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K] 새만금 2차전지 대학원…‘빛 좋은 개살구’ 될 수도
입력 2024.07.31 (07:35)
수정 2024.07.31 (0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만금에 투자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인력난을 덜어주기 위해 전북도는 관련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통령 민생토론회 때도 보고해 탄력이 기대되는데요,
하지만 자칫 막대한 예산만 쓰고 과실은 챙기질 못할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
어찌 된 영문인지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금까지 새만금에 입주를 약속하거나 타진하고 있는 2차전지 관련 기업은 모두 22개.
전북도는 이들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제적으로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는 2차전지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대통령이 참석한 민생토론회에도 보고됐고,
[윤석열 대통령 : "새만금 2차전지 특화단지의 발전과 혁신을 견인할 석·박사급의 고급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결국, 대전의 카이스트(KAIST), 광주의 지스트(GIST)와 공동 설립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그런데 전북은 예산만 쏟아붓고 정작 과실은 챙기지 못할 거라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먼저 대학원 터로 새만금 산단 2공구 연구시설 용지가 거론되는데, 접근성을 이유로 대부분의 수업을 대전이나 광주 본교에서 진행할 우려가 큽니다.
아직 카이스트 등으로부터 새만금 상주와 정착에 대한 확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오택림/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 : "저희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고 카이스트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조율을 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고요."]
운영비로 국비 없이 지방비만 해마다 50억 원씩, 5년간 250억 원을 쏟아붓는 것도 문젭니다.
게다가 5년 뒤 자생력이 없으면 고사하거나 퇴출 될 수 있습니다.
애써 키운 석·박사들이 새만금이 아닌 해외나 수도권으로 이른바 '먹튀'를 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보완책으로 일정 인원을 지역 출신으로 뽑거나, 지역 대학을 사업에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동안 소통조차 없었습니다.
[백기태/전북대 기획처장 : "지역에 정주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체계로 가려면 카이스트, 지스트, 전북대, 또 전북도에 있는 대학들이 연합되는 연합대학원 형태로 가는 것이 맞지 않나?"]
특히, 전북도는 운영비를 아끼기 위해 애초 협력 대학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갖춘 카이스트만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기부는 호남권을 내세우며 산하 기관인 광주 지스트까지 억지로 끼워 넣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러다 보니 가뜩이나 재정이 빈약한 전북의 운영비 부담만 커질 판이어서 과연 이 사업을 통해 얻는 실익이 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새만금에 투자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인력난을 덜어주기 위해 전북도는 관련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통령 민생토론회 때도 보고해 탄력이 기대되는데요,
하지만 자칫 막대한 예산만 쓰고 과실은 챙기질 못할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
어찌 된 영문인지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금까지 새만금에 입주를 약속하거나 타진하고 있는 2차전지 관련 기업은 모두 22개.
전북도는 이들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제적으로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는 2차전지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대통령이 참석한 민생토론회에도 보고됐고,
[윤석열 대통령 : "새만금 2차전지 특화단지의 발전과 혁신을 견인할 석·박사급의 고급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결국, 대전의 카이스트(KAIST), 광주의 지스트(GIST)와 공동 설립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그런데 전북은 예산만 쏟아붓고 정작 과실은 챙기지 못할 거라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먼저 대학원 터로 새만금 산단 2공구 연구시설 용지가 거론되는데, 접근성을 이유로 대부분의 수업을 대전이나 광주 본교에서 진행할 우려가 큽니다.
아직 카이스트 등으로부터 새만금 상주와 정착에 대한 확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오택림/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 : "저희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고 카이스트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조율을 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고요."]
운영비로 국비 없이 지방비만 해마다 50억 원씩, 5년간 250억 원을 쏟아붓는 것도 문젭니다.
게다가 5년 뒤 자생력이 없으면 고사하거나 퇴출 될 수 있습니다.
애써 키운 석·박사들이 새만금이 아닌 해외나 수도권으로 이른바 '먹튀'를 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보완책으로 일정 인원을 지역 출신으로 뽑거나, 지역 대학을 사업에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동안 소통조차 없었습니다.
[백기태/전북대 기획처장 : "지역에 정주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체계로 가려면 카이스트, 지스트, 전북대, 또 전북도에 있는 대학들이 연합되는 연합대학원 형태로 가는 것이 맞지 않나?"]
특히, 전북도는 운영비를 아끼기 위해 애초 협력 대학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갖춘 카이스트만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기부는 호남권을 내세우며 산하 기관인 광주 지스트까지 억지로 끼워 넣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러다 보니 가뜩이나 재정이 빈약한 전북의 운영비 부담만 커질 판이어서 과연 이 사업을 통해 얻는 실익이 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K] 새만금 2차전지 대학원…‘빛 좋은 개살구’ 될 수도
-
- 입력 2024-07-31 07:35:38
- 수정2024-07-31 09:25:00
[앵커]
새만금에 투자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인력난을 덜어주기 위해 전북도는 관련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통령 민생토론회 때도 보고해 탄력이 기대되는데요,
하지만 자칫 막대한 예산만 쓰고 과실은 챙기질 못할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
어찌 된 영문인지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금까지 새만금에 입주를 약속하거나 타진하고 있는 2차전지 관련 기업은 모두 22개.
전북도는 이들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제적으로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는 2차전지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대통령이 참석한 민생토론회에도 보고됐고,
[윤석열 대통령 : "새만금 2차전지 특화단지의 발전과 혁신을 견인할 석·박사급의 고급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결국, 대전의 카이스트(KAIST), 광주의 지스트(GIST)와 공동 설립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그런데 전북은 예산만 쏟아붓고 정작 과실은 챙기지 못할 거라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먼저 대학원 터로 새만금 산단 2공구 연구시설 용지가 거론되는데, 접근성을 이유로 대부분의 수업을 대전이나 광주 본교에서 진행할 우려가 큽니다.
아직 카이스트 등으로부터 새만금 상주와 정착에 대한 확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오택림/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 : "저희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고 카이스트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조율을 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고요."]
운영비로 국비 없이 지방비만 해마다 50억 원씩, 5년간 250억 원을 쏟아붓는 것도 문젭니다.
게다가 5년 뒤 자생력이 없으면 고사하거나 퇴출 될 수 있습니다.
애써 키운 석·박사들이 새만금이 아닌 해외나 수도권으로 이른바 '먹튀'를 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보완책으로 일정 인원을 지역 출신으로 뽑거나, 지역 대학을 사업에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동안 소통조차 없었습니다.
[백기태/전북대 기획처장 : "지역에 정주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체계로 가려면 카이스트, 지스트, 전북대, 또 전북도에 있는 대학들이 연합되는 연합대학원 형태로 가는 것이 맞지 않나?"]
특히, 전북도는 운영비를 아끼기 위해 애초 협력 대학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갖춘 카이스트만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기부는 호남권을 내세우며 산하 기관인 광주 지스트까지 억지로 끼워 넣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러다 보니 가뜩이나 재정이 빈약한 전북의 운영비 부담만 커질 판이어서 과연 이 사업을 통해 얻는 실익이 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새만금에 투자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인력난을 덜어주기 위해 전북도는 관련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통령 민생토론회 때도 보고해 탄력이 기대되는데요,
하지만 자칫 막대한 예산만 쓰고 과실은 챙기질 못할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
어찌 된 영문인지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금까지 새만금에 입주를 약속하거나 타진하고 있는 2차전지 관련 기업은 모두 22개.
전북도는 이들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선제적으로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는 2차전지 대학원 신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대통령이 참석한 민생토론회에도 보고됐고,
[윤석열 대통령 : "새만금 2차전지 특화단지의 발전과 혁신을 견인할 석·박사급의 고급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결국, 대전의 카이스트(KAIST), 광주의 지스트(GIST)와 공동 설립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그런데 전북은 예산만 쏟아붓고 정작 과실은 챙기지 못할 거라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먼저 대학원 터로 새만금 산단 2공구 연구시설 용지가 거론되는데, 접근성을 이유로 대부분의 수업을 대전이나 광주 본교에서 진행할 우려가 큽니다.
아직 카이스트 등으로부터 새만금 상주와 정착에 대한 확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오택림/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 : "저희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고 카이스트가 생각하는 최고의 안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조율을 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고요."]
운영비로 국비 없이 지방비만 해마다 50억 원씩, 5년간 250억 원을 쏟아붓는 것도 문젭니다.
게다가 5년 뒤 자생력이 없으면 고사하거나 퇴출 될 수 있습니다.
애써 키운 석·박사들이 새만금이 아닌 해외나 수도권으로 이른바 '먹튀'를 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보완책으로 일정 인원을 지역 출신으로 뽑거나, 지역 대학을 사업에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동안 소통조차 없었습니다.
[백기태/전북대 기획처장 : "지역에 정주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체계로 가려면 카이스트, 지스트, 전북대, 또 전북도에 있는 대학들이 연합되는 연합대학원 형태로 가는 것이 맞지 않나?"]
특히, 전북도는 운영비를 아끼기 위해 애초 협력 대학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갖춘 카이스트만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기부는 호남권을 내세우며 산하 기관인 광주 지스트까지 억지로 끼워 넣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러다 보니 가뜩이나 재정이 빈약한 전북의 운영비 부담만 커질 판이어서 과연 이 사업을 통해 얻는 실익이 뭐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