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노설·기록 회수’…주요 변곡점마다 대통령 통화

입력 2024.05.31 (21:12) 수정 2024.05.31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해병대원 순직과 관련해 모두 8명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하려던 해병대 수사단 보고서가 경찰로 이첩됐다가 회수되고 2명으로 수정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국방부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공수처 수사는 이 부분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태용 당시 안보실장, 그리고 이종섭 당시 국방장관의 통화 기록을 최민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31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측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며 이른바 'VIP 격노설'을 제기했습니다.

[박정훈/전 해병대 수사단장/변호인과의 통화/지난해 8월 : "VIP(대통령) 주관으로 회의를 하는데 군 관련해서 화를 이것보다 더 낸 적이 없다, 가장 격노했다면서..."]

이날 오전 11시 54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02-800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대통령실 전화번호였습니다.

2분 48초간 통화가 끝난 뒤 이 전 장관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에게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언론브리핑도 취소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개인 휴대전화로 이 전 장관에게 3차례 전화를 건 지난해 8월 2일도 주요 변곡점이었습니다.

해병대 수사단이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건 오전 11시쯤.

약 한 시간 뒤 윤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출장 중이던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합니다.

그리고 한 시간도 안 돼 박 전 단장은 김 사령관에게 보직 해임 통보를 받았습니다.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는 두 번 더 이어졌고, 이날 저녁 국방부 검찰단은 이첩됐던 사건 기록을 회수했습니다.

이 전 장관 측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 이전인 낮 12시 5분쯤 박 전 단장에 대한 항명죄 수사 지시가 이뤄졌다고 밝혔지만, 그보다 앞선 11시 49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과 통화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일주일 뒤인 지난해 8월 9일 국방부 조사본부는 사건 조사 결과를 재검토한다는 결정을 내렸고, 8명이었던 혐의자는 임성근 사단장 등을 뺀 2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주요 시점마다 이뤄진 통화에서 어떤 내용의 대화가 오고갔는지는 공수처가 규명해야 할 과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격노설·기록 회수’…주요 변곡점마다 대통령 통화
    • 입력 2024-05-31 21:12:23
    • 수정2024-05-31 22:25:05
    뉴스 9
[앵커]

해병대원 순직과 관련해 모두 8명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하려던 해병대 수사단 보고서가 경찰로 이첩됐다가 회수되고 2명으로 수정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국방부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공수처 수사는 이 부분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태용 당시 안보실장, 그리고 이종섭 당시 국방장관의 통화 기록을 최민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31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측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며 이른바 'VIP 격노설'을 제기했습니다.

[박정훈/전 해병대 수사단장/변호인과의 통화/지난해 8월 : "VIP(대통령) 주관으로 회의를 하는데 군 관련해서 화를 이것보다 더 낸 적이 없다, 가장 격노했다면서..."]

이날 오전 11시 54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02-800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대통령실 전화번호였습니다.

2분 48초간 통화가 끝난 뒤 이 전 장관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에게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언론브리핑도 취소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개인 휴대전화로 이 전 장관에게 3차례 전화를 건 지난해 8월 2일도 주요 변곡점이었습니다.

해병대 수사단이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한 건 오전 11시쯤.

약 한 시간 뒤 윤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출장 중이던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합니다.

그리고 한 시간도 안 돼 박 전 단장은 김 사령관에게 보직 해임 통보를 받았습니다.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는 두 번 더 이어졌고, 이날 저녁 국방부 검찰단은 이첩됐던 사건 기록을 회수했습니다.

이 전 장관 측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 이전인 낮 12시 5분쯤 박 전 단장에 대한 항명죄 수사 지시가 이뤄졌다고 밝혔지만, 그보다 앞선 11시 49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과 통화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일주일 뒤인 지난해 8월 9일 국방부 조사본부는 사건 조사 결과를 재검토한다는 결정을 내렸고, 8명이었던 혐의자는 임성근 사단장 등을 뺀 2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주요 시점마다 이뤄진 통화에서 어떤 내용의 대화가 오고갔는지는 공수처가 규명해야 할 과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