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행정절차 마무리…기대와 우려

입력 2024.05.31 (21:42) 수정 2024.05.31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 증원을 담은 학칙 개정에 실패했던 충남대가 하루 만에 재심의를 거쳐 개정안을 처리했습니다.

이로써 대전과 충남 5개 의대는 내년에 600여 명의 신입생을 뽑게 되는데, 특히 지역 고등학교 출신을 뽑는 지역인재 전형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입시 관문이 넓어졌다는 기대와 함께, 학생이 급격히 늘어 교육의 질이 나빠질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남대학교 평의원회가 하루 만에 재심의를 열어 의대 증원을 담은 학칙 개정안을 처리했습니다.

각 대학은 입시요강 발표도 마무리하면서 대전과 충남 5개 의과대학의 내년도 정원은 602명으로 확정됐습니다.

당초 알려진 585명에 정원외 모집 17명이 추가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해당 지역 고등학교 졸업생만 지원할 수 있는 지역인재전형입니다.

학교별로는 충남대와 순천향대 의대가 각각 90명 이상 건양대와 을지대도 60명 이상을 선발합니다.

이 인원만도 322명으로 현재 5개 의과대학 정원에 육박합니다.

여기에 증원분의 50%만 선발한 충남대의 정원이 정상화되고, 단국대 의대도 지역인재를 선발하는 내후년에는 400명 이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충청권으로 묶인 충북대와 건국대까지 포함하면 지역 고등학생들의 의대 입시 관문은 더 넓어집니다.

지역인재 전형을 노린 수도권 학생들의 충청유학이 늘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김준기/종로학원 입시연구소장 : "수도권이나 서울권에 있는 학생들이 지방 유학을 가더라도 상대적으로 60~65% 정도 되는 충청권이 지리적으로나 수치적으로나 되게 유리하죠."]

하지만, 교육 여건은 큰 걱정입니다.

전국 의대 교수협의회 조사에선 강의실과 의학 기자재, 교원을 확보할 수 있느냔 질문에 96% 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선우/충남대 의대 교수비대위원장/어제 : "현재 82%가 증원돼 있는데 지금부터 준비하면 강의실조차도 안 될 거라고 저는 예상을 합니다. 실습이나 임상 실습은 뭐 보나 마나 볼 것도 없고요."]

또, '지역의사제' 등 졸업생을 지역 의료 현장에 붙잡아 둘 방안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대 증원 행정절차 마무리…기대와 우려
    • 입력 2024-05-31 21:42:52
    • 수정2024-05-31 22:17:09
    뉴스9(대전)
[앵커]

의대 증원을 담은 학칙 개정에 실패했던 충남대가 하루 만에 재심의를 거쳐 개정안을 처리했습니다.

이로써 대전과 충남 5개 의대는 내년에 600여 명의 신입생을 뽑게 되는데, 특히 지역 고등학교 출신을 뽑는 지역인재 전형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입시 관문이 넓어졌다는 기대와 함께, 학생이 급격히 늘어 교육의 질이 나빠질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남대학교 평의원회가 하루 만에 재심의를 열어 의대 증원을 담은 학칙 개정안을 처리했습니다.

각 대학은 입시요강 발표도 마무리하면서 대전과 충남 5개 의과대학의 내년도 정원은 602명으로 확정됐습니다.

당초 알려진 585명에 정원외 모집 17명이 추가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해당 지역 고등학교 졸업생만 지원할 수 있는 지역인재전형입니다.

학교별로는 충남대와 순천향대 의대가 각각 90명 이상 건양대와 을지대도 60명 이상을 선발합니다.

이 인원만도 322명으로 현재 5개 의과대학 정원에 육박합니다.

여기에 증원분의 50%만 선발한 충남대의 정원이 정상화되고, 단국대 의대도 지역인재를 선발하는 내후년에는 400명 이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충청권으로 묶인 충북대와 건국대까지 포함하면 지역 고등학생들의 의대 입시 관문은 더 넓어집니다.

지역인재 전형을 노린 수도권 학생들의 충청유학이 늘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김준기/종로학원 입시연구소장 : "수도권이나 서울권에 있는 학생들이 지방 유학을 가더라도 상대적으로 60~65% 정도 되는 충청권이 지리적으로나 수치적으로나 되게 유리하죠."]

하지만, 교육 여건은 큰 걱정입니다.

전국 의대 교수협의회 조사에선 강의실과 의학 기자재, 교원을 확보할 수 있느냔 질문에 96% 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선우/충남대 의대 교수비대위원장/어제 : "현재 82%가 증원돼 있는데 지금부터 준비하면 강의실조차도 안 될 거라고 저는 예상을 합니다. 실습이나 임상 실습은 뭐 보나 마나 볼 것도 없고요."]

또, '지역의사제' 등 졸업생을 지역 의료 현장에 붙잡아 둘 방안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강욱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