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시그널] “이렇게 된 이상 챗GPT로 간다” 애플 승부수 통할까

입력 2024.06.13 (18:26) 수정 2024.06.13 (19: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타짜 잘 아시죠?

이 촌철살인의 명대사 한둘이 아니지만 이 대사, 기억나십니까?

마지막 원칙, 이 바닥엔 영원한 친구도 원수도 없어.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다.

인공지능 AI에 사활을 건 요즘 IT 업계도 딱 그렇습니다.

너도 나도 앞다퉈서 AI에 대한 비전을 내놓을 때 유독 조용했던 빅테크가 바로 애플이죠.

AI 지각생이라는 창피한 별명이 붙었고 이제야 애플의 AI,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했는데요.

한마디로 줄이면 이렇게 된 이상 챗GPT로 간다 정도로 요약이 됩니다.

아이폰의 주요 기능을 챗GPT, 특히 말로 하는 챗GPT-4o와 결합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아니, 이 애플에는 시리가 있잖아 싶으실 텐데요.

이제 와서 이 시리를 고도화시키기에는 너무 늦었고 실력이 검증된 챗GPT라는 지름길을 택하겠다는 거죠.

시리도 챗GPT-4o도 모두 음성 기반이기 때문에 궁합이 잘 맞을 수도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요, 시리야, 회의록 좀 요약해줘라고 하면요, 시리는 뒷단에서는 챗GPT의 실력을 빌어서 뚝딱 해결하는 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 뒤에는 누가 있죠?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의 대표적 경쟁 기업입니다.

세계 시총 1, 2위를 치열하게 다투는 사이죠.

그런데 이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와 뗄 수 없는 챗GPT를 택했다.

자존심보다는 현실을 택한 것입니다.

그 덕택이었을까요?

애플은 장중 시총 1위를 탈환하기도 했죠.

반대로요, 이 오픈AI는 왜 애플과 손을 잡을까요?

전 세계의 막대한 아이폰 이용자의 데이터 때문입니다.

데이터를 조금이라도 더 먹을수록 더 똑똑해지는 게 이 생성형 AI의 특성이기 때문이죠.

이런 합종연횡은 요즘 자주 나타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를 등에 업고 클라우드와 검색 시장을 조금조금씩 탈환하자 클라우드의 아마존, 검색의 구글, 일종의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 중심에는요, 이 챗GPT의 대항마로 꼽히는 클로드가 있습니다.

구글이 먼저 투자한 클로드에 아마존은 5조 5000억 원을 걸었습니다.

예전 같으면 상상하기 힘든 협력이죠.

껄끄럽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대공세를 막는 게 더 급하다는 것입니다.

프레너미, 친구 프렌드와 적 에너미의 합성이인데요.

우리말로 하면 적과의 동침쯤 되겠네요.

요즘 상황에 딱 맞는 키워드입니다.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던 2010년대 초에는요, 삼성과 구글이 그랬습니다.

당시에 공공의 적인 애플을 이기기 위해서 손을 잡았던 것이죠.

AI 프레너미의 시대, 우리 IT 기업들도 적과의 동침을 계속 모색하고 있습니다.

생각지도 못했던 기업끼리 동맹을 맺기로 했다는 뉴스가 언제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시절입니다.

머니시그널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니 시그널] “이렇게 된 이상 챗GPT로 간다” 애플 승부수 통할까
    • 입력 2024-06-13 18:26:30
    • 수정2024-06-13 19:04:03
    경제콘서트
영화 타짜 잘 아시죠?

이 촌철살인의 명대사 한둘이 아니지만 이 대사, 기억나십니까?

마지막 원칙, 이 바닥엔 영원한 친구도 원수도 없어.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다.

인공지능 AI에 사활을 건 요즘 IT 업계도 딱 그렇습니다.

너도 나도 앞다퉈서 AI에 대한 비전을 내놓을 때 유독 조용했던 빅테크가 바로 애플이죠.

AI 지각생이라는 창피한 별명이 붙었고 이제야 애플의 AI,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했는데요.

한마디로 줄이면 이렇게 된 이상 챗GPT로 간다 정도로 요약이 됩니다.

아이폰의 주요 기능을 챗GPT, 특히 말로 하는 챗GPT-4o와 결합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아니, 이 애플에는 시리가 있잖아 싶으실 텐데요.

이제 와서 이 시리를 고도화시키기에는 너무 늦었고 실력이 검증된 챗GPT라는 지름길을 택하겠다는 거죠.

시리도 챗GPT-4o도 모두 음성 기반이기 때문에 궁합이 잘 맞을 수도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요, 시리야, 회의록 좀 요약해줘라고 하면요, 시리는 뒷단에서는 챗GPT의 실력을 빌어서 뚝딱 해결하는 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 뒤에는 누가 있죠?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의 대표적 경쟁 기업입니다.

세계 시총 1, 2위를 치열하게 다투는 사이죠.

그런데 이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와 뗄 수 없는 챗GPT를 택했다.

자존심보다는 현실을 택한 것입니다.

그 덕택이었을까요?

애플은 장중 시총 1위를 탈환하기도 했죠.

반대로요, 이 오픈AI는 왜 애플과 손을 잡을까요?

전 세계의 막대한 아이폰 이용자의 데이터 때문입니다.

데이터를 조금이라도 더 먹을수록 더 똑똑해지는 게 이 생성형 AI의 특성이기 때문이죠.

이런 합종연횡은 요즘 자주 나타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챗GPT를 등에 업고 클라우드와 검색 시장을 조금조금씩 탈환하자 클라우드의 아마존, 검색의 구글, 일종의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 중심에는요, 이 챗GPT의 대항마로 꼽히는 클로드가 있습니다.

구글이 먼저 투자한 클로드에 아마존은 5조 5000억 원을 걸었습니다.

예전 같으면 상상하기 힘든 협력이죠.

껄끄럽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대공세를 막는 게 더 급하다는 것입니다.

프레너미, 친구 프렌드와 적 에너미의 합성이인데요.

우리말로 하면 적과의 동침쯤 되겠네요.

요즘 상황에 딱 맞는 키워드입니다.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던 2010년대 초에는요, 삼성과 구글이 그랬습니다.

당시에 공공의 적인 애플을 이기기 위해서 손을 잡았던 것이죠.

AI 프레너미의 시대, 우리 IT 기업들도 적과의 동침을 계속 모색하고 있습니다.

생각지도 못했던 기업끼리 동맹을 맺기로 했다는 뉴스가 언제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시절입니다.

머니시그널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