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 나는 중국 자율주행, 우리는?…‘실증 경험’이 격차로

입력 2024.07.11 (21:34) 수정 2024.07.11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중국은 국가 주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의 자율 주행은 아직 시범사업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왜 그렇고, 무엇이 문제인지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사 없는 택시가 도로를 누비는 중국.

일부 주에서 다시 무인 택시 유료 운행을 확대한 미국.

반면, 노선 버스가 정해진 구간 만을 시범 운행 중인 우리나라에선 완전 자율주행 역시 허가된 구역 내에서 이제 실증 운행 시작 단곕니다.

실전 같은 도로 대 실험실 수준인데 기술 격차 탓입니다.

첨단 모빌리티 분야는 미국을 100으로 볼 때 우리나라는 EU, 중국, 일본보다 최대 16%, 2년 넘는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격차를 따라잡기 위해선 자율주행 더 많이 해봐야 하는데, 현실은 정반댑니다.

중국 자율주행 기술 1위 바이두가 이미 5년 전 다양한 도로에서 200만km를 돌파했지만, 우리나라에선 선두를 달린다는 업체도 지난달 말까지 누적 거리론 4분의 1 수준에 데이터의 질은 다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조철/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중국은) 광저우 시내 그 복잡한 시내에서 코로나 이전에 이미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하고 있었거든요. 실질적인 기술에 있어서의 격차 이런 부분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죠."]

한창 개발과 실증에 들어간 고도 자율주행, '레벨 4' 기술이 완성되더라도, 결국 상용화를 위해선 일반 도로를 내달려야 하는데 법 제도가 걸림돌입니다.

지금까지 지정된 전국 36개 시범운행 지구는 모두 임시 운행만 가능한데 독일 등은 이미 법적으로 주행이 가능합니다.

사고 시 누가, 어디에, 어떻게 신고할 지 책임소재가 정비돼 있지 않은 점도 제조사들에겐 부담입니다.

자율 주행을 위해 촬영되는 개인 정보의 경우 업계 바람과 달리 원본을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점도 부처간 풀어야 할 숙젭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줌] 나는 중국 자율주행, 우리는?…‘실증 경험’이 격차로
    • 입력 2024-07-11 21:34:53
    • 수정2024-07-11 21:46:36
    뉴스 9
[앵커]

이처럼 중국은 국가 주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의 자율 주행은 아직 시범사업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왜 그렇고, 무엇이 문제인지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운전사 없는 택시가 도로를 누비는 중국.

일부 주에서 다시 무인 택시 유료 운행을 확대한 미국.

반면, 노선 버스가 정해진 구간 만을 시범 운행 중인 우리나라에선 완전 자율주행 역시 허가된 구역 내에서 이제 실증 운행 시작 단곕니다.

실전 같은 도로 대 실험실 수준인데 기술 격차 탓입니다.

첨단 모빌리티 분야는 미국을 100으로 볼 때 우리나라는 EU, 중국, 일본보다 최대 16%, 2년 넘는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격차를 따라잡기 위해선 자율주행 더 많이 해봐야 하는데, 현실은 정반댑니다.

중국 자율주행 기술 1위 바이두가 이미 5년 전 다양한 도로에서 200만km를 돌파했지만, 우리나라에선 선두를 달린다는 업체도 지난달 말까지 누적 거리론 4분의 1 수준에 데이터의 질은 다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조철/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중국은) 광저우 시내 그 복잡한 시내에서 코로나 이전에 이미 자율주행 시범 운행을 하고 있었거든요. 실질적인 기술에 있어서의 격차 이런 부분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죠."]

한창 개발과 실증에 들어간 고도 자율주행, '레벨 4' 기술이 완성되더라도, 결국 상용화를 위해선 일반 도로를 내달려야 하는데 법 제도가 걸림돌입니다.

지금까지 지정된 전국 36개 시범운행 지구는 모두 임시 운행만 가능한데 독일 등은 이미 법적으로 주행이 가능합니다.

사고 시 누가, 어디에, 어떻게 신고할 지 책임소재가 정비돼 있지 않은 점도 제조사들에겐 부담입니다.

자율 주행을 위해 촬영되는 개인 정보의 경우 업계 바람과 달리 원본을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점도 부처간 풀어야 할 숙젭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