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경제 엔진’ 독일도 저출산 직면…신생아 10년만에 최저

입력 2024.05.03 (12:57) 수정 2024.05.03 (12: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일의 지난해 신생아 수가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결혼 건수도 1950년 이래 바닥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지 시각 2일 지난해 독일에서 태어난 아기는 69만 3,000명으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독일 통계청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는 2022년보다 6.2% 줄어든 수치입니다.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7.6% 줄었는데, 코로나19 봉쇄로 수많은 결혼식이 연기됐던 2021년을 제외하고 1950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독일의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특히 베이비붐 세대인 1950∼60년대생이 은퇴하기 시작하면 노동력과 경제 성장에 악재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베를린 헤르티스쿨의 미카엘라 크레옌펠트 교수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위기로 아이를 낳을 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서 독일의 출산율도 떨어졌다”며 “가임기 여성의 수가 줄어들면서 신생아 수도 필연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2022년 독일의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46명이었습니다. 이는 인구를 유지하는 수준을 뜻하는 대체출산율 2.1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독일 시민권을 지닌 여성의 출산율은 1.36명으로 외국인 거주자의 1.88명보다 더 낮습니다.

특히 옛 동독 지역의 출산율은 더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베를린을 제외하고 옛 동독 지역의 출산율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반면, 서독 지역의 경우 5.9% 감소에 그쳤습니다.

결혼 건수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동독 지역에서는 9%가 줄었고, 서독 지역에서는 7.4% 감소했습니다.

독일 인구는 2020∼2021년 8,320만 명으로 정체됐다가 2022년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 등에서 110만 명의 이민자가 유입되면서 다시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독일 인구는 8,47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이와 관련해 독일 고용 당국은 매년 40만 명의 이민자를 끌어와야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습니다. 또 지난해 더 많은 숙련 노동자를 유치하기 위해 새 비자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독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 밖에서 독일로 온 노동자에게 발급된 임시 비자의 수는 6만 8,000건으로 2021년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독일 정부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에서는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1.4%에서 2020년대 연평균 0.4%로 둔화할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럽 경제 엔진’ 독일도 저출산 직면…신생아 10년만에 최저
    • 입력 2024-05-03 12:57:11
    • 수정2024-05-03 12:58:15
    국제
독일의 지난해 신생아 수가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결혼 건수도 1950년 이래 바닥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지 시각 2일 지난해 독일에서 태어난 아기는 69만 3,000명으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독일 통계청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는 2022년보다 6.2% 줄어든 수치입니다.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7.6% 줄었는데, 코로나19 봉쇄로 수많은 결혼식이 연기됐던 2021년을 제외하고 1950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독일의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특히 베이비붐 세대인 1950∼60년대생이 은퇴하기 시작하면 노동력과 경제 성장에 악재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베를린 헤르티스쿨의 미카엘라 크레옌펠트 교수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위기로 아이를 낳을 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서 독일의 출산율도 떨어졌다”며 “가임기 여성의 수가 줄어들면서 신생아 수도 필연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2022년 독일의 여성 1인당 출산율은 1.46명이었습니다. 이는 인구를 유지하는 수준을 뜻하는 대체출산율 2.1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독일 시민권을 지닌 여성의 출산율은 1.36명으로 외국인 거주자의 1.88명보다 더 낮습니다.

특히 옛 동독 지역의 출산율은 더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습니다. 베를린을 제외하고 옛 동독 지역의 출산율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반면, 서독 지역의 경우 5.9% 감소에 그쳤습니다.

결혼 건수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동독 지역에서는 9%가 줄었고, 서독 지역에서는 7.4% 감소했습니다.

독일 인구는 2020∼2021년 8,320만 명으로 정체됐다가 2022년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 등에서 110만 명의 이민자가 유입되면서 다시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독일 인구는 8,47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이와 관련해 독일 고용 당국은 매년 40만 명의 이민자를 끌어와야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습니다. 또 지난해 더 많은 숙련 노동자를 유치하기 위해 새 비자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독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 밖에서 독일로 온 노동자에게 발급된 임시 비자의 수는 6만 8,000건으로 2021년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독일 정부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에서는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1.4%에서 2020년대 연평균 0.4%로 둔화할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