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들 “환자들에 죄송…휴진 기간 중증진료 지속”
입력 2024.06.14 (18:13)
수정 2024.06.14 (1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전면 휴진에 나서는 서울의대 교수들이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면서, 중증 진료 등은 중단없이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기한 휴진 계획을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지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분야 진료는 예외입니다.
우선 비대위는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더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저희가 말씀드린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휴진 기간에도 “지금 진료가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서울대병원 노조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휴진을 비판한 것을 언급하면서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정부에는 “수련생들의 빈자리를 채우면서, 교수들은 그간 묵인해왔던 불합리한 의료 환경을 몸으로 겪고 있다”며 “전문의를 고용할 수 있는 재원이 병원에는 없으니 장시간 저임금 노동자인 전공의들이 돌아올 때까지 교수들이 버텨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더 이상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약속한대로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 달라”면서 “이를 위해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기한 휴진 계획을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지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분야 진료는 예외입니다.
우선 비대위는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더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저희가 말씀드린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휴진 기간에도 “지금 진료가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서울대병원 노조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휴진을 비판한 것을 언급하면서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정부에는 “수련생들의 빈자리를 채우면서, 교수들은 그간 묵인해왔던 불합리한 의료 환경을 몸으로 겪고 있다”며 “전문의를 고용할 수 있는 재원이 병원에는 없으니 장시간 저임금 노동자인 전공의들이 돌아올 때까지 교수들이 버텨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더 이상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약속한대로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 달라”면서 “이를 위해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의대 교수들 “환자들에 죄송…휴진 기간 중증진료 지속”
-
- 입력 2024-06-14 18:13:06
- 수정2024-06-14 18:14:07

다음 주 월요일부터 전면 휴진에 나서는 서울의대 교수들이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면서, 중증 진료 등은 중단없이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기한 휴진 계획을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지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분야 진료는 예외입니다.
우선 비대위는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더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저희가 말씀드린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휴진 기간에도 “지금 진료가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서울대병원 노조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휴진을 비판한 것을 언급하면서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정부에는 “수련생들의 빈자리를 채우면서, 교수들은 그간 묵인해왔던 불합리한 의료 환경을 몸으로 겪고 있다”며 “전문의를 고용할 수 있는 재원이 병원에는 없으니 장시간 저임금 노동자인 전공의들이 돌아올 때까지 교수들이 버텨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더 이상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약속한대로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 달라”면서 “이를 위해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늘(14일)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기한 휴진 계획을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지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분야 진료는 예외입니다.
우선 비대위는 환자들에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더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저희가 말씀드린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휴진 기간에도 “지금 진료가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서울대병원 노조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휴진을 비판한 것을 언급하면서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정부에는 “수련생들의 빈자리를 채우면서, 교수들은 그간 묵인해왔던 불합리한 의료 환경을 몸으로 겪고 있다”며 “전문의를 고용할 수 있는 재원이 병원에는 없으니 장시간 저임금 노동자인 전공의들이 돌아올 때까지 교수들이 버텨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더 이상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약속한대로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 달라”면서 “이를 위해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