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시설도 광역화가 해답…“진주·사천도 서둘러야”

입력 2024.04.24 (08:02) 수정 2024.04.24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연성 폐기물 매립 금지 등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 규정에, 자치단체마다 소각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는데요.

환경부가 인근 시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광역 소각시설에 지원을 늘리고 있어, 진주와 사천도 소각시설 광역화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조미령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년 전 문을 연 통영시와 고성군의 광역소각시설,

제어실에서는 배출 물질의 대기와 수질 기준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하루 폐기물 처리량은 130톤, 통영과 고성 비율은 8대 2 정돕니다.

2013년 계획 수립 이후 주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9년 만에 완공했습니다.

[신종덕/통영시 자원순환과장 : "타 자치단체의 모범 사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정부의 폐기물 최적화 정책에 따라 추진해 국비 지원이 증액돼 지방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2030년부터 가연성 폐기물 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환경부는 인접 시·군이 소각시설을 광역화할 경우, 국비 지원을 30%에서 50%로 늘립니다.

통영과 고성도 광역화로 사업비를 105억 원 아꼈습니다.

여기다 추가 지원으로 주민 편의시설로 수영장을 짓고, 공모사업으로 조합이 운영하는 친환경 에너지타운까지 만들었습니다.

소각시설 확충을 제각각 추진하는 진주시와 사천시도 광역화를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윱니다.

[유계현/경남도의원 : "무엇보다도 저는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크다, 그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광역화해서 두 시가 협의를 하면 정말 도움이 안 되겠나."]

경남의 소각시설은 모두 20곳, 하루 최대 쓰레기 처리량은 천6백여 톤.

통영·고성에 이어 남해·하동과 김해·진해가 광역 소각시설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김태희/경상남도 환경정책과장 : "광역화를 추진할 경우 재정적 인센티브, 민원이나 여러 가지 문제에 공동 대응을 통해 소각장 설치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2025년 이후 신설이나 증설·보수가 필요한 경남의 시·군 소각시설은 모두 7곳, 경상남도는 이들 지역의 소각시설 광역화 방안과 추가 인센티브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각시설도 광역화가 해답…“진주·사천도 서둘러야”
    • 입력 2024-04-24 08:02:27
    • 수정2024-04-24 08:47:04
    뉴스광장(창원)
[앵커]

가연성 폐기물 매립 금지 등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 규정에, 자치단체마다 소각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는데요.

환경부가 인근 시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광역 소각시설에 지원을 늘리고 있어, 진주와 사천도 소각시설 광역화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조미령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년 전 문을 연 통영시와 고성군의 광역소각시설,

제어실에서는 배출 물질의 대기와 수질 기준을 실시간 측정합니다.

하루 폐기물 처리량은 130톤, 통영과 고성 비율은 8대 2 정돕니다.

2013년 계획 수립 이후 주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9년 만에 완공했습니다.

[신종덕/통영시 자원순환과장 : "타 자치단체의 모범 사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정부의 폐기물 최적화 정책에 따라 추진해 국비 지원이 증액돼 지방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2030년부터 가연성 폐기물 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환경부는 인접 시·군이 소각시설을 광역화할 경우, 국비 지원을 30%에서 50%로 늘립니다.

통영과 고성도 광역화로 사업비를 105억 원 아꼈습니다.

여기다 추가 지원으로 주민 편의시설로 수영장을 짓고, 공모사업으로 조합이 운영하는 친환경 에너지타운까지 만들었습니다.

소각시설 확충을 제각각 추진하는 진주시와 사천시도 광역화를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윱니다.

[유계현/경남도의원 : "무엇보다도 저는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크다, 그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광역화해서 두 시가 협의를 하면 정말 도움이 안 되겠나."]

경남의 소각시설은 모두 20곳, 하루 최대 쓰레기 처리량은 천6백여 톤.

통영·고성에 이어 남해·하동과 김해·진해가 광역 소각시설 공사에 들어갔습니다.

[김태희/경상남도 환경정책과장 : "광역화를 추진할 경우 재정적 인센티브, 민원이나 여러 가지 문제에 공동 대응을 통해 소각장 설치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2025년 이후 신설이나 증설·보수가 필요한 경남의 시·군 소각시설은 모두 7곳, 경상남도는 이들 지역의 소각시설 광역화 방안과 추가 인센티브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