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소화기 개발한다지만…“빠른 대피가 우선”

입력 2024.06.27 (21:18) 수정 2024.06.27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부터 화성 리튬공장 화재를 심층 분석합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피 결정입니다.

불이 난 순간 영상을 보면 직원이 바로 소화기로 불을 끄려고 하지만 불길은 더 커지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은 리튬 전지 제조 시설에서 불이 나면 진압 시도를 하지 말고 무조건 즉각 대피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윤아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리튬 전지 상자에서 폭발과 함께 흰 연기가 치솟습니다.

직원들은 리튬 전지를 옮기기 시작하고, 분말 소화기로 불길을 잡으려 안간힘을 썼지만,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치솟았고 결국 2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남기훈/창신대 소방방재공학과 교수 : "일반적인 분말 소화기 가지고는 그런 화염을 잡고 아까 냉각과 질식이라는 소화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날 수가 없거든요."]

때문에 일반 소화기 대신 금속화재용 소화기를 비치해야 했단 지적이 사고 직후 나왔습니다.

하지만 진화 효과는 장담할 수 없단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배터리화 됐을 때는 금속 화재랑은 전혀 다른 양상이거든요. 리튬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사이즈나 또 형태 같은 것들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정부는 맞춤형 소화약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로선 소방당국조차도 리튬 전지 화재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박경환/화성소방서 대응전략팀장 : "리튬이 건전지 본체 안에 들어있을 경우에는 특별한 대책은 지금 없는 상탭니다. 거기에 대한 소화약제도 지금 정리돼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리튬 전지 제조시설에서 불이 나면 자체 진화를 시도하기 보다는 우선 대피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많은 양이 적치돼 있는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이라면 (적응성이 있는) 소화 설비가 있다 하더라도 끈다는 보장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치명적인 유독성 가스가 나오니까…. 현장에서 탈출하고 대피하는 게 최우선이다."]

숨진 23명의 사망 원인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1차 부검 소견은 모두 질식사였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이정태/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맞춤형 소화기 개발한다지만…“빠른 대피가 우선”
    • 입력 2024-06-27 21:18:18
    • 수정2024-06-27 22:05:25
    뉴스 9
[앵커]

지금부터 화성 리튬공장 화재를 심층 분석합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피 결정입니다.

불이 난 순간 영상을 보면 직원이 바로 소화기로 불을 끄려고 하지만 불길은 더 커지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은 리튬 전지 제조 시설에서 불이 나면 진압 시도를 하지 말고 무조건 즉각 대피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윤아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리튬 전지 상자에서 폭발과 함께 흰 연기가 치솟습니다.

직원들은 리튬 전지를 옮기기 시작하고, 분말 소화기로 불길을 잡으려 안간힘을 썼지만,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치솟았고 결국 2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남기훈/창신대 소방방재공학과 교수 : "일반적인 분말 소화기 가지고는 그런 화염을 잡고 아까 냉각과 질식이라는 소화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날 수가 없거든요."]

때문에 일반 소화기 대신 금속화재용 소화기를 비치해야 했단 지적이 사고 직후 나왔습니다.

하지만 진화 효과는 장담할 수 없단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배터리화 됐을 때는 금속 화재랑은 전혀 다른 양상이거든요. 리튬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사이즈나 또 형태 같은 것들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정부는 맞춤형 소화약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로선 소방당국조차도 리튬 전지 화재에 대한 대책이 없다고 밝힌 상황입니다.

[박경환/화성소방서 대응전략팀장 : "리튬이 건전지 본체 안에 들어있을 경우에는 특별한 대책은 지금 없는 상탭니다. 거기에 대한 소화약제도 지금 정리돼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리튬 전지 제조시설에서 불이 나면 자체 진화를 시도하기 보다는 우선 대피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이영주/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 "많은 양이 적치돼 있는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이라면 (적응성이 있는) 소화 설비가 있다 하더라도 끈다는 보장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치명적인 유독성 가스가 나오니까…. 현장에서 탈출하고 대피하는 게 최우선이다."]

숨진 23명의 사망 원인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1차 부검 소견은 모두 질식사였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이정태/영상편집:신남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