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대책에도 교사 절반 이상 ‘교권 침해 경험’
입력 2024.05.13 (10:10)
수정 2024.05.13 (13: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교권침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다양한 대책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선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울산지역 교사 절반 이상이 여전히 교권침해를 당했다고 답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교사노조가 지난해 조사한 교권 침해 사례 중에는 담임 교사 바뀌는게 싫으니 임신은 내년에 하라거나, 아이가 학교를 안가려 한다며 신혼여행지에서 빨리 귀국하라고 한 초등 학부모도 있습니다.
지난해 교사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교권보호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실효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15일부터 26일까지 교사노조연맹이 시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인식 설문조사 결과, 울산지역 교사 338명 중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로부터 지난 1년 사이 교권 침해를 당한적이 있다는 답변이 절반(56.5%, 53.3%)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특히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 아동학대 중 정서적 학대가 있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서로 학부모하고 교사하고 차이점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직무만족도 항목에서는 교사가 좋은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답하면서도 교사가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는 74%가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특히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답변은 55%로 지난해 조사보다 소폭 늘었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교권(회복) 4법이나 여러 가지 제도들이 안착하지 않은 단계고요, 적용도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정책) 점수를 준다면 50점 이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교권 침해를 막겠다며 지난해 9월 이른바 교권회복 4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을 너무 모른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지난해 교권침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다양한 대책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선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울산지역 교사 절반 이상이 여전히 교권침해를 당했다고 답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교사노조가 지난해 조사한 교권 침해 사례 중에는 담임 교사 바뀌는게 싫으니 임신은 내년에 하라거나, 아이가 학교를 안가려 한다며 신혼여행지에서 빨리 귀국하라고 한 초등 학부모도 있습니다.
지난해 교사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교권보호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실효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15일부터 26일까지 교사노조연맹이 시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인식 설문조사 결과, 울산지역 교사 338명 중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로부터 지난 1년 사이 교권 침해를 당한적이 있다는 답변이 절반(56.5%, 53.3%)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특히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 아동학대 중 정서적 학대가 있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서로 학부모하고 교사하고 차이점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직무만족도 항목에서는 교사가 좋은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답하면서도 교사가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는 74%가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특히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답변은 55%로 지난해 조사보다 소폭 늘었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교권(회복) 4법이나 여러 가지 제도들이 안착하지 않은 단계고요, 적용도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정책) 점수를 준다면 50점 이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교권 침해를 막겠다며 지난해 9월 이른바 교권회복 4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을 너무 모른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각종 대책에도 교사 절반 이상 ‘교권 침해 경험’
-
- 입력 2024-05-13 10:10:44
- 수정2024-05-13 13:11:53
[앵커]
지난해 교권침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다양한 대책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선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울산지역 교사 절반 이상이 여전히 교권침해를 당했다고 답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교사노조가 지난해 조사한 교권 침해 사례 중에는 담임 교사 바뀌는게 싫으니 임신은 내년에 하라거나, 아이가 학교를 안가려 한다며 신혼여행지에서 빨리 귀국하라고 한 초등 학부모도 있습니다.
지난해 교사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교권보호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실효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15일부터 26일까지 교사노조연맹이 시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인식 설문조사 결과, 울산지역 교사 338명 중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로부터 지난 1년 사이 교권 침해를 당한적이 있다는 답변이 절반(56.5%, 53.3%)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특히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 아동학대 중 정서적 학대가 있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서로 학부모하고 교사하고 차이점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직무만족도 항목에서는 교사가 좋은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답하면서도 교사가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는 74%가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특히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답변은 55%로 지난해 조사보다 소폭 늘었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교권(회복) 4법이나 여러 가지 제도들이 안착하지 않은 단계고요, 적용도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정책) 점수를 준다면 50점 이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교권 침해를 막겠다며 지난해 9월 이른바 교권회복 4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을 너무 모른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지난해 교권침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가 다양한 대책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선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울산지역 교사 절반 이상이 여전히 교권침해를 당했다고 답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교사노조가 지난해 조사한 교권 침해 사례 중에는 담임 교사 바뀌는게 싫으니 임신은 내년에 하라거나, 아이가 학교를 안가려 한다며 신혼여행지에서 빨리 귀국하라고 한 초등 학부모도 있습니다.
지난해 교사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교권보호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실효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15일부터 26일까지 교사노조연맹이 시행한 스승의날 기념 교원인식 설문조사 결과, 울산지역 교사 338명 중 학생이나 학생 보호자로부터 지난 1년 사이 교권 침해를 당한적이 있다는 답변이 절반(56.5%, 53.3%)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특히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 아동학대 중 정서적 학대가 있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 서로 학부모하고 교사하고 차이점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직무만족도 항목에서는 교사가 좋은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답하면서도 교사가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느냐의 질문에는 74%가 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특히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답변은 55%로 지난해 조사보다 소폭 늘었습니다.
[박광식/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교권(회복) 4법이나 여러 가지 제도들이 안착하지 않은 단계고요, 적용도 잘 되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정책) 점수를 준다면 50점 이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교권 침해를 막겠다며 지난해 9월 이른바 교권회복 4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당국이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을 너무 모른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
-
김계애 기자 stone917@kbs.co.kr
김계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