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부양 위해 189조 원 규모 초장기채 발행…17일부터”

입력 2024.05.13 (15:23) 수정 2024.05.13 (15: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당국이 이번 주부터 1조 위안(약 189조 원) 규모의 초장기 국채를 발행해 경제부양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해당 계획에 따라 오는 17일 첫 특별 중앙정부 채권 발행에 나설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총 발행 규모는 20년 만기채 3,000억 위안(약 56조 7,000억 원), 30년 만기채 6,000억 위안(약 113조 4,000억 원), 50년 만기채 1,000억 위안(약 18조 9,000억 원) 등이며 5∼11월 사이에 발행할 예정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번 주 국채 발행을 앞두고 중개업체들을 만나 가격 책정 등과 관련한 조언을 들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도 전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이러한 국채 발행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당시 연례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부터 몇 년간에 걸쳐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업무보고 상의 발행 목적은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투입과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한 지원입니다.

중국 정부의 특별채권 발행은 이번이 4번째로, 가장 최근인 2020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1조 위안 규모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CSPI신용평가의 제이미슨 쭤는 “세계적 기준과 비교하면 중국은 여전히 향후 5∼10년 내에 수조 위안 규모의 국채를 발행한 여력이 있다”고 봤습니다.

중국의 30년 채권 금리는 지난해 3% 아래로 내려간 뒤 수십 년 만에 최저 수준인 2.5∼2.6%에 머물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경제부양 위해 189조 원 규모 초장기채 발행…17일부터”
    • 입력 2024-05-13 15:23:56
    • 수정2024-05-13 15:36:01
    국제
중국 당국이 이번 주부터 1조 위안(약 189조 원) 규모의 초장기 국채를 발행해 경제부양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해당 계획에 따라 오는 17일 첫 특별 중앙정부 채권 발행에 나설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총 발행 규모는 20년 만기채 3,000억 위안(약 56조 7,000억 원), 30년 만기채 6,000억 위안(약 113조 4,000억 원), 50년 만기채 1,000억 위안(약 18조 9,000억 원) 등이며 5∼11월 사이에 발행할 예정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번 주 국채 발행을 앞두고 중개업체들을 만나 가격 책정 등과 관련한 조언을 들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도 전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이러한 국채 발행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당시 연례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부터 몇 년간에 걸쳐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업무보고 상의 발행 목적은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투입과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한 지원입니다.

중국 정부의 특별채권 발행은 이번이 4번째로, 가장 최근인 2020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1조 위안 규모를 발행한 바 있습니다.

CSPI신용평가의 제이미슨 쭤는 “세계적 기준과 비교하면 중국은 여전히 향후 5∼10년 내에 수조 위안 규모의 국채를 발행한 여력이 있다”고 봤습니다.

중국의 30년 채권 금리는 지난해 3% 아래로 내려간 뒤 수십 년 만에 최저 수준인 2.5∼2.6%에 머물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