히 깔려 있는 회색빛 보도블록, 재료는 굴 껍데기입니다.

시멘트로 만든 보도블록보다 20배 정도 물 빠짐이 좋아, 미끄럼 사고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종국/경남 통영 벽방초등학교장 : "굴 (껍데기)를 가지고 이런 자원화를 해서 보도블록을 만들었다는 회사를 우연히 알게 돼서, 우리 학교에 한 번 해보면 좋겠다 싶어서…"]

처치 곤란이었던 굴 껍데기가 보도블록으로 바뀐 건 한 신생기업의 기술 덕분입니다.

탄산칼슘이 주 성분인 굴 껍데기가 물과 반응하면, 시멘트와 같은 성분으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했습니다.

가격도 기존 제품보다 30% 정도 저렴합니다.

[이창열/보도블록 제조업체 대표 : "(제품의) 강도를 상당히 내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투수(물 빠짐)는 잡고 좀 더 기술적인 (작업을) 해서 강도를 좀 더 (시멘트와 비슷하게) 부합하면…"]

굴 껍데기를 비롯해 전국에서 발생하는 수산 부산물은 연간 100만여 톤 규모, 이 가운데 재활용되는 것은 불과 20%도 되지 않습니다.

해양수산부는 2027년까지 수산 부산물 재활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에 1,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골칫덩이’ 굴 껍데기의 변신…재활용률 높인다
    • 입력 2023-12-18 09:52:24
    • 수정2023-12-18 09:58:34
    930뉴스
[앵커]

겨울이면 그 맛을 더하는 굴, 하지만 양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굴 껍데기 처리가 오랜 고민거리였는데요.

그냥 버려지던 굴 껍데기를 활용하는 신기술이 개발돼 새롭게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굴 생산의 70%를 담당하는 경남 통영, 통영에서만 한 해 약 20만 톤의 굴 껍데기가 생깁니다.

절반은 비료 등으로 활용하지만, 나머지는 산업 폐기물로 버려집니다.

처리에 골머리를 앓던 굴 껍데기가 새롭게 재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한 초등학교 등하굣길에 가지런히 깔려 있는 회색빛 보도블록, 재료는 굴 껍데기입니다.

시멘트로 만든 보도블록보다 20배 정도 물 빠짐이 좋아, 미끄럼 사고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종국/경남 통영 벽방초등학교장 : "굴 (껍데기)를 가지고 이런 자원화를 해서 보도블록을 만들었다는 회사를 우연히 알게 돼서, 우리 학교에 한 번 해보면 좋겠다 싶어서…"]

처치 곤란이었던 굴 껍데기가 보도블록으로 바뀐 건 한 신생기업의 기술 덕분입니다.

탄산칼슘이 주 성분인 굴 껍데기가 물과 반응하면, 시멘트와 같은 성분으로 바뀌는 원리를 이용했습니다.

가격도 기존 제품보다 30% 정도 저렴합니다.

[이창열/보도블록 제조업체 대표 : "(제품의) 강도를 상당히 내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투수(물 빠짐)는 잡고 좀 더 기술적인 (작업을) 해서 강도를 좀 더 (시멘트와 비슷하게) 부합하면…"]

굴 껍데기를 비롯해 전국에서 발생하는 수산 부산물은 연간 100만여 톤 규모, 이 가운데 재활용되는 것은 불과 20%도 되지 않습니다.

해양수산부는 2027년까지 수산 부산물 재활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에 1,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