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대신 ‘해양’…옛 부산외대 땅 개발 윤곽
입력 2024.04.23 (21:46)
수정 2024.04.23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0년 가까이 방치된 부산 남구 옛 부산외대 땅의 개발안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2년 전, 부산시가 발표한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입니다.
공공기여협상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개발, 공공성 확보 방안이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 남구 우암동의 옛 부산외대 터.
13만여 제곱미터 땅의 개발 계획안이 나왔습니다.
전체 땅의 58%, 7만 6천여 제곱미터에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최대 높이 49층에 12개 동, 2천 4백여 가구 입주 규모입니다.
개발 이익을 바탕으로 사업자가 부산시에 낼 공공기여액은 천백억여 원으로 추산됩니다.
'복합용지'의 개발 방향은 애초 계획에서 변경됐습니다.
부산시는 2년 전 이곳을 게임산업 특화지역으로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사업자는 게임산업 침체 등을 이유로 '해양치유센터'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조성된 전라남도 완도의 해양치유센터가 본보기입니다.
사업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해양치유산업'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협상의 핵심은 주거시설의 규모, 그리고 복합용지 개발 구상안의 타당성입니다.
[차동원/부산시 복합개발계획팀장 : "그 지역에 대해 고밀도와 저밀도의 적정한 배분을 통해서 양질의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부산에서 4번째 공공기여협상으로 진행되는 개발 사업인데, 앞선 사례들과 달리 개발 예정지 면적의 50% 이상이 '자연녹지'입니다.
'자연녹지'는 개발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보존녹지'와는 다르게 주거 개발이 가능하지만, 개발 이익 규모에 따라 사업자 특혜 논란도 일 수 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시설에 대해서 먼저 고민한 다음에 지역의 경제나 지역을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 게 공공개발이고 공공성인데…."]
부산시는 다음 달 중으로 외부 전문위원을 포함해 전체 9명 안팎으로 구성된 공공기여협상 조정위원회를 꾸려 본협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10년 가까이 방치된 부산 남구 옛 부산외대 땅의 개발안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2년 전, 부산시가 발표한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입니다.
공공기여협상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개발, 공공성 확보 방안이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 남구 우암동의 옛 부산외대 터.
13만여 제곱미터 땅의 개발 계획안이 나왔습니다.
전체 땅의 58%, 7만 6천여 제곱미터에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최대 높이 49층에 12개 동, 2천 4백여 가구 입주 규모입니다.
개발 이익을 바탕으로 사업자가 부산시에 낼 공공기여액은 천백억여 원으로 추산됩니다.
'복합용지'의 개발 방향은 애초 계획에서 변경됐습니다.
부산시는 2년 전 이곳을 게임산업 특화지역으로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사업자는 게임산업 침체 등을 이유로 '해양치유센터'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조성된 전라남도 완도의 해양치유센터가 본보기입니다.
사업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해양치유산업'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협상의 핵심은 주거시설의 규모, 그리고 복합용지 개발 구상안의 타당성입니다.
[차동원/부산시 복합개발계획팀장 : "그 지역에 대해 고밀도와 저밀도의 적정한 배분을 통해서 양질의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부산에서 4번째 공공기여협상으로 진행되는 개발 사업인데, 앞선 사례들과 달리 개발 예정지 면적의 50% 이상이 '자연녹지'입니다.
'자연녹지'는 개발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보존녹지'와는 다르게 주거 개발이 가능하지만, 개발 이익 규모에 따라 사업자 특혜 논란도 일 수 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시설에 대해서 먼저 고민한 다음에 지역의 경제나 지역을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 게 공공개발이고 공공성인데…."]
부산시는 다음 달 중으로 외부 전문위원을 포함해 전체 9명 안팎으로 구성된 공공기여협상 조정위원회를 꾸려 본협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게임’ 대신 ‘해양’…옛 부산외대 땅 개발 윤곽
-
- 입력 2024-04-23 21:46:45
- 수정2024-04-23 22:06:00
[앵커]
10년 가까이 방치된 부산 남구 옛 부산외대 땅의 개발안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2년 전, 부산시가 발표한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입니다.
공공기여협상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개발, 공공성 확보 방안이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 남구 우암동의 옛 부산외대 터.
13만여 제곱미터 땅의 개발 계획안이 나왔습니다.
전체 땅의 58%, 7만 6천여 제곱미터에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최대 높이 49층에 12개 동, 2천 4백여 가구 입주 규모입니다.
개발 이익을 바탕으로 사업자가 부산시에 낼 공공기여액은 천백억여 원으로 추산됩니다.
'복합용지'의 개발 방향은 애초 계획에서 변경됐습니다.
부산시는 2년 전 이곳을 게임산업 특화지역으로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사업자는 게임산업 침체 등을 이유로 '해양치유센터'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조성된 전라남도 완도의 해양치유센터가 본보기입니다.
사업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해양치유산업'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협상의 핵심은 주거시설의 규모, 그리고 복합용지 개발 구상안의 타당성입니다.
[차동원/부산시 복합개발계획팀장 : "그 지역에 대해 고밀도와 저밀도의 적정한 배분을 통해서 양질의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부산에서 4번째 공공기여협상으로 진행되는 개발 사업인데, 앞선 사례들과 달리 개발 예정지 면적의 50% 이상이 '자연녹지'입니다.
'자연녹지'는 개발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보존녹지'와는 다르게 주거 개발이 가능하지만, 개발 이익 규모에 따라 사업자 특혜 논란도 일 수 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시설에 대해서 먼저 고민한 다음에 지역의 경제나 지역을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 게 공공개발이고 공공성인데…."]
부산시는 다음 달 중으로 외부 전문위원을 포함해 전체 9명 안팎으로 구성된 공공기여협상 조정위원회를 꾸려 본협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10년 가까이 방치된 부산 남구 옛 부산외대 땅의 개발안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2년 전, 부산시가 발표한 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입니다.
공공기여협상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 개발, 공공성 확보 방안이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산 남구 우암동의 옛 부산외대 터.
13만여 제곱미터 땅의 개발 계획안이 나왔습니다.
전체 땅의 58%, 7만 6천여 제곱미터에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최대 높이 49층에 12개 동, 2천 4백여 가구 입주 규모입니다.
개발 이익을 바탕으로 사업자가 부산시에 낼 공공기여액은 천백억여 원으로 추산됩니다.
'복합용지'의 개발 방향은 애초 계획에서 변경됐습니다.
부산시는 2년 전 이곳을 게임산업 특화지역으로 조성하겠다고 했지만, 사업자는 게임산업 침체 등을 이유로 '해양치유센터'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조성된 전라남도 완도의 해양치유센터가 본보기입니다.
사업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해양치유산업'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협상의 핵심은 주거시설의 규모, 그리고 복합용지 개발 구상안의 타당성입니다.
[차동원/부산시 복합개발계획팀장 : "그 지역에 대해 고밀도와 저밀도의 적정한 배분을 통해서 양질의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부산에서 4번째 공공기여협상으로 진행되는 개발 사업인데, 앞선 사례들과 달리 개발 예정지 면적의 50% 이상이 '자연녹지'입니다.
'자연녹지'는 개발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보존녹지'와는 다르게 주거 개발이 가능하지만, 개발 이익 규모에 따라 사업자 특혜 논란도 일 수 있습니다.
[양미숙/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시설에 대해서 먼저 고민한 다음에 지역의 경제나 지역을 조화롭게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 게 공공개발이고 공공성인데…."]
부산시는 다음 달 중으로 외부 전문위원을 포함해 전체 9명 안팎으로 구성된 공공기여협상 조정위원회를 꾸려 본협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아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