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기장관 후보 “통신비 인하 위해 알뜰폰 사업자 경쟁력 강화 필요”

입력 2024.08.06 (19:16) 수정 2024.08.06 (1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알뜰폰 사업자의 경쟁력 강화와 단말기 선택권 확대 등을 꼽았습니다.

유 후보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인사청문회 사전 서면질의 답변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유 후보자는 “통신 시장은 사업자의 대규모 설비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자연 독점적 성격이 있어 과점화가 다소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알뜰폰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경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제4 이동통신사의 필요성을 묻자 “제4 이동통신사가 등장해 통신 시장의 실질적인 경쟁 주체로 성장한다면, 요금뿐 아니라 품질,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다만 그는 “가계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제4 이동통신사 외에도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므로 취임하게 되면 국민 편익 증진을 위해 통신 정책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부연했습니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폐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유 후보자는 단말기 지원금 분리공시제 도입과 관련해서 “분리 공시는 단통법의 핵심인 지원금 공시제도의 유지를 전제로 하므로 단통법 폐지와 상충할 가능성이 있고, 제조사의 장려금 규모가 노출될 경우 글로벌 경쟁력에 타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망 사용료 정책에 대해서는 “인터넷 생태계 구성원 간 소통을 강화해 스트리밍 서비스 등 대용량 서비스 소비 중심으로 변화된 인터넷 이용 환경에 맞는 새로운 질서를 논의해야 한다”면서도 “국가 간 통상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정책 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도 생성형 인공지능(AI) 정책과 관련해 학습에 활용된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규정 정비,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통한 해외 의존도 줄이기, 자국 데이터에 대한 주권 확보 등이 과제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상임 과기장관 후보 “통신비 인하 위해 알뜰폰 사업자 경쟁력 강화 필요”
    • 입력 2024-08-06 19:16:57
    • 수정2024-08-06 19:38:45
    IT·과학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알뜰폰 사업자의 경쟁력 강화와 단말기 선택권 확대 등을 꼽았습니다.

유 후보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인사청문회 사전 서면질의 답변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유 후보자는 “통신 시장은 사업자의 대규모 설비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자연 독점적 성격이 있어 과점화가 다소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알뜰폰 육성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경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제4 이동통신사의 필요성을 묻자 “제4 이동통신사가 등장해 통신 시장의 실질적인 경쟁 주체로 성장한다면, 요금뿐 아니라 품질,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습니다.

다만 그는 “가계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제4 이동통신사 외에도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므로 취임하게 되면 국민 편익 증진을 위해 통신 정책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부연했습니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폐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유 후보자는 단말기 지원금 분리공시제 도입과 관련해서 “분리 공시는 단통법의 핵심인 지원금 공시제도의 유지를 전제로 하므로 단통법 폐지와 상충할 가능성이 있고, 제조사의 장려금 규모가 노출될 경우 글로벌 경쟁력에 타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망 사용료 정책에 대해서는 “인터넷 생태계 구성원 간 소통을 강화해 스트리밍 서비스 등 대용량 서비스 소비 중심으로 변화된 인터넷 이용 환경에 맞는 새로운 질서를 논의해야 한다”면서도 “국가 간 통상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정책 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밖에도 생성형 인공지능(AI) 정책과 관련해 학습에 활용된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규정 정비,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통한 해외 의존도 줄이기, 자국 데이터에 대한 주권 확보 등이 과제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