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군 ‘쿠데타 시도’…대통령궁 무력 진입했다가 회군

입력 2024.06.27 (08:17) 수정 2024.06.27 (08: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미 볼리비아에서 군부 일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대통령궁에 무력으로 진입했다가 3시간여 만에 철수했습니다.

군 핵심 지도부는 “무너진 조국을 되찾을 것”이라고 선언하며 일촉즉발 상황으로 끌고 가다가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 강경 대응 천명과 시민들의 반발 움직임에 회군했습니다.

볼리비아군 일부 장병들은 현지 시각 26일 오후 3시쯤 탱크와 장갑차 등을 앞세운 채 수도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했습니다.

무리요 광장 앞에는 대통령궁(정부청사)과 국회, 대성당이 있습니다.

볼리비아군은 청사 앞에 대오를 갖추고 시민들의 통행을 일부 통제했고, 장갑차로 청사 건물 입구를 부수자 텔레비시온 우노 등 현지 TV 방송 매체들은 급박했던 당시 상황을 생중계했습니다.

일부 장병은 광장에 몰려온 시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가스를 쓰기도 했습니다.

‘수도 진군’은 합참의장이었던 후안 호세 수니가 장군 주도로 진행됐습니다.

수니가 장군은 대통령궁 밖 취재진에게 “수년 동안 소위 엘리트 집단이 국가를 장악하고 조국을 붕괴시켰다”며 “우리 군은 민주주의 체제를 재구성해 국가를 일부 소수의 것이 아닌 진정한 국민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주변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는 일제히 군부의 무력 행위를 성토했습니다.

뉴스를 보고 놀란 시민들은 마트로 달려가 물품을 사재기하는 등 볼리비아 곳곳에서 큰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아르세 대통령은 대통령궁 청사 안으로 들어온 수니가 장군과 대면하고, “군 통수권자로서 이런 불복종을 용납할 수 없으니 철군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두 사람 주변에 몰렸던 사람 중 누군가 수니가 장군에게 “그만 물러나라, 이래선 안 된다”고 외치기도 했습니다.

이 모습은 현지 방송 유튜브를 통해 중계됐습니다.

짧은 만남 후 아르세 대통령은 각료들과 함께 연 긴급 대국민 연설에서 “볼리비아가 군의 쿠데타 시도에 직면했다”며 “국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저와 내각 구성원은 이곳에 굳건히 서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군 지휘부(3명)를 즉각 교체했습니다.

대법원, 경찰과 소방 노조, 시민사회단체 등은 잇따라 군을 성토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무리요 광장에 모인 시민들도 군을 비판하는 구호를 외쳤다고 텔레비시온 우노는 전했습니다.

호세 윌슨 산체스 신임 합참의장의 ‘수도 집결 장병 부대 복귀 명령’까지 나온 가운데 볼리비아군은 결국 오후 6시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에 철군했습니다.

아르세 대통령은 오후 6시 대통령궁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고, 시민들은 대통령 지지 구호를 외치며 환호했습니다.

수니가 장군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최근 정치 개입 가능성을 암시하는 언사를 이어왔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지에서는 수니가 장군이 아르세 현 대통령에게 ‘팽’당할 위기에 처하자, 병력을 동원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편, 로이터는 볼리비아 검찰이 수니가 장군에 대한 범죄 혐의 수사에 착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수니가 전 합참의장은 이날 저녁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볼리비아군 ‘쿠데타 시도’…대통령궁 무력 진입했다가 회군
    • 입력 2024-06-27 08:17:37
    • 수정2024-06-27 08:18:50
    국제
남미 볼리비아에서 군부 일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대통령궁에 무력으로 진입했다가 3시간여 만에 철수했습니다.

군 핵심 지도부는 “무너진 조국을 되찾을 것”이라고 선언하며 일촉즉발 상황으로 끌고 가다가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 강경 대응 천명과 시민들의 반발 움직임에 회군했습니다.

볼리비아군 일부 장병들은 현지 시각 26일 오후 3시쯤 탱크와 장갑차 등을 앞세운 채 수도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했습니다.

무리요 광장 앞에는 대통령궁(정부청사)과 국회, 대성당이 있습니다.

볼리비아군은 청사 앞에 대오를 갖추고 시민들의 통행을 일부 통제했고, 장갑차로 청사 건물 입구를 부수자 텔레비시온 우노 등 현지 TV 방송 매체들은 급박했던 당시 상황을 생중계했습니다.

일부 장병은 광장에 몰려온 시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가스를 쓰기도 했습니다.

‘수도 진군’은 합참의장이었던 후안 호세 수니가 장군 주도로 진행됐습니다.

수니가 장군은 대통령궁 밖 취재진에게 “수년 동안 소위 엘리트 집단이 국가를 장악하고 조국을 붕괴시켰다”며 “우리 군은 민주주의 체제를 재구성해 국가를 일부 소수의 것이 아닌 진정한 국민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주변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는 일제히 군부의 무력 행위를 성토했습니다.

뉴스를 보고 놀란 시민들은 마트로 달려가 물품을 사재기하는 등 볼리비아 곳곳에서 큰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아르세 대통령은 대통령궁 청사 안으로 들어온 수니가 장군과 대면하고, “군 통수권자로서 이런 불복종을 용납할 수 없으니 철군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두 사람 주변에 몰렸던 사람 중 누군가 수니가 장군에게 “그만 물러나라, 이래선 안 된다”고 외치기도 했습니다.

이 모습은 현지 방송 유튜브를 통해 중계됐습니다.

짧은 만남 후 아르세 대통령은 각료들과 함께 연 긴급 대국민 연설에서 “볼리비아가 군의 쿠데타 시도에 직면했다”며 “국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저와 내각 구성원은 이곳에 굳건히 서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군 지휘부(3명)를 즉각 교체했습니다.

대법원, 경찰과 소방 노조, 시민사회단체 등은 잇따라 군을 성토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무리요 광장에 모인 시민들도 군을 비판하는 구호를 외쳤다고 텔레비시온 우노는 전했습니다.

호세 윌슨 산체스 신임 합참의장의 ‘수도 집결 장병 부대 복귀 명령’까지 나온 가운데 볼리비아군은 결국 오후 6시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에 철군했습니다.

아르세 대통령은 오후 6시 대통령궁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고, 시민들은 대통령 지지 구호를 외치며 환호했습니다.

수니가 장군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최근 정치 개입 가능성을 암시하는 언사를 이어왔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지에서는 수니가 장군이 아르세 현 대통령에게 ‘팽’당할 위기에 처하자, 병력을 동원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편, 로이터는 볼리비아 검찰이 수니가 장군에 대한 범죄 혐의 수사에 착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수니가 전 합참의장은 이날 저녁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