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트럼프, 27일 첫 TV토론…펜·메모장만 들고 나와

입력 2024.06.19 (08:49) 수정 2024.06.19 (0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현지 시각 27일 CNN 주최로 열리는 1차 TV 토론이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나무다리 대결'로 진행되게 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제3 후보'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무소속)가 이 TV 토론에 나설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CNN이 주최하는 첫 TV 토론에 나서기 위해서는 대선 당선 매직 넘버인 270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는데 충분한 주(州)에 후보 등록을 마쳐야 하며, 20일 이전에 공개된 공신력 있는 4개 이상 여론조사에서 15% 이상 지지율을 기록해야 합니다.

케네디 주니어는 TV 토론 참가의 주별 후보 등록 관련 조건을 충족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유타(선거인단 6명), 델라웨어(3명), 오클라호마(7명), 미시간(15명), 테네시주(11명)만이 케네디가 대선 투표용지에 명기될 것임을 확인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주최 측인 CNN이 캘리포니아(54명)와 하와이(4명)에서 케네디가 후보 자격을 확보한 것으로 간주한 상태지만 두 주에 배정된 선거인단 수까지 합해도 총 100명에 그쳐 요건(270명 이상)을 충족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케네디는 4건의 여론조사에서 15%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해야 한다는 조건 역시 이날 현재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90분간에 걸쳐 진행되는 첫 TV 토론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펜과 메모장, 물 한 병만 들고 들어가 사실상 '백병전'을 벌입니다.

사전 연설문이나 준비된 메모는 지참할 수 없고, 두 차례의 중간 광고 시간에 캠프 관계자들과 접촉할 수도 없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트럼프, 27일 첫 TV토론…펜·메모장만 들고 나와
    • 입력 2024-06-19 08:49:31
    • 수정2024-06-19 08:49:54
    국제
미국 대선을 앞두고 현지 시각 27일 CNN 주최로 열리는 1차 TV 토론이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나무다리 대결'로 진행되게 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제3 후보'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무소속)가 이 TV 토론에 나설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CNN이 주최하는 첫 TV 토론에 나서기 위해서는 대선 당선 매직 넘버인 270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는데 충분한 주(州)에 후보 등록을 마쳐야 하며, 20일 이전에 공개된 공신력 있는 4개 이상 여론조사에서 15% 이상 지지율을 기록해야 합니다.

케네디 주니어는 TV 토론 참가의 주별 후보 등록 관련 조건을 충족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유타(선거인단 6명), 델라웨어(3명), 오클라호마(7명), 미시간(15명), 테네시주(11명)만이 케네디가 대선 투표용지에 명기될 것임을 확인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주최 측인 CNN이 캘리포니아(54명)와 하와이(4명)에서 케네디가 후보 자격을 확보한 것으로 간주한 상태지만 두 주에 배정된 선거인단 수까지 합해도 총 100명에 그쳐 요건(270명 이상)을 충족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케네디는 4건의 여론조사에서 15%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해야 한다는 조건 역시 이날 현재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90분간에 걸쳐 진행되는 첫 TV 토론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펜과 메모장, 물 한 병만 들고 들어가 사실상 '백병전'을 벌입니다.

사전 연설문이나 준비된 메모는 지참할 수 없고, 두 차례의 중간 광고 시간에 캠프 관계자들과 접촉할 수도 없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