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수집 노인 전국 4만 2천여 명…일자리 연계 등 지원대책 마련

입력 2023.12.28 (15:02) 수정 2023.12.28 (15: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지를 주워 얻은 소득으로 생계비나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이 전국에서 4만 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28일), 폐지수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첫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복지부는 지난 6월부터 이번 달까지 폐지 수집 노인 1,035명과 고물상 105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됐습니다.

■ 폐지수집 소득 월 15만 9천 원…"최저임금 13% 수준"

조사 결과, 전국 폐지 수집 노인 규모는 약 4만 2천 명으로 추정되며 평균 연령은 76세였습니다.

해당 노인들은 하루 평균 5.4시간씩 폐지를 주우며, 일주일에 6일 일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폐지를 주워 얻은 소득은 월 15만 9천 원으로 집계돼, 시간당 수입으로 환산하면 최저임금의 13% 수준인 1,226원이었습니다.

폐지 수집에 나선 이유로는 응답 노인의 54.8%가 '생계비 마련'을 위해서라고 답했고, 29.3%는 '용돈이 필요해서' 폐지 수집 활동한다고 말했습니다.

폐지수집 노인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74만 2천 원, 가구 소득은 113만 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서 파악된 전체 노인의 개인소득 129만 8천 원과 가구 소득 252도 2천 원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폐지수집 노인의 주된 소득원은 기초연금 49.9%, 폐지수집 활동 15%, 공적연금 13.9%, 기초생활보장급여 9.6% 순으로 나타나 총 소득에서 기초연금과 폐지수집 활동 수입의 비중이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지부는 이런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지 수집 노인 관리체계 구축 ▲노인 일자리 사업 연계 ▲보건복지서비스 연계라는 세 축의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계되지 않던 '폐지 수집 노인' 발굴 시작

내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폐지 수집 노인 전수조사를 실시해 주기적인 현황 점검에 나섭니다.

각 시군구에 있는 고물상 등을 통해 폐지수집 노인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고, 서비스 지원 현황을 파악합니다.

또, 폐지 수집 노인 지원 표준 조례안을 안내해 지자체가 조례 제·개정을 통해 폐지 수집 노인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노일 일자리 사업으로 연계…월 29만 원에서 76만 원

지자체는 이렇게 확보된 명단을 토대로 폐지 수집 노인을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유도합니다.

노인의 연령과 역량, 근로 욕구 등을 토대로 75세 이상에는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근로 능력이 높거나 높은 소득을 원하는 노인은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로 안내합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과 연계할 경우, 월 29만 원에서 76만 원 수준의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폐지 수집을 이어가고자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는 '자원 재활용 시장형 사업단'과 연계해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업단에 참여하면 상해 보험에 가입하는 등 안정적 환경에서 월평균 37만 원의 소득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누락된 '복지 서비스'도 지원

이외에도 폐지 수집 노인이 받고 있는 보건복지서비스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누락된 제도들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건강과 심리 상태 등이 열악할 경우에는 보건소 등에서 시행하는 방문건강관리 사업·노인 맞춤 돌봄서비스·통합사례관리 제도를 이용해 폐지 수집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해나갈 계획입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은 "폐지 수집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폐지 수집 노인 전국 4만 2천여 명…일자리 연계 등 지원대책 마련
    • 입력 2023-12-28 15:02:43
    • 수정2023-12-28 15:14:37
    사회
폐지를 주워 얻은 소득으로 생계비나 용돈을 마련하는 노인이 전국에서 4만 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28일), 폐지수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첫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복지부는 지난 6월부터 이번 달까지 폐지 수집 노인 1,035명과 고물상 105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됐습니다.

■ 폐지수집 소득 월 15만 9천 원…"최저임금 13% 수준"

조사 결과, 전국 폐지 수집 노인 규모는 약 4만 2천 명으로 추정되며 평균 연령은 76세였습니다.

해당 노인들은 하루 평균 5.4시간씩 폐지를 주우며, 일주일에 6일 일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폐지를 주워 얻은 소득은 월 15만 9천 원으로 집계돼, 시간당 수입으로 환산하면 최저임금의 13% 수준인 1,226원이었습니다.

폐지 수집에 나선 이유로는 응답 노인의 54.8%가 '생계비 마련'을 위해서라고 답했고, 29.3%는 '용돈이 필요해서' 폐지 수집 활동한다고 말했습니다.

폐지수집 노인의 월평균 개인소득은 74만 2천 원, 가구 소득은 113만 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서 파악된 전체 노인의 개인소득 129만 8천 원과 가구 소득 252도 2천 원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폐지수집 노인의 주된 소득원은 기초연금 49.9%, 폐지수집 활동 15%, 공적연금 13.9%, 기초생활보장급여 9.6% 순으로 나타나 총 소득에서 기초연금과 폐지수집 활동 수입의 비중이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지부는 이런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지 수집 노인 관리체계 구축 ▲노인 일자리 사업 연계 ▲보건복지서비스 연계라는 세 축의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계되지 않던 '폐지 수집 노인' 발굴 시작

내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폐지 수집 노인 전수조사를 실시해 주기적인 현황 점검에 나섭니다.

각 시군구에 있는 고물상 등을 통해 폐지수집 노인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고, 서비스 지원 현황을 파악합니다.

또, 폐지 수집 노인 지원 표준 조례안을 안내해 지자체가 조례 제·개정을 통해 폐지 수집 노인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노일 일자리 사업으로 연계…월 29만 원에서 76만 원

지자체는 이렇게 확보된 명단을 토대로 폐지 수집 노인을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유도합니다.

노인의 연령과 역량, 근로 욕구 등을 토대로 75세 이상에는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근로 능력이 높거나 높은 소득을 원하는 노인은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로 안내합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과 연계할 경우, 월 29만 원에서 76만 원 수준의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폐지 수집을 이어가고자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는 '자원 재활용 시장형 사업단'과 연계해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업단에 참여하면 상해 보험에 가입하는 등 안정적 환경에서 월평균 37만 원의 소득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누락된 '복지 서비스'도 지원

이외에도 폐지 수집 노인이 받고 있는 보건복지서비스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누락된 제도들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건강과 심리 상태 등이 열악할 경우에는 보건소 등에서 시행하는 방문건강관리 사업·노인 맞춤 돌봄서비스·통합사례관리 제도를 이용해 폐지 수집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해나갈 계획입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은 "폐지 수집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