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비밀의 문’을 열다…수장고 ‘왕실 유물’ 첫 공개

입력 2024.06.15 (21:41) 수정 2024.06.15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복궁 지하에 비밀 창고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조선 왕실의 역사가 고스란히 보관된 19동의 수장고인데요.

그 안에는 과연 어떤 유물들이 남아 있는지, 또 보관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이정은 기자와 함께 확인해 보시죠.

[리포트]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을 가슴에 품고 왕세자가 된 정조.

거북 모양 손잡이에 갈색 봉술끈이 달린 국권의 상징, 어보.

1759년 정조의 왕세손 책봉을 기념하기 위해 옥으로 만들었습니다.

정조를 왕세자에 책봉한 이유가 담긴 '어책'에, 임금의 명령을 담은 '교명'도 제 모습 그대로입니다.

[정소영/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 "왕세자 책봉의 경우에는 특별히 '앞으로 어떻게 행동을 해야 되고' 이런 내용은 담은 훈유 문서의 성격인 교명까지 같이…."]

탕평책으로 조선의 어진 임금이 된 정조, 가슴 깊이 남아있는 아버지에 대한 비통함과 그리움은 직접 쓴 이 현판에 남았습니다.

경복궁 터 아래 지하 2층 깊이 수장고는 정조를 비롯해 조선 왕실은 물론,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를 품고 있습니다.

2005년 개관 당시 3만 6천 점이었던 유물은 19년 새 8만 8천 점까지 늘어 수장고 19동을 꽉 채웠습니다.

이러다 보니 따로 따로 보관돼야 할 어보나 현판을 여러 점씩 함께 보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정용재/국립고궁박물관장 : "기존 우리 박물관의 시설들은 지금 현재는 수장할 수 있는 한계에 다다랐고요. 그 수치(포화율)가 160%에 달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통합 왕실유물 관리센터나 분관을 만드는 등 대책을 고심 중입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선, ‘비밀의 문’을 열다…수장고 ‘왕실 유물’ 첫 공개
    • 입력 2024-06-15 21:41:39
    • 수정2024-06-15 21:56:17
    뉴스 9
[앵커]

경복궁 지하에 비밀 창고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조선 왕실의 역사가 고스란히 보관된 19동의 수장고인데요.

그 안에는 과연 어떤 유물들이 남아 있는지, 또 보관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이정은 기자와 함께 확인해 보시죠.

[리포트]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을 가슴에 품고 왕세자가 된 정조.

거북 모양 손잡이에 갈색 봉술끈이 달린 국권의 상징, 어보.

1759년 정조의 왕세손 책봉을 기념하기 위해 옥으로 만들었습니다.

정조를 왕세자에 책봉한 이유가 담긴 '어책'에, 임금의 명령을 담은 '교명'도 제 모습 그대로입니다.

[정소영/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 "왕세자 책봉의 경우에는 특별히 '앞으로 어떻게 행동을 해야 되고' 이런 내용은 담은 훈유 문서의 성격인 교명까지 같이…."]

탕평책으로 조선의 어진 임금이 된 정조, 가슴 깊이 남아있는 아버지에 대한 비통함과 그리움은 직접 쓴 이 현판에 남았습니다.

경복궁 터 아래 지하 2층 깊이 수장고는 정조를 비롯해 조선 왕실은 물론,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를 품고 있습니다.

2005년 개관 당시 3만 6천 점이었던 유물은 19년 새 8만 8천 점까지 늘어 수장고 19동을 꽉 채웠습니다.

이러다 보니 따로 따로 보관돼야 할 어보나 현판을 여러 점씩 함께 보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정용재/국립고궁박물관장 : "기존 우리 박물관의 시설들은 지금 현재는 수장할 수 있는 한계에 다다랐고요. 그 수치(포화율)가 160%에 달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통합 왕실유물 관리센터나 분관을 만드는 등 대책을 고심 중입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