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사설 “북 위협, 무시가 능사 아냐” 대응계획 촉구

입력 2024.01.25 (08:57) 수정 2024.01.25 (0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유력 언론이 사설을 통해 북한발 위협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미국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 시각 24일 ‘증가하는 북한 위협, 무시는 통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근 도발이 그저 좀 더 큰 허장성세에 그치길 희망할 수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그 위협을 더 심각한 것으로 간주하고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썼습니다.

사설은 “북한은 이제 확고한 핵무기 보유국이 됐고, 미사일과 극초음속 활공체와 같은 다른 기술들을 계속 확장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김정은은 과거와 같이 이 증가하는 힘을 지렛대와 위협 용도로 사용할지도 모른다”면서도 “아니면 그의 무력시위는 훨씬 더 나쁜 일의 전조일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와 더불어 사설은 북한의 핵무기와 첨단 미사일 추구를 저지하기 위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오랜 노력이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역대 미국 정권이 고립과 제재·회유·보상 등 여러 수단을 썼지만 어떤 것도 통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새로운 후원자’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다가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언급입니다.

그러면서 사설은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받은 포탄과 미사일에 대한 대가로 정교한 무기 기술을 북한에 보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 사설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현시점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 대한 지렛대가 거의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발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외교의 무대로 돌아올 것을 북한에 촉구하는 동시에 한국, 일본 등 역내 동맹국들과 함께 대북 억지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반복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워싱턴포스트 사설 “북 위협, 무시가 능사 아냐” 대응계획 촉구
    • 입력 2024-01-25 08:57:57
    • 수정2024-01-25 09:15:25
    국제
미국 유력 언론이 사설을 통해 북한발 위협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미국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 시각 24일 ‘증가하는 북한 위협, 무시는 통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근 도발이 그저 좀 더 큰 허장성세에 그치길 희망할 수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그 위협을 더 심각한 것으로 간주하고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썼습니다.

사설은 “북한은 이제 확고한 핵무기 보유국이 됐고, 미사일과 극초음속 활공체와 같은 다른 기술들을 계속 확장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김정은은 과거와 같이 이 증가하는 힘을 지렛대와 위협 용도로 사용할지도 모른다”면서도 “아니면 그의 무력시위는 훨씬 더 나쁜 일의 전조일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와 더불어 사설은 북한의 핵무기와 첨단 미사일 추구를 저지하기 위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오랜 노력이 최악의 상황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역대 미국 정권이 고립과 제재·회유·보상 등 여러 수단을 썼지만 어떤 것도 통하지 않은 상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새로운 후원자’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다가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언급입니다.

그러면서 사설은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받은 포탄과 미사일에 대한 대가로 정교한 무기 기술을 북한에 보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 사설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현시점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 대한 지렛대가 거의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발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외교의 무대로 돌아올 것을 북한에 촉구하는 동시에 한국, 일본 등 역내 동맹국들과 함께 대북 억지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반복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