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포식자 ‘등검은말벌’ 퇴치 역부족
입력 2024.05.06 (21:51)
수정 2024.05.06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양봉 농가에서는 꿀벌의 천적인 말벌 퇴치에 비상입니다.
공격성이 강한 외래종인 등검은말벌이 급증해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철망 뚜껑을 열자 상자 안에서 말벌 사체들이 발견됩니다.
꿀벌 포식자로 불리는 육식성 생태교란종, 등검은말벌입니다.
농장주가 설치한 또 다른 포획기 안에서도 등검은말벌들이 확인됩니다
8~9월 산란기를 대비해 꿀벌을 사냥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등검은말벌.
이맘때, 양봉 농가의 최대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을재/양봉 농장주 : "(등검은말벌) 3천 마리가 (꿀벌) 한 마리씩만 물고 가도 3천 마리 꿀벌이 없어지는 거예요. 대단한 피해죠."]
양봉 농가로서는 최대한 많은 등검은말벌 여왕벌을 퇴치해야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2018년, 전체 말벌류의 4%였던 등검은말벌의 비중이 2021년에 80%를 넘기는 등 개체 수가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인으로는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목됩니다.
죽지 않고 겨울을 넘긴 여왕벌이 이른 봄에 깨어나, 꿀벌을 더 많이 사냥한다는 겁니다.
등검은말벌 퇴치를 위해선 수십 미터 높이의 나무에 달린 벌집을 찾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면재/한국양봉협회 충주시지부장 : "'어떻게 하면 이 말벌집을 빨리 퇴치할 수 있다', (이런) 여러 가지 방법, 그런 것 좀 연구해서 농가에 보급해줬으면…."]
이상 기온으로 인한 천적의 개체 수 증가로 꿀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요즘 양봉 농가에서는 꿀벌의 천적인 말벌 퇴치에 비상입니다.
공격성이 강한 외래종인 등검은말벌이 급증해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철망 뚜껑을 열자 상자 안에서 말벌 사체들이 발견됩니다.
꿀벌 포식자로 불리는 육식성 생태교란종, 등검은말벌입니다.
농장주가 설치한 또 다른 포획기 안에서도 등검은말벌들이 확인됩니다
8~9월 산란기를 대비해 꿀벌을 사냥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등검은말벌.
이맘때, 양봉 농가의 최대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을재/양봉 농장주 : "(등검은말벌) 3천 마리가 (꿀벌) 한 마리씩만 물고 가도 3천 마리 꿀벌이 없어지는 거예요. 대단한 피해죠."]
양봉 농가로서는 최대한 많은 등검은말벌 여왕벌을 퇴치해야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2018년, 전체 말벌류의 4%였던 등검은말벌의 비중이 2021년에 80%를 넘기는 등 개체 수가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인으로는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목됩니다.
죽지 않고 겨울을 넘긴 여왕벌이 이른 봄에 깨어나, 꿀벌을 더 많이 사냥한다는 겁니다.
등검은말벌 퇴치를 위해선 수십 미터 높이의 나무에 달린 벌집을 찾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면재/한국양봉협회 충주시지부장 : "'어떻게 하면 이 말벌집을 빨리 퇴치할 수 있다', (이런) 여러 가지 방법, 그런 것 좀 연구해서 농가에 보급해줬으면…."]
이상 기온으로 인한 천적의 개체 수 증가로 꿀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꿀벌 포식자 ‘등검은말벌’ 퇴치 역부족
-
- 입력 2024-05-06 21:51:57
- 수정2024-05-06 22:10:47
[앵커]
요즘 양봉 농가에서는 꿀벌의 천적인 말벌 퇴치에 비상입니다.
공격성이 강한 외래종인 등검은말벌이 급증해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철망 뚜껑을 열자 상자 안에서 말벌 사체들이 발견됩니다.
꿀벌 포식자로 불리는 육식성 생태교란종, 등검은말벌입니다.
농장주가 설치한 또 다른 포획기 안에서도 등검은말벌들이 확인됩니다
8~9월 산란기를 대비해 꿀벌을 사냥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등검은말벌.
이맘때, 양봉 농가의 최대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을재/양봉 농장주 : "(등검은말벌) 3천 마리가 (꿀벌) 한 마리씩만 물고 가도 3천 마리 꿀벌이 없어지는 거예요. 대단한 피해죠."]
양봉 농가로서는 최대한 많은 등검은말벌 여왕벌을 퇴치해야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2018년, 전체 말벌류의 4%였던 등검은말벌의 비중이 2021년에 80%를 넘기는 등 개체 수가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인으로는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목됩니다.
죽지 않고 겨울을 넘긴 여왕벌이 이른 봄에 깨어나, 꿀벌을 더 많이 사냥한다는 겁니다.
등검은말벌 퇴치를 위해선 수십 미터 높이의 나무에 달린 벌집을 찾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면재/한국양봉협회 충주시지부장 : "'어떻게 하면 이 말벌집을 빨리 퇴치할 수 있다', (이런) 여러 가지 방법, 그런 것 좀 연구해서 농가에 보급해줬으면…."]
이상 기온으로 인한 천적의 개체 수 증가로 꿀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요즘 양봉 농가에서는 꿀벌의 천적인 말벌 퇴치에 비상입니다.
공격성이 강한 외래종인 등검은말벌이 급증해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철망 뚜껑을 열자 상자 안에서 말벌 사체들이 발견됩니다.
꿀벌 포식자로 불리는 육식성 생태교란종, 등검은말벌입니다.
농장주가 설치한 또 다른 포획기 안에서도 등검은말벌들이 확인됩니다
8~9월 산란기를 대비해 꿀벌을 사냥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등검은말벌.
이맘때, 양봉 농가의 최대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을재/양봉 농장주 : "(등검은말벌) 3천 마리가 (꿀벌) 한 마리씩만 물고 가도 3천 마리 꿀벌이 없어지는 거예요. 대단한 피해죠."]
양봉 농가로서는 최대한 많은 등검은말벌 여왕벌을 퇴치해야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2018년, 전체 말벌류의 4%였던 등검은말벌의 비중이 2021년에 80%를 넘기는 등 개체 수가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인으로는 겨울철 이상 고온이 지목됩니다.
죽지 않고 겨울을 넘긴 여왕벌이 이른 봄에 깨어나, 꿀벌을 더 많이 사냥한다는 겁니다.
등검은말벌 퇴치를 위해선 수십 미터 높이의 나무에 달린 벌집을 찾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데,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면재/한국양봉협회 충주시지부장 : "'어떻게 하면 이 말벌집을 빨리 퇴치할 수 있다', (이런) 여러 가지 방법, 그런 것 좀 연구해서 농가에 보급해줬으면…."]
이상 기온으로 인한 천적의 개체 수 증가로 꿀벌이 사라지면서 양봉 농가의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정진욱/그래픽:김선영
-
-
송국회 기자 skh0927@kbs.co.kr
송국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