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반도 전문가들 “러시아, 전문가패널 중단으로 대북제재 영구해체 착수”
입력 2024.03.31 (06:14)
수정 2024.03.31 (06: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활동이 다음 달 말 중단되게끔 한 러시아의 안보리 거부권 행사는 대북 제재를 영구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것이라고 미국 싱크탱크 소속 한반도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와 엘런 김 선임 연구원은 현지시간으로 29일 CSIS 홈페이지에 문답 형식으로 올린 글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는 유엔 대북 제재 체제를 약화하려는 조직적인 노력의 세 번째 단계”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러시아가 1단계인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행 중단, 2단계인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신규 안보리 제재 결의 저지에 이어 3단계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체제를 영구적으로 해체하는 조치에 착수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러시아가 이번에 전문가 패널 임기 연장을 좌절시키면서 동시에 현존 대북 제재의 ‘일몰’ 조항 도입을 요구한 것이 그 증거라고 차 석좌 등은 지적했습니다.
러시아의 이런 행동의 배경과 관련, 차 석좌 등은 작년 9월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러시아 탄약 및 탄도 미사일 공급 등으로 밀월기를 보내고 있는 북러 관계를 거론했습니다.
이들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추가 군사지원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러북 호혜적 협력을 지속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결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안보리에서 북한을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전문가 패널이 없으면 유엔 회원국 입장에서는 현재의 제재 체제에 생긴 구멍을 메우고 이행을 감시할 제3자 기구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체제’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한국, 호주와 유사한 입장을 가진 다른 파트너 국가 등 핵심 국가들이 정보, 제재 정책 집행을 위한 입법 등에서 공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주요 7개국과 호주, 한국, 스페인 등이 적극적으로 정책 공조를 하면 완벽하진 않지만 효과적인 대체제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28일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패널의 임기 연장 결의안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짐으로써 안보리 상임이사국(미·영·프·중·러)만 가진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이로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감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전문가 패널이 4월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된 전문가 패널은 안보리 대북제재위를 보조해 북한의 제재 위반 혐의 사례를 조사하고 매년 두 차례 대북제재 이행 위반에 관한 심층 보고서를 내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와 엘런 김 선임 연구원은 현지시간으로 29일 CSIS 홈페이지에 문답 형식으로 올린 글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는 유엔 대북 제재 체제를 약화하려는 조직적인 노력의 세 번째 단계”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러시아가 1단계인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행 중단, 2단계인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신규 안보리 제재 결의 저지에 이어 3단계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체제를 영구적으로 해체하는 조치에 착수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러시아가 이번에 전문가 패널 임기 연장을 좌절시키면서 동시에 현존 대북 제재의 ‘일몰’ 조항 도입을 요구한 것이 그 증거라고 차 석좌 등은 지적했습니다.
러시아의 이런 행동의 배경과 관련, 차 석좌 등은 작년 9월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러시아 탄약 및 탄도 미사일 공급 등으로 밀월기를 보내고 있는 북러 관계를 거론했습니다.
이들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추가 군사지원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러북 호혜적 협력을 지속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결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안보리에서 북한을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전문가 패널이 없으면 유엔 회원국 입장에서는 현재의 제재 체제에 생긴 구멍을 메우고 이행을 감시할 제3자 기구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체제’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한국, 호주와 유사한 입장을 가진 다른 파트너 국가 등 핵심 국가들이 정보, 제재 정책 집행을 위한 입법 등에서 공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주요 7개국과 호주, 한국, 스페인 등이 적극적으로 정책 공조를 하면 완벽하진 않지만 효과적인 대체제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28일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패널의 임기 연장 결의안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짐으로써 안보리 상임이사국(미·영·프·중·러)만 가진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이로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감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전문가 패널이 4월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된 전문가 패널은 안보리 대북제재위를 보조해 북한의 제재 위반 혐의 사례를 조사하고 매년 두 차례 대북제재 이행 위반에 관한 심층 보고서를 내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한반도 전문가들 “러시아, 전문가패널 중단으로 대북제재 영구해체 착수”
-
- 입력 2024-03-31 06:14:25
- 수정2024-03-31 06:43:4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활동이 다음 달 말 중단되게끔 한 러시아의 안보리 거부권 행사는 대북 제재를 영구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것이라고 미국 싱크탱크 소속 한반도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와 엘런 김 선임 연구원은 현지시간으로 29일 CSIS 홈페이지에 문답 형식으로 올린 글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는 유엔 대북 제재 체제를 약화하려는 조직적인 노력의 세 번째 단계”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러시아가 1단계인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행 중단, 2단계인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신규 안보리 제재 결의 저지에 이어 3단계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체제를 영구적으로 해체하는 조치에 착수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러시아가 이번에 전문가 패널 임기 연장을 좌절시키면서 동시에 현존 대북 제재의 ‘일몰’ 조항 도입을 요구한 것이 그 증거라고 차 석좌 등은 지적했습니다.
러시아의 이런 행동의 배경과 관련, 차 석좌 등은 작년 9월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러시아 탄약 및 탄도 미사일 공급 등으로 밀월기를 보내고 있는 북러 관계를 거론했습니다.
이들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추가 군사지원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러북 호혜적 협력을 지속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결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안보리에서 북한을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전문가 패널이 없으면 유엔 회원국 입장에서는 현재의 제재 체제에 생긴 구멍을 메우고 이행을 감시할 제3자 기구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체제’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한국, 호주와 유사한 입장을 가진 다른 파트너 국가 등 핵심 국가들이 정보, 제재 정책 집행을 위한 입법 등에서 공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주요 7개국과 호주, 한국, 스페인 등이 적극적으로 정책 공조를 하면 완벽하진 않지만 효과적인 대체제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28일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패널의 임기 연장 결의안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짐으로써 안보리 상임이사국(미·영·프·중·러)만 가진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이로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감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전문가 패널이 4월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된 전문가 패널은 안보리 대북제재위를 보조해 북한의 제재 위반 혐의 사례를 조사하고 매년 두 차례 대북제재 이행 위반에 관한 심층 보고서를 내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와 엘런 김 선임 연구원은 현지시간으로 29일 CSIS 홈페이지에 문답 형식으로 올린 글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는 유엔 대북 제재 체제를 약화하려는 조직적인 노력의 세 번째 단계”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러시아가 1단계인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행 중단, 2단계인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신규 안보리 제재 결의 저지에 이어 3단계로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체제를 영구적으로 해체하는 조치에 착수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러시아가 이번에 전문가 패널 임기 연장을 좌절시키면서 동시에 현존 대북 제재의 ‘일몰’ 조항 도입을 요구한 것이 그 증거라고 차 석좌 등은 지적했습니다.
러시아의 이런 행동의 배경과 관련, 차 석좌 등은 작년 9월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대러시아 탄약 및 탄도 미사일 공급 등으로 밀월기를 보내고 있는 북러 관계를 거론했습니다.
이들은 “푸틴(러시아 대통령)으로선 미국의 대우크라이나 추가 군사지원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러북 호혜적 협력을 지속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결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안보리에서 북한을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거의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전문가 패널이 없으면 유엔 회원국 입장에서는 현재의 제재 체제에 생긴 구멍을 메우고 이행을 감시할 제3자 기구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체제’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한국, 호주와 유사한 입장을 가진 다른 파트너 국가 등 핵심 국가들이 정보, 제재 정책 집행을 위한 입법 등에서 공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차 석좌 등은 “주요 7개국과 호주, 한국, 스페인 등이 적극적으로 정책 공조를 하면 완벽하진 않지만 효과적인 대체제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28일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패널의 임기 연장 결의안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짐으로써 안보리 상임이사국(미·영·프·중·러)만 가진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이로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감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전문가 패널이 4월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습니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된 전문가 패널은 안보리 대북제재위를 보조해 북한의 제재 위반 혐의 사례를 조사하고 매년 두 차례 대북제재 이행 위반에 관한 심층 보고서를 내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