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값, 도소매 거치며 두 배로…“직거래 할 수 없나요?” [한우]③

입력 2024.07.10 (07:01) 수정 2024.07.10 (07: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민이 내다 파는 한우 값이 많이 내렸다지만, 소비자가 우시장에 가서 소를 사다 잡아먹을 수는 없습니다.

내가 농가에 가서 본 소와 마트에서 구입하는 소고기는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다른 시장에서 거래되는 다른 상품에 가깝습니다.

축사에서 본 한우 한 마리가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두 마리 값으로 불어나는 현장을 확인해봅니다.

■ '도축장에서 마트까지' 짚어봤습니다

도축장을 거친 소는 지육 상태로 경매에 나옵니다. 한우의 60~70% 정도는 이렇게 경매 시장을 거쳐 거래됩니다.

지육은 소를 도축한 뒤 머리, 꼬리, 내장, 가죽 등을 제거한 상태를 뜻합니다. 뼈나 지방이 그대로 붙은 채로 걸려있는 소 반 마리입니다.

가죽을 벗긴 지육. 이렇게 경매에 부쳐 낙찰되는 가격이 농가가 받는 수취가격이자 생산단계 가격으로 잡힌다.가죽을 벗긴 지육. 이렇게 경매에 부쳐 낙찰되는 가격이 농가가 받는 수취가격이자 생산단계 가격으로 잡힌다.

■ 육가공업체들은 지육을 가공해 정육을 만듭니다

이 '지육'에서 뼈를 발라내고 지방을 제거해 살코기를 얻으면 '부분육' 혹은 '정육'이 됩니다. 육가공업체들이 하는 일입니다.

대형 마트나 슈퍼 등에서는 이 정육을 받아 100g 단위로 소포장해 판매합니다. 정육점에서는 '소 들어오는 날'이라고 해서 소 반 마리를 걸어놓고 잘라서 팔기도 하지요.

소비자가 구매하는 등심, 안심, 살치살, 안창살 등의 상태는 이런 작업을 거친 '소매용 포장' 상태입니다.

특히 소비자 가격은 어디서 구매하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크지만,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판매하는 1등급 안심 가격은 100g에 11,000~12,000원 정도입니다.

소비자가 한우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곳은 정육점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가 뒤를 이었고, 백화점에서 구입하는 비중은 1%대에 그친다.소비자가 한우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곳은 정육점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가 뒤를 이었고, 백화점에서 구입하는 비중은 1%대에 그친다.

■ '등심·안심' 가격으로 소 값 환산은 힘들어

물론 여기에서 단순 비교는 힘듭니다. 산지 도매가격은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지육 상태로 계산하는 데 비해, 정육 가격은 등심, 안심 등 부위별로 매겨지기 때문입니다.

등심이나 안심 100g이 12,000원 정도 할 때, 불고깃감으로 많이 쓰는 설도는 4,000원에 팔립니다. 이렇게 부위별로 등급별로 가격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격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안심부터 국거리까지 모든 부분이 모여 소 한 마리를 이루기 때문에, 등심 100g 가격을 더해서 600kg짜리 소 값을 환산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유통단계별 가격을 계산한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지난해 7월 발간한 <2022년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보고서> 입니다.

■ 농가가 955만 원에 판 소…소비자 가격은 2천만 원

이 보고서를 보면 2022년 농가가 출하한 1+등급 거세우 한 마리 가격은 평균 955만 3천 원 이었습니다.

이 소가 도매단계를 거치면 1,259만 원이 되고, 소매단계에서는 2천만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 농가가 955만 원 받고 넘긴 한우 한 마리가 대형마트나 정육점, 한우 음식점 등 소매 단계로 가면 2천만 원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슨 돈이 이렇게 붙었을까요?

<2022년 축산물유통정보조사 보고서> 33쪽, 축산물품질평가원(2023)<2022년 축산물유통정보조사 보고서> 33쪽, 축산물품질평가원(2023)

여기에서 조사한 '소매단계' 에는 대형마트나 슈퍼마켓 처럼 소비자가 소고기를 사다 먹는 소매점 뿐 아니라 음식점도 들어있습니다.

한우 음식점에 가면 고기를 구워주는 종업원들도 많고 가게 임대료 등 다른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매점 가격보다는 더 비싸게 잡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겠습니다.

■ 한우 소비자 가격 반 이상이 유통비용

위의 조사에서 나온 한우 유통비용률이 53%입니다. 유통비용률은 소비자 가격에서 유통비용의 비중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소비자가 마트에서 소고기 10,000원어치를 샀을 때 농민에게는 4,700원이 돌아가고, 5,300원은 유통비용으로 들어갔다는 뜻입니다.

심지어 2022년의 경우 생산단계 한우 가격은 전년 대비 6.9% 하락했지만 소매단계에서는 가격이 오히려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 도매가격이 하락한 시점과 소비자 가격이 하락하는 시차가 있고, 하락 폭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2023년부터는 한우 반값 할인행사 등 할인을 많이 해서 소매단계에서의 가격도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육가공 작업과 운반, 보관 등 유통단계별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산지 가격 하락률이 비율 그대로 소매 가격에 반영되기는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 "유통 비용으로 소 한 마리 값이 더 들었다"

문제는 물가가 오르면 유통비용률이 더 오른다는 점입니다.

한우의 유통비용률은 2022년에 50%를 넘어섰습니다.

이후 산지 한우 값은 내리고 있는데 인건비 등 전반적인 물가는 오르고 있으니 유통비용률은 더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유통비용은 간접비와 직접비, 그리고 이윤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직접비는 포장재나 운송비 등 물량이 늘고 줄어듦에 따라서 변하는 비용이고, 간접비는 점포 임차료나 감가상각비, 정보통신비 등 취급 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전체 육류 유통비용 가운데서는 점포 임차료 등 간접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습니다.

■ 전반적 물가 상승에 유통비용률 상승

더 나아가 음식점에서 먹는 한우는 매우 비쌉니다. 150g 1인분에 5만 원을 넘게 받는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쯤 되면 축사에서 본 한우는 잊어야 합니다.

가게 임대료와 인건비 등의 비중이 커서 한우 가격이 내린다 해도 영향을 주긴 힘든 구조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 오릅니다. 산지 가격이 내려가도 소비자가 그만큼 체감하기 힘든 이유입니다.

■ "한우 직거래 판매장을 늘려야" 주장

이에 따라 한우 사육 농민들은 직거래판매장이나 알뜰 판매장을 늘려서 소비자가 가격 하락을 체감할 수 있게 하자고 주장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한우자조금위원회, 농축협 하나로마트와 함께 한우 반값 할인 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또 농협경제지주가 '한우 권장판매가'를 제시하고 하나로마트의 소비자 가격을 낮춰 민간 유통업체의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래픽: 권세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고기값, 도소매 거치며 두 배로…“직거래 할 수 없나요?” [한우]③
    • 입력 2024-07-10 07:01:00
    • 수정2024-07-10 07:12:50
    심층K

농민이 내다 파는 한우 값이 많이 내렸다지만, 소비자가 우시장에 가서 소를 사다 잡아먹을 수는 없습니다.

내가 농가에 가서 본 소와 마트에서 구입하는 소고기는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다른 시장에서 거래되는 다른 상품에 가깝습니다.

축사에서 본 한우 한 마리가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두 마리 값으로 불어나는 현장을 확인해봅니다.

■ '도축장에서 마트까지' 짚어봤습니다

도축장을 거친 소는 지육 상태로 경매에 나옵니다. 한우의 60~70% 정도는 이렇게 경매 시장을 거쳐 거래됩니다.

지육은 소를 도축한 뒤 머리, 꼬리, 내장, 가죽 등을 제거한 상태를 뜻합니다. 뼈나 지방이 그대로 붙은 채로 걸려있는 소 반 마리입니다.

가죽을 벗긴 지육. 이렇게 경매에 부쳐 낙찰되는 가격이 농가가 받는 수취가격이자 생산단계 가격으로 잡힌다.
■ 육가공업체들은 지육을 가공해 정육을 만듭니다

이 '지육'에서 뼈를 발라내고 지방을 제거해 살코기를 얻으면 '부분육' 혹은 '정육'이 됩니다. 육가공업체들이 하는 일입니다.

대형 마트나 슈퍼 등에서는 이 정육을 받아 100g 단위로 소포장해 판매합니다. 정육점에서는 '소 들어오는 날'이라고 해서 소 반 마리를 걸어놓고 잘라서 팔기도 하지요.

소비자가 구매하는 등심, 안심, 살치살, 안창살 등의 상태는 이런 작업을 거친 '소매용 포장' 상태입니다.

특히 소비자 가격은 어디서 구매하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크지만,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판매하는 1등급 안심 가격은 100g에 11,000~12,000원 정도입니다.

소비자가 한우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곳은 정육점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가 뒤를 이었고, 백화점에서 구입하는 비중은 1%대에 그친다.
■ '등심·안심' 가격으로 소 값 환산은 힘들어

물론 여기에서 단순 비교는 힘듭니다. 산지 도매가격은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지육 상태로 계산하는 데 비해, 정육 가격은 등심, 안심 등 부위별로 매겨지기 때문입니다.

등심이나 안심 100g이 12,000원 정도 할 때, 불고깃감으로 많이 쓰는 설도는 4,000원에 팔립니다. 이렇게 부위별로 등급별로 가격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격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안심부터 국거리까지 모든 부분이 모여 소 한 마리를 이루기 때문에, 등심 100g 가격을 더해서 600kg짜리 소 값을 환산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유통단계별 가격을 계산한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지난해 7월 발간한 <2022년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보고서> 입니다.

■ 농가가 955만 원에 판 소…소비자 가격은 2천만 원

이 보고서를 보면 2022년 농가가 출하한 1+등급 거세우 한 마리 가격은 평균 955만 3천 원 이었습니다.

이 소가 도매단계를 거치면 1,259만 원이 되고, 소매단계에서는 2천만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우 농가가 955만 원 받고 넘긴 한우 한 마리가 대형마트나 정육점, 한우 음식점 등 소매 단계로 가면 2천만 원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슨 돈이 이렇게 붙었을까요?

<2022년 축산물유통정보조사 보고서> 33쪽, 축산물품질평가원(2023)
여기에서 조사한 '소매단계' 에는 대형마트나 슈퍼마켓 처럼 소비자가 소고기를 사다 먹는 소매점 뿐 아니라 음식점도 들어있습니다.

한우 음식점에 가면 고기를 구워주는 종업원들도 많고 가게 임대료 등 다른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매점 가격보다는 더 비싸게 잡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겠습니다.

■ 한우 소비자 가격 반 이상이 유통비용

위의 조사에서 나온 한우 유통비용률이 53%입니다. 유통비용률은 소비자 가격에서 유통비용의 비중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소비자가 마트에서 소고기 10,000원어치를 샀을 때 농민에게는 4,700원이 돌아가고, 5,300원은 유통비용으로 들어갔다는 뜻입니다.

심지어 2022년의 경우 생산단계 한우 가격은 전년 대비 6.9% 하락했지만 소매단계에서는 가격이 오히려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지 도매가격이 하락한 시점과 소비자 가격이 하락하는 시차가 있고, 하락 폭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2023년부터는 한우 반값 할인행사 등 할인을 많이 해서 소매단계에서의 가격도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육가공 작업과 운반, 보관 등 유통단계별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산지 가격 하락률이 비율 그대로 소매 가격에 반영되기는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 "유통 비용으로 소 한 마리 값이 더 들었다"

문제는 물가가 오르면 유통비용률이 더 오른다는 점입니다.

한우의 유통비용률은 2022년에 50%를 넘어섰습니다.

이후 산지 한우 값은 내리고 있는데 인건비 등 전반적인 물가는 오르고 있으니 유통비용률은 더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유통비용은 간접비와 직접비, 그리고 이윤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직접비는 포장재나 운송비 등 물량이 늘고 줄어듦에 따라서 변하는 비용이고, 간접비는 점포 임차료나 감가상각비, 정보통신비 등 취급 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전체 육류 유통비용 가운데서는 점포 임차료 등 간접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습니다.

■ 전반적 물가 상승에 유통비용률 상승

더 나아가 음식점에서 먹는 한우는 매우 비쌉니다. 150g 1인분에 5만 원을 넘게 받는 곳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쯤 되면 축사에서 본 한우는 잊어야 합니다.

가게 임대료와 인건비 등의 비중이 커서 한우 가격이 내린다 해도 영향을 주긴 힘든 구조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 오릅니다. 산지 가격이 내려가도 소비자가 그만큼 체감하기 힘든 이유입니다.

■ "한우 직거래 판매장을 늘려야" 주장

이에 따라 한우 사육 농민들은 직거래판매장이나 알뜰 판매장을 늘려서 소비자가 가격 하락을 체감할 수 있게 하자고 주장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한우자조금위원회, 농축협 하나로마트와 함께 한우 반값 할인 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또 농협경제지주가 '한우 권장판매가'를 제시하고 하나로마트의 소비자 가격을 낮춰 민간 유통업체의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래픽: 권세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