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첫 초소형 군집위성 발사 성공…교신 확인
입력 2024.04.24 (16:53)
수정 2024.04.24 (16: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우주 궤도에 진입한 국산 초소형 지구 관측 군집위성 1호기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가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4시간 25분인 11시 57분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후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과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위성 발사가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초기 운영에 들어갑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는 당초 계획한 궤도인 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간 점검합니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11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개발해 온 지구관측 실용위성입니다.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했으며, 민간업체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고,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 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민간 영역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제성 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기를 시작으로 2026년 및 2027년에 각 5기, 모두 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됩니다.
2027년 하반기부터 11대의 위성이 군집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가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4시간 25분인 11시 57분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후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과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위성 발사가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초기 운영에 들어갑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는 당초 계획한 궤도인 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간 점검합니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11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개발해 온 지구관측 실용위성입니다.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했으며, 민간업체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고,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 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민간 영역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제성 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기를 시작으로 2026년 및 2027년에 각 5기, 모두 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됩니다.
2027년 하반기부터 11대의 위성이 군집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산 첫 초소형 군집위성 발사 성공…교신 확인
-
- 입력 2024-04-24 16:53:34
- 수정2024-04-24 16:59:31
뉴질랜드에서 발사돼 우주 궤도에 진입한 국산 초소형 지구 관측 군집위성 1호기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가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4시간 25분인 11시 57분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후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과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위성 발사가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초기 운영에 들어갑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는 당초 계획한 궤도인 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간 점검합니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11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개발해 온 지구관측 실용위성입니다.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했으며, 민간업체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고,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 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민간 영역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제성 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기를 시작으로 2026년 및 2027년에 각 5기, 모두 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됩니다.
2027년 하반기부터 11대의 위성이 군집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 시간으로 오늘(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가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4시간 25분인 11시 57분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어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후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과 3시 44분쯤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위성 발사가 최종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초기 운영에 들어갑니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는 당초 계획한 궤도인 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간 점검합니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오는 11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개발해 온 지구관측 실용위성입니다.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했으며, 민간업체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고,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 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 및 활용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민간 영역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제성 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기를 시작으로 2026년 및 2027년에 각 5기, 모두 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됩니다.
2027년 하반기부터 11대의 위성이 군집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