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교육장관 회의…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교육 협력 논의

입력 2024.06.15 (16:40) 수정 2024.06.15 (1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부는 오늘 서울에서 한국과 일본, 중국 교육장관이 만나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의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하며 이번 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에서 개최된 제3회 교육장관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습니다.

지난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이 인적 교류, 특히 청년세대 교류 중요성을 강조한 데 따라 이번 회의에서는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 활성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주요 의제는 ▲ 디지털 대전환 시대, 3국 미래교육 협력 강화 방안 ▲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3국 협력 방안 ▲ '캠퍼스 아시아' 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입니다.

3국 장관은 회의 종료 후 '2024 한일중 교육혁신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선언문에서 3국은 "교육의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정책과 우수 사례들을 공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디지털 격차, 사이버보안과 안전성 등 기술 활용에 수반되는 우려점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에 적용돼야 할 기본 원칙을 공유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3국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오늘 한일중 3자 회의에 앞서 한일, 한중 양자 회의도 개최됐습니다.

이 부총리는 "3국의 미래 세대가 디지털 대전환 및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 블러'(Big Blur) 시대에 변화를 선도하고, 세계 공동 문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중국 정부와 함께 관심을 가지고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일중 교육장관 회의…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교육 협력 논의
    • 입력 2024-06-15 16:40:08
    • 수정2024-06-15 18:56:06
    사회
교육부는 오늘 서울에서 한국과 일본, 중국 교육장관이 만나 디지털 대전환 시대 미래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제4회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일중 교육장관회의는 3국의 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5년 제6차 한일중 정상회의 이후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3국 장관급 협의체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하며 이번 회의는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중국에서 개최된 제3회 교육장관회의 이후 4년 5개월 만에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모리야마 마사히토 일본 문부과학대신, 후아이진펑 중국 교육부장, 이희섭 한일중 3국 협력 사무국(TCS) 사무총장이 참석했습니다.

지난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이 인적 교류, 특히 청년세대 교류 중요성을 강조한 데 따라 이번 회의에서는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 활성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주요 의제는 ▲ 디지털 대전환 시대, 3국 미래교육 협력 강화 방안 ▲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3국 협력 방안 ▲ '캠퍼스 아시아' 사업 성과 공유 및 발전 방안입니다.

3국 장관은 회의 종료 후 '2024 한일중 교육혁신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선언문에서 3국은 "교육의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정책과 우수 사례들을 공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디지털 격차, 사이버보안과 안전성 등 기술 활용에 수반되는 우려점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에 적용돼야 할 기본 원칙을 공유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3국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오늘 한일중 3자 회의에 앞서 한일, 한중 양자 회의도 개최됐습니다.

이 부총리는 "3국의 미래 세대가 디지털 대전환 및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 블러'(Big Blur) 시대에 변화를 선도하고, 세계 공동 문제에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일본·중국 정부와 함께 관심을 가지고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